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55Y1 -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55Y1
KR960010255Y1 KR2019940018847U KR19940018847U KR960010255Y1 KR 960010255 Y1 KR960010255 Y1 KR 960010255Y1 KR 2019940018847 U KR2019940018847 U KR 2019940018847U KR 19940018847 U KR19940018847 U KR 19940018847U KR 960010255 Y1 KR960010255 Y1 KR 960010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er
main body
excavation
hydraulic cylinder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394U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2019940018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255Y1/ko
Publication of KR960005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4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inclined terrain; having means for stabilizing the vehicle while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2Top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설된 굴착장비 측면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상태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연결작동부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향전환장치 110 : 실린더다이
111 : 축 120 : 유압실린더
121 : 피스톤로드 130 : 리더연결부
131 : 축덮개 140 : 방향조정레버
150 : 베어링 160 : 유압콘트롤부
200 : 본체 210 : 바퀴
220 : 운전실 230 : 붐
231 : 연결부 300 : 굴착장치부
310 : 리더 320 : 굴착스크류
321 : 비트 330 : 기어박스
본 고안은 건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굴착공을 뚫는 굴착장비의 수직방향을 자체적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에 있어서 기반을 튼튼하게 하기 위한 PC파일공사나 터파기 공사 즉 지하의 흙을 파낼 경우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가시설인 차수벽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차수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시설로서 지하에 수직 구멍을 천공한 다음 빔을 축설해야 한다. 즉 상기 차수벽을 설치하기 위한 토리판 공법의 경우 먼저 경계선 부분에 정확한 간격으로 수직 구멍을 뚫은 다음 이에 H빔 사이에 나무를 끼어 흙막이 공사를 시행한 다음 굴착장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H빔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수직구멍을 뚫어야 하는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수직 구멍을 뚫기 위한 장비로써 파일드라이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파일드라이버는 자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본체와 지하 굴착을 하는 굴착장치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일드라이버는 본체에 수직하게 굴착장치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비 전체의 균형을 통하여 수직방향 조정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렵다. 즉 지형의 특성상 장비 전체를 이동하여 굴착장치부의 수직 방향을 정확히 조정 설치함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장비에서는 각 모서리부에 각각 유압잭을 부설하여 지형에 따른 장비의 기율러짐을 조정하여 굴착공이 수직방향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유압잭에 의해 본체를 비롯한 장비 전체를 움직여야만 되므로 지반이 무른 지형이나 경사가 심한 지형에서는 정확한 수직조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며, 특히 장비가 대형이고 굴착장치부의 높이가 매우 높아 무게중심이 상승되어 장비의 이동 조정시 전복에 의한 대형 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본체와는 별도로 굴착장치부만을 간단하게 각도 조정하여 수직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하도록 하는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와 운전실 및 붐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붐에 결합 지지되는 리더와; 상기 리더에 결합 지지되는 굴착스크류와 상기 굴착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기어박스를 구성요소로 하는 굴착장치부로 이루어진 굴착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굴착장치부의 연결부는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실린더다이의 축과 리더연결부의 축덮개에 의해 연결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구동되어 본체에 대하여 굴착장치부의 방향조정을 하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가 부설된 것으로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유압콘트롤부와 리더연결부에 결합 회전작동되는 축과 붐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된 실린더다이와; 상기 실린더다이에 대하여 상대적 운동으로 방향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는 방향조정레버가 축덮개와 일체로 설치되며 전면부에 리더가 고정되는 리더연결부로 구성되어 각도조정이 용이하도록 함을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부설된 굴착장비의 측면상태도로서 본체(200)와 굴착장치부(300)의 사이 연결부에 상기 굴착장치부(300)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방향전환장치(100)가 부설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200)는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210)와 운전 조작을 하는 운전실(220)과 굴착장치부(300)의 지지기능을 하는 붐(2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굴착장치부(300)는 하단에 비트(321)가 부착된 굴착스크류(320)와 상기 굴착스크류(320)를 구동시키는 기어박스(330)와 상기 거어박스(330)가 고정되고 지지기능을 하는 리더(3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굴착장치부(300)는 방향전환장치(100)에 의해 상기 본체(200)의 붐(23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장치부(100)는 실린더다이(11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120)와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피스톤로드(121)에 연결되어 방향조정이 가능하도록 방향조정레버(140)가 설치된 리더연결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더연결부(130)와 실린더다이(11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11)과 축덮개(131)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실린더다이(110)와 일체로 연결된 축(111)과; 리더연결부(130)와 일체로 연결된 축덮개(131)의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150)이 설치되어 용이하게 회전가능 하면서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된 것이다. 상기 방향조정레버(140)는 상기 축덮개(131)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유압 실린더(120)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실린더다이(110)와 리더연결부(130)를 상호 상대적 운동을 하도록하여 본 고안의 방향조정 작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다이(110)에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공급콘트롤(160)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공급콘트롤(160)은 운전실(220)에서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압실린더(120)는 방향전환장치(100)의 양측에 설치되거나 일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작업지점에 굴착장비 본체(200)를 이동한 다음 붐(230)을 조정하여 리더(310)를 정확한 지점에 안착시킨 다음 본체(200)를 전후이동을 통하여 전후 수직방향을 먼저 조정한다. 이때에는 붐(230)과 실린더다이(110)의 연결부(231)에 의하여 조정가능 하다. 전후 수직방향이 조정 완료된 상태에서 본 고안 방향전환장치(100)에 의하여 좌우 방향을 조정한다. 운전실(220)에서의 조작을 통하여 유압콘트롤부(160)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20)를 구동시킨다. 상기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리더연결부(130)의 수직방향이 조정되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이 피스톤로드(121)에 연결된 방향조정레버(140)를 조정하여 이에 연결된 리더연결부(130)의 수직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다이(110)와 리더연결부(130)를 연결하는 축(111)과 축덮개(131) 사이의 베어링(150)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면서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리더(310)와 함께 굴착스크류(320)의 정확한 수직방향이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업장소의 지형특성에 관계없이 장비 본체가 기울어져 있다 하더라도 굴착장치부의 수직방향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조작을 운전실에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과 능률을 올릴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2)

  1.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210)와 운전실(220) 및 붐(230)을 구비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붐(230)에 결합 지지되는 리더(310)와; 상기 리더(310)에 결합 지지되는 굴착스크류(320)와 상기 굴착스크류(3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기어박스(330)를 구성요소로 하는 굴착장치부(300)로 이루어진 굴착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와 굴착장치부(300)의 연결부는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실린더다이(110)의 축(111)과 리더연결부(130)의 축덮개(131)에 의해 연결되고, 유압실린더(120)에 의해 축(111)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구동되어 본체(200)에 대하여 굴착장치부(300)의 방향조정을 하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100)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장치(100)는, 유압실린더(160)와 상기 유압실린더(120)를 제어하는 유압콘트롤부(160)와 리더연결부(130)에 결합 회전작동되는 축(111)과 붐(230)에 연결되는 연결부(231)가 일체로 구성된 실린더다이(110)와;상기 실린더다이(110)에 대하여 상대적 운동으로 방향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피스톤로드(121)와 연결되는 방향조정레버(140)가 축덮개(131)와 일체로 설치되며 전면부에 리더(310)가 고정되는 리더연결부(130)로 구성되어 본체(200)에 대한 리더(310)의 상대적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KR2019940018847U 1994-07-27 1994-07-27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KR960010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47U KR960010255Y1 (ko) 1994-07-27 1994-07-27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47U KR960010255Y1 (ko) 1994-07-27 1994-07-27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394U KR960005394U (ko) 1996-02-16
KR960010255Y1 true KR960010255Y1 (ko) 1996-12-04

Family

ID=1938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847U KR960010255Y1 (ko) 1994-07-27 1994-07-27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2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32B1 (ko) * 2005-07-14 2007-06-25 주식회사 한국콘젝트시스템 벤토나이트 방수 시트 및 제조 방법
KR100873685B1 (ko) * 2005-12-28 2008-12-11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시트 시공용 씰스트랩 및 방수 시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32B1 (ko) * 2005-07-14 2007-06-25 주식회사 한국콘젝트시스템 벤토나이트 방수 시트 및 제조 방법
KR100873685B1 (ko) * 2005-12-28 2008-12-11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시트 시공용 씰스트랩 및 방수 시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394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1503B1 (en) Casting of structural walls
CN203569566U (zh) 大倾角多功能打桩机
JP6894847B2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KR200429625Y1 (ko) 360도 회전 가능한 드리프터가 장착된 굴착용 천공기
USRE34576E (en) Casting of structural walls
CN108798511A (zh) 一种履带式吊钻一体机
KR960010255Y1 (ko) 굴착장비의 수직방향 조정장치
US11584456B2 (en) Undercarriage assembly for a machine
AU2023203458A1 (en) A drilling assembly
US20230091185A1 (en) Hydraulic excavator
KR100435120B1 (ko) 무진동 암반파쇄기의 수평 굴착작업용 브라켓 장치
JP2006124942A (ja) ケーソン用掘削装置
KR20080006320A (ko) 다 기능 천공기
JPS6249004A (ja) 建設機械
JP2860633B2 (ja) 掘削装置
KR0136023Y1 (ko) 굴착장비의 드릴 구동장치
KR100609050B1 (ko) 식혈기
EP3974585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477617B1 (ko) 레미콘 주입 및 고화제 분사용 다단 배관이 삽입된 켈리바
JP2024053368A (ja) 杭打機の制御装置
JP2832452B2 (ja) 縦穴掘削機におけるケリーバーの押込み力調整装置
JP2000213266A (ja) 削孔ドリルジャンボ
JPH10266761A (ja) ロックボルト打設機のボルタヘッドの姿勢変更機構
KR101049576B1 (ko) 굴착기용 메인 빔 자세 제어 기구 및 이를 구비한 굴착기
JP2021195728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