KR960010278Y1 - 부 표 - Google Patents

부 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78Y1
KR960010278Y1 KR2019940017233U KR19940017233U KR960010278Y1 KR 960010278 Y1 KR960010278 Y1 KR 960010278Y1 KR 2019940017233 U KR2019940017233 U KR 2019940017233U KR 19940017233 U KR19940017233 U KR 19940017233U KR 960010278 Y1 KR960010278 Y1 KR 960010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ylinder
present
pip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929U (ko
Inventor
서경희
Original Assignee
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희 filed Critical 서경희
Priority to KR2019940017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278Y1/ko
Publication of KR960004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66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completely encapsulated, e.g. for packaging purposes or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부 표
제1도 (a)(b)는 본 고안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표 11 : 통
12 : 파이프 12a : 홀
13 : 발포성 수지 14 : 나사부
15 : 패킹 16 : 캡너트
본 고안은 바다에 설치하여 경계구역표시 내지는 안전지역을 표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스치로폴을 이용하여 일정형상을 갖게하고, 이를 결속끈으로 연결하여 바다의 수면위에 배치하였다. 또한,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하여 통형으로 제조하고, 이를 부표로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스치로폴은 그 특성상 파도에 휩쓸리면서, 겉표면이 부식되거나 잘게 부서지는 경우가 허다하였고, 후자의 경우, 합성수지재통이 바위 등에 부딪혀 깨지면서, 바닷물이 스며들어 부표호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합성수재재통 내부에 발포수지를 용이하게 충진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그에 따른 원가절감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력을 지니도록 내부에 발포체를 가지는 구조의 통으로 이루어진 부표에 있어서, 발포성 수지의 분리된 입자를 상기의 통 내부에 충진되고, 상기 통의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양 나사부를 관통하여 파이프가 압입되어 패킹 및 캡너트에 의해 밀착 조립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에는 외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외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고열의 증기를 작용시켜 상기 발포성 수지의 분리된 입자가 통 내부에서 상호응착, 일체로 발포작용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a)(b)는 본 고안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통(11)내부에 작은 알갱이의 발포성수지(13)을 충진시키고, 홀(12a)을 다 수곳에 천공시킨 파이프(12)를 구비하여 상기 통(11) 내부를 관통되게 하였다.
그리고, 통(11) 양측으로 형성한 나사부(14)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패킹(15)을 개재하고, 캡너트(16)로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고열증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통(11) 내부에 작은 알갱이의 발포성수지(13)을 충진하고, 파이프(12)의 홀(12a)을 통해 고열증기를 분사하여, 이를 소결가공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17은 고열증기를 주입하게 되는 주입구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11) 내부에 작은 알갱이의 발포성수지(13)를 충진되게 한 상태에서 파이프(12)를 통(11) 내부에 강제로 진입시킨다.
여기에서, 파이프(12)는 그 외주연으로 증기분사홀(12a)을 다수곳 형성하였으므로 파이프(12)에 고열의 증기를 고속 진입시키면, 증기분사홀(12a)을 통해 고열의 증기가 배출되면서 발포성수지(13)의 작은 알갱이를 밀착 고결시키게 된다.
즉, 도면 제1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장치인 고열증기배출장치(도면에 도시안됨)를 구비하여, 파이프(12)와 연결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고열의 증기를 화살표 P 와 같은 방법으로 진입시키게 되면(제1도 참조). 고열의 증기는 파이프(12) 내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다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된 홀(12a)을 따라 파이프(12)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통(11) 내부에 충진된 작은 알갱이의 발포성수지(13)는 고열에 의해 녹으면서 서로가 뭉치게 되고, 통(11) 내부와 일체로 밀착된다.
한편, 고열의 증기분사를 멈추게 되면, 스치로폴은 녹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고형화되어 이를 부표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통(11)의 외표면에 주입구(17)를 형성하고, 발포수지의 알갱이를 충진하고, 주입구를 통해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일정시간 경과후 고형화 상태가 되면, 이를 부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본 고안의 부표(10)를 바다에 배치하여 경계구역 내지는 안전지역을 표시하게 되면서, 파도와 바람등에 의해 부표(10)가 바위와 부딪치면서 겉표면이 깨질지라도, 스치로폴에 의해 바닷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되고, 내구성증대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다에 배치하여 경게구역 내지는 안전지역을 표시하는 부표 내부에 작은 알갱이의 스치로폴은 충진하고 이를 고열증기분사를 통해 통과 같이 고형화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외압에 의해 내식성이 증대되고, 부력상승 등의 효과를 지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부력은 지니도록 내부에 발포체를 가지는 구조의 통(11)으로 이루어진 부표(10)에 있어서, 발포성수지(13)의 분리된 입자를 상기의 통(11) 내부에 충진되고, 상기 통(11)의 양단에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양 나사부(14)를 관통하여 파이프(12)가 압입되어 패킹(15) 및 캡너트(16)에 의해 밀착 조립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2)에는 외면에 다수의 홀(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파이프(12)에 고열의 증기를 작용시켜 상기 발포성수지(13)의 분리된 입자가 통(11) 내부에서 상호응착, 일체로 발포작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KR2019940017233U 1994-07-12 1994-07-12 부 표 KR960010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33U KR960010278Y1 (ko) 1994-07-12 1994-07-12 부 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33U KR960010278Y1 (ko) 1994-07-12 1994-07-12 부 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929U KR960004929U (ko) 1996-02-16
KR960010278Y1 true KR960010278Y1 (ko) 1996-12-06

Family

ID=1938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233U KR960010278Y1 (ko) 1994-07-12 1994-07-12 부 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57B1 (ko) * 2019-07-18 2020-05-20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부표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04B1 (ko) * 2008-12-22 2009-07-24 동국실업 주식회사 부표 및 그 제작방법
JP6558920B2 (ja) 2015-01-26 2019-08-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57B1 (ko) * 2019-07-18 2020-05-20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부표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929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78Y1 (ko) 부 표
KR850006159A (ko) 단거리 골프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BRPI0716513A2 (pt) Bucha elétrica isolante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KR102215601B1 (ko)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US2875721A (en) Boat fender
US3368245A (en) Plastic mold
FR2457762A1 (fr) Dispositif de remplissage pour introduire une matiere thermo-plastique pre-expansee, expansible, dans des moules pour la fabrication de pieces moulees
KR950008860Y1 (ko) 합성수지제 매트리스
JPS5579117A (en)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hollow body
JPS629073Y2 (ko)
JPS60101361A (ja) 容器の密封方法
JP2010112885A (ja) 樹脂製水道メータ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7167224A (en) Manufacture of synthetic resin molding with foamed layer
JPS56146743A (en) Responsive injection molding
KR890005058Y1 (ko) 3중층 폴리에칠렌
KR20220157563A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JPS56130332A (en) Shrinkage dent preventive molding
KR0135788Y1 (ko) 수산양식용 부구
KR930005660Y1 (ko) 고온 잠열 축열기의 응력 방지장치
JPS61192914A (ja) 締付ナットの製造方法
KR960010198Y1 (ko) 냉장고의 우레탄 발포용 캡
JPS5286989A (en) Oil-water separating agent
JPS57138143A (en) Removing method for resin burr of semiconductor molded shape
JPS535434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heat-insulating bo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