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180Y1 -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180Y1
KR960010180Y1 KR2019950001366U KR19950001366U KR960010180Y1 KR 960010180 Y1 KR960010180 Y1 KR 960010180Y1 KR 2019950001366 U KR2019950001366 U KR 2019950001366U KR 19950001366 U KR19950001366 U KR 19950001366U KR 960010180 Y1 KR960010180 Y1 KR 960010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buckle
tie
hand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505U (ko
Inventor
푸 치-흐신
Original Assignee
세현물산 주식회사
김기춘
선라이즈 레더 코포레이션
프랭크 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현물산 주식회사, 김기춘, 선라이즈 레더 코포레이션, 프랭크 예 filed Critical 세현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0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180Y1/ko
Publication of KR960026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8Neckties using a slide fastener to adjust the neck loo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본 고안은 조합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동식 조합 넥타이에 있어서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전통적인 매는 방법으로 목 주위에 매는 넥타이(1)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전측 늘어짐부(11), 후측 늘어짐부(12), 매듭(13) 및 넥밴드부(14)의 4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매는 방법은 현대인에게 많은 수고가 들고 때로는 번거로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결국 조합 넥타이가 개발되고 있다.
제5도는 초기의 2단 조작 조합 넥타이 예시도로서, 도시한것처럼, 전측 늘어짐부(21), 후측 늘어짐부(22) 및 매듭(23)을 구비하고, 상기 매듭(23)은 도시하지 않은 버클을 전측 늘어짐부(21)로 둘러 감싸서 이루어지고 그 후측 늘어짐부(22)는 길이방향을 따라 2등분된 상태의 상호 대응하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슬라이드 화스너의 화스너 테이프(242)가 교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매듭(23)의 아래에서 상측으로 통하여 양 상단부를 연결하여 접속하는 넥밴드부(2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할 때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밴드부(25)를 목주위에 걸고 화스너 슬라이더(241)을 끌어 올리면, 후측 늘어짐부(22)의 양 화스너 테이프(242)가 교합된다.
또한 화스너 슬라이더(241)의 화스너 손잡이(2411)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후측 늘어짐부(2411) 하단의 계지핀(2412)이 화스너 테애프(242)의 교합된 크로스 이 사이에 끼워져, 제6도와 같이 매듭(23)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지만, 착용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화스너 슬라이더(241)를 미끄러지면서 후측 늘어짐부(22)를 끌어 내리고, 또 넥밴드부(25)를 넓게하여 목에 걸고나서, 화스너 손잡이(2411)를 끌어 올려 좌우 양 화스너 테이프(242)를 교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의 2단조작이 사용상의 불편함이 된다.
이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의 버클을 구비한 조합 넥타이가 개발되어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연동조작 가능한 조합 넥타이는, 후측 늘어짐부(31)의 화스너 슬라이더(32)의 화스너 손잡이(321)를 교합방향으로 끌어 올린 상태(도시한것처럼 화스너 손잡이가 상향되어 있는 상태)에서, 넥타이 전측 늘어짐부(도시하지 않음) 상단이 매듭 상태로 편조된 버클(33)에 계지 고정되어 있고, 제8도에서와 같이, 상기 매듭내의 버클(33)은 일체 성형된 넥타이 매듭에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며, 좌우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경사지는 관통공(33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331) 사이에 대한 전벽 내측면상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부 가까이에 고정핀(332)을 돌설하고, 상기 고정핀(332) 하측의 돌기부(435)를 경계로 한 역 삼각체 상단으로 약간 내측으로 요입되는 형상의 원호면을 보이는 당접 어깨부(333)와 평탄부(334)를 형성하고,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32)가 미끄러져 당접 어깨부(33)에 당첩되어 상기 평탄부(334)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 하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화스너 손잡이(321)를 상기 양 관통공(331) 보다 상측을 통해 인출하여 넥밴드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할 때에는 상기 후측 늘어짐부(31)를 손조작으로 매면, 상기 후측 늘어짐부(31)의 양 화스너 테이프는 상기 버클(33)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원터치로 교합이 가능하여, 상기 종래에와 같이 2단조작으로 졸라 맬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상 아주 편리하게 된다.
이러한 연동조작의 조합 넥타이는 확실한 1단의 조작으로 넥타이를 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꽤 편리함이 있지만, 그 화스너 슬라이더(32)는 미끄러짐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32)의 화스너 손잡이(321)는 이미 상기 고정핀(332)에 계지되어 하향으로 회동되므로 화스너 테이프의 교합된 크로스 이를 잠그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상 잠금기능이 없기 때문에 목의 움직임으로 부터 넥 밴드부가 이완되어 매듭이 밀려 내려가기 쉬우며, 이것이 현재의 이러한 연동식 조합 넥타이의 주요 결점이다.
이에 따라 잠금기능을 부가시키려는 업자는 자동 잠금형(Auto Lock)슬라이드 화스너의 사용을 생각하고 있지만, 이 타입의 슬라이드 화스너는 자동적으로 잠기고, 이것을 해제하기에는 특정의 위치를 압압하기도 하면서 매는 방향에 역으로 미끄러지도록 하스너 손잡이를 잡아당겨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 통상의 조작으로 취급할수는 없으며, 예를 들면 급하게 넥타이를 뚫기 위한 것이 역으로 강하게 매는 것과 같은 사용상의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잠금기능을 갖고 1회의 조작으로 매는 것을 완료할 수 있고, 매듭이 용이하게 밀려 내려가지 않는 조합 넥타이에 있어서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측 늘어짐부의 폭중심을 따라 설치된 적당한 길이의 잠금형 슬라이드 화스너의 화스너 슬라이드에 있어서의 화스너 손잡이를 상향 회동시켜 넥타이 매듭의 버클에 괘지 고정하고, 그 버클을 통해서 하단측으로 교합된 후측 늘어짐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측이 분리된 넥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드 화스너가 상하로의 손조작으로 상기 버클을 통과할 때 자동적으로 교합 또는 이탈 가능한 조합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 상단에 상기 버클에 괘지 고정되는 고정핀을 마련하고,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와 연결한 상기 화스너 손잡이의 일단에 계지핀을 마련하며, 상기 화스너 손잡이를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드 화스너와 거의 부착하는 것과 같이 누르면, 그 계지편 선단이 교합되는 화스너 이 사이에 서로 걸리면서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에 통공을 천설하여 상기 버클에 돌설된 고정핀에 폐지 고정되도록 하면 일층 바람직하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잠금상태 배면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잠금상태 측단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해방상태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조합 넥타이의 입체 사시도.
제5도는 종래 2단 조작식 조합 넥타이의 사용 상태도.
제6도는 종래 2단 조작식 조합 넥타이의 잠금상태도.
제7도는 종래 연속 조작식 조합 넥타이 버클의 배면도.
제8도는 상기 종래 연속조작식 조합 넥타이 버클의 입체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슬라이드 이 42 : 후측 늘어짐부
425 : 넥밴드부 43 : 버클
431 : 고정핀 45 : 화스너 슬라이더
452 : 화스너 손잡이 453 : 고정편
454 : 계지핀 4531 : 통공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그의 화스너 슬라이더 상단에 마련된 고정핀을 버클의 고정핀에 괘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폭중심선을 따라 슬라이더 화스너를 마련된 버클을 통과한 넥타이 후측 늘어짐부를 상하로 손 조작하며 상기 버클을 경계로 자동적으로 교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와 연결한 화스너 손잡이 일단에 계지핀을 설치하여 상기 화스터 손잡이를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드 화스너에 누루는 것처럼 부착시키면, 상기 화스너 손잡이의 계지핀이 교합된 화스너 이 사이에서로 걸리면서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이 생기도록하기 때문에 화스너이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것이 불가능해지며, 상기 넥밴드부가 목의 움직임으로부터 이완되어 넥타이의 매듭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측 늘어짐부를 거의 끌어 내리면 원래 교합된 화스너 이 사이에 서로 걸리면서 계지되어 있던 상기 계지핀이 이탈하여 넥타이를 해제 이완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1,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합넥타이에 있어서 잠금장치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는 잠금형 슬라이드 화스너를 폭중심을 따라 설치된 후측 늘어짐부(42) 및 넥타이 전측 늘어짐부의 상단부를 편조 피복하여 넥타이 매듭을 형성하고 동시에 세로로 2분할시켜 각기 맞대이는 가장자리에 화스너 테이프를 설치한 상기 후측 늘어짐부(42)를 통하는 버클(43)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슬라이더 화스너는 화스너 이(41)와 화스너 슬라이더(45)를 구비하고,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45)는 버클(43)에 계착 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버클(43)은 종래기술의 제8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모양의 구조를 나타내고, 그 중요한 특징은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45)가 그의 본체(451) 정면으로 화스너 손잡이(452)를 연결하고, 상단에 통공(4531)을 뚫어 고정편(453)을 일체 성형하고 있으며, 상기 통공(3421)을 상기 버클(43)의 고정핀(431)에 괘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를 정착시켜서 화스너 이(41)의 교합을 제어한다.
상기 화스너 슬라이드(45)의 본체(451)와 화스너 손잡이(45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잠금형 슬라이드 화스너와 동일 모양이며,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45)의 본체(451)와 연결한 화스너 손잡이(452) 일단에 계지핀(454)을 돌설하고,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를 화스너테이프 주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회동과 동시에 꽉 누르게되면 상기 계지핀(454)이 상기 버클(43) 하단에 상호 교합된 화스너 이(41) 사이에 서로 걸리면서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이 생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스너 슬라이더(45)에 고정편(453)을 설치하여 버클(43) 고정핀(431)에 계착시키므로,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는 정착하고 있지만 화스너 이(41)에 따라서는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잠금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화스너와 같이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는 화스너 슬라이드와 연결한 계지핀(454)을 설치하고,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를 하방으로 화스너와 거의 부착할 수 있도록 회동시키고동시에 꽉 누르면, 상기 계지핀(454) 선단을 교합시킨 화스너 이(41) 사이에 서로걸려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을 생기게 하므로, 화스너 이(4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상기 넥크밴드부가 목의 움직임으로부터 이완되어 넥타이의 매듭이 흘러내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후측 늘어짐부(42)를 거의 잡아당기면 상기 화스너 이(41)가 거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계지핀(454)이 원래의 교합된 화스너 이(41)에 대항해서 서로 걸리면서 이탈하여 이것으로 넥타이를 풀어 이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상, 극히 편리하고 특히 화스너 손잡이(452)를 끌어 당기는 손조작이 필요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그의 화스너 슬라이더 상단에 설치된 고정편을 버클의 고정핀에 괘지하면, 후측 늘어짐부를 상하로 손조작하여 상기 버클을 통과할 때 자동적으로 교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와 연결된 화스너 손잡이 일단에 마련된 계지핀은, 상기 화스너 손잡이를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드 화스너에 부착되도록 누르면, 화스너 테이프의 교합된 화스너 이 사이에 서로걸리면서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을 발생하고, 그리고 화스너 이는 하측으로는 이동되어도 상측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해지며, 넥밴드부가 목의 움직임으로부터 이완되어 넥타이의 매듭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측 늘어짐부를 거의 끌어 내리면 넥타이를 풀어 이완시킬 수 있으며, 사용상 극히 편리하고, 특히 화스너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손조작이 필요치 않다.

Claims (2)

  1. 후측 늘어짐부(42)의 폭중심을 따라 설치된 적당한 길이의 잠금형 슬라이드 화스너의 화스너 슬라이드(45)에 있어서의 화스너 손잡이(452)를 상향 회동시켜 넥타이 매듭의 버클(43)에 괘지 고정하고, 그 버클(43)을 통해서 하단측으로 교합된 후측 늘어짐부(4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측이 분리된 넥밴드부(425)를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드 화스너가 상하로의 손조작으로 상기 버클(43)을 통과할 때 자동적으로 교합 또는 이탈 가능한 조합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45) 상단에 상기 버클(43)에 괘지 고정되는 고정핀(453)을 마련하고, 상기 화스너 슬라이더(45)와 연결한 상기 화스너 손잡이(242)의 일단에 계지핀(454)을 마련하며, 상기 화스너 손잡이(452)를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드 화스너와 거의 부착하는 것과 같이 누르면, 그 계지편(454) 선단이 교합되는 화스너 이(41) 사이에 서로 걸리면서 계지되어 한쪽방향으로 잠금작용이 생기도록 한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453)에 통공을 천설하여 상기 버클(43)에 돌설된 고정핀(431)에 폐지 고정되도록 한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KR2019950001366U 1995-01-27 1995-01-27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KR960010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366U KR960010180Y1 (ko) 1995-01-27 1995-01-27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366U KR960010180Y1 (ko) 1995-01-27 1995-01-27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505U KR960026505U (ko) 1996-08-17
KR960010180Y1 true KR960010180Y1 (ko) 1996-11-28

Family

ID=1940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366U KR960010180Y1 (ko) 1995-01-27 1995-01-27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1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505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333A (en) Cord lock with cord removal slot
EP1631754B1 (en) Single finger pull cord lock release
US4987653A (en) Band retaining unit having a multi-lock effect
US5758390A (en) Reversible cable tie
TW542703B (en) Attachment for zipper cord
JPS62159605A (ja) スキ−ブ−ツの腰革閉止装置
US3942192A (en) Necktie
US4055876A (en) Slider for invisible-type slide fastener
JPH1122110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US6185794B1 (en) Buckle, particularly for the heel strap of open heel swim fins
US20070022579A1 (en) Slide fastener
US6163941A (en) Adjustable buckle device
US2887752A (en) Slide fastener attachment
US4022506A (en) Zipper operator
US5435045A (en) Tension fastener for use with backpacks and the like
KR960010180Y1 (ko) 조합 넥타이의 잠금장치
US2114683A (en) Removable slide fastener
US1681549A (en) Coupling member for attaching devices
US4069555A (en) Automatically locking security slider fastener
US3510919A (en) Adjustable belt
US6931707B1 (en) Zipper assist device
CN111096524A (zh) 一种末端带拆卸式活动止挡的闭口拉链
KR20010101485A (ko) 스키 폴 핸들
JP4889145B2 (ja) ペットの引紐
JPH0739615A (ja) スキー手袋とグリップと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