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485A - 스키 폴 핸들 - Google Patents

스키 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485A
KR20010101485A KR1020017008816A KR20017008816A KR20010101485A KR 20010101485 A KR20010101485 A KR 20010101485A KR 1020017008816 A KR1020017008816 A KR 1020017008816A KR 20017008816 A KR20017008816 A KR 20017008816A KR 20010101485 A KR20010101485 A KR 2001010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nob
ski pole
wedg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르 에릭 볼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스윅스 스포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스윅스 스포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10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63C11/2224Connection systems for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63C11/2228Details of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핸들(1)에 고정되는 고리(3)의 실제 길이를 조정가능한 스키 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핸들(1)은 상부에 상기 고리(3)가 꿰여지는 관통 공동(9)을 가지며, 그리고 하나의 요소(12)는 상기 공동(9)의 하향 테이퍼링 부분의 벽에 대해 상기 고리(3)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9)내부에 하향 가압되도록 적용된다. 상기 요소(12)가 상기 고리(3)를 각각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핸들(1)과의 관계에서 아래로 밀려지고 상승될 수 있는 조절 노브(4)에 위치되며, 상기 노브(4)는 상기 고리(3)에 대해 관통 틈새 또는 틈새들(8)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키 폴 핸들{SKI POLE HANDLE}
분리 쐐기(wedge)의 사용에 의해 상부로부터 공동 내부 아래로 눌려지는 고리 같은 것을 잠그는 것이 알려져 있다. 쐐기를 해제하기 위하여 고리는 상부로 당겨질 수 있는데, 그리하여 쐐기는 그것을 수행하고 고정 작용은 중단되며, 그리고 고리는 조절될 수 잇다. 노르웨이 등록공보 148439호는 이런 쐐기의 사용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쐐기는 고리의 단부에 고정되며, 그리하여 고리는 풀려있는 쐐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당기도록 사용된다. 조절이 이루어질 때 쐐기를 외부로 당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당기는 플랩(flap) 또는 고리를 구비한 쐐기가 장착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더욱이, 노르웨이 등록공보 145068호로부터, 유사한 원리가 알려져 있는데, 쐐기는 공동에 힌지된 버클에 의해 대체되고 공동에 피벗되는 것에 의해 고리를 고정한다.
스위스 특허 596859호는 폴의 디스크가 끼거나 스키어가 넘어질 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의 길이방향에서 폴로부터 떨어져 강하게 움켜 잡을 때 해제에 적합한 고리를 구비한 폴 핸들을 나타내고 있다. 고리의 한 단부는 홀을 가지며 핸들의 상부의 작은 핀에 후크(hook)되고, 고리의 다른 단부에는 스냅(snap) 결합의 사용에 의해 핸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조절 노브가 구비되어 장착된다. 왜냐하면 고리의 먼저 언급된 단부는 핀을 위한 다수의 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리의 실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리가 고정될 수 있는 핸들의 어느 공동을 통해서도 고리는 꿰여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분리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핀에 후크된 고리의 단부는 핸들의 최상부의 좁은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해 다음의 청구항 제1항에 나타난 스키 폴 핸들이 제공된다.
요소가 조절 노브에 위치된다는 사실에 의해 고리의 클램핑 및 고리의 실제의 길이로의 조정을 위한 해제는 조절 노브의 아래로 누름과 상승에 의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작동을 쉽게 한다.
고정요소는 공동에서 아래로 향하는 노브와 결합된 블록 또는 쐐기를 포함하며, 이것은 하향 테이퍼 부분을 가진다. 블록 또는 쐐기에 추가로 노브는, 쐐기의각 면에 하나씩, 서로에 면하는 고정 보더(borders) 또는 에지(edges)를 갖는 암(arm)을 포함하여, 노브가 핸들에 대하여 아래로 밀려질 때 두 고리의 부분은 각각의 암과 블록 또는 쐐기의 한 면 사이에 고정된다. 고리의 클램핑을 개선하기 위하여, 블록 또는 쐐기가 상기 암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되더라도, 블록 또는 쐐기는 외부 고정 보더 또는 에지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노브는 핸들의 본래의 범위(natural extension)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노브를 가이드하고 상승위치에 있을 때, 즉 고정이 일어나지 않아서,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브 및 핸들은 서로 맞물리는 부재를 가지나, 핸들에 대하여 노브의 필요한 아래로 누름 및 상승은 가능하다. 이런 부재는, 예를 들면, 노브의 벽에 수직이며 연장된 오목부(recess)일 수 있으며, 혹은 두 개 이상의 위치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대응 돌출부, 예를 들면, 짧은 핀 일 수 있으며, 핸들의 상기 오목부에 상응하여 혹은 두 개 이상의 위치일 수 있어, 그리하여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이 노브의 벽의 오목부 또는 오목부들에 삽입된다. 오목부 또는 오목부들은 일정하지 않은 폭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조임부를 가져서, 조임부 또는 조임부들은 핸들에 대한 노브의 움직임 동안 핀 또는 핀들을 통과하여야만 한다. 이런 전제는 노브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노브는 두 개 이상의 잘 규정된 위치를 가지며 조임부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하나의 조임부는 두 개의 규정된 위치를 의미하고, 두 개의 조임부는 3개의 규정된 위치를, 기타등등, 의미한다). 조임부 또는 조임부들은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켜서 노브의 의도되지 않은 상승을 방지한다. 노브가 두 개 이상의 규정된 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의 다른 정도를 요구하는, 다른 두께를 가진 고리들이 같은 형태의 핸들에 모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의 정도는 노브가 핸들에 대해 얼마나 멀리 아래로 눌려지는가에 의존한다.
핸들의 작동은 고리의 고정을 위한 분리 쐐기 또는 힌지된(hinged) 부재를 가진 실시예에서 비교적 단순해진다. 노브는 핸들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고정 및 고정의 해제를 위해 각각 아래로 눌려지거나 상승함에 의해 작동된다. 노브가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핸들과는 다른 색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움직임의 방향은 노브상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질 수 있다. 왜냐하면 노브는 핸들로부터 풀어짐에 대비하여 잠겨져 있기 때문에 분실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본 발명에 따른 스키 폴 핸들의 비-제한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핸들에 고정되는 고리(strap)의 유효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한 스키 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핸들은 상부에 상기 고리가 통과하여 꿰여지는(thread) 공동(cavity)을 가지며, 그리고 공동의 하향으로 테이퍼된 부분의 벽(wall)에 대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요소가 공동으로 하향하여 가압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아래" 및 "하향으로"는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부에 핸들을 가진 폴에 대한 상대적인방향을 의미한다.
도1은 핸들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노브를 가진 스키 폴의 상단부에 고정된 핸들을 도시한다.
도2는 핸들에 고정된 고리를 가지며 핸들에 장착된 노브를 가진 도1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다.
도3은 상부면에 수직으로 도시된 노브를 도시한다.
도4는 도1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5는 도1의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6은 두 개의 고리 단부가 핸들의 내부에 어떻게 고정되는가를 도4 및 도5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1 및 도2는 스키 폴(2)에 고정된 핸들(1)을 나타내나, 단지 작은 부분을 도시한다. 핸들(1)은 스키 폴(2)의 단부에 예를 들면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거기에 접착될 수 있다. 상부에서, 핸들은 페그(peg)형상의 단부(5)를 가져서 다소 좁아진다. 도1에서 분리되어 도시된, 노브(4)는 도2에서와 같이 핸들(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는 중공이며 핸들(1)의 단부(5)의 외부에 맞는 원주 벽(circumferential wall)(11, 도4)을 가진다. 장착상태에서, 상기 노브(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의 본래의 범위를 구성한다. 핸들(1)의 장착위치에서 노브(4)를 고정하고 그리고 핸들(1)에서 상대적으로 노브(4)의 소정의 움직임을 동시에 허용하기 위하여, 핸들의 단부(5)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짧은 핀을 가진다. 도1 및 도2는 단부(5)의 일측에서 하나의 핀(6)을 도시하며, 반면에 도5 및 도6은, 단면으로, 둘 다의 핀(6)을 도시한다. 노브(4)에는, 벽(11)을 통해 연장된(도4), 두 개의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4)가 핸들(1)에 장착될 때, 오목부는 소정의 위치를 가져서 핀(6)이 오목부(7)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은 노브(4)의 탄성변형을 필요로 하므로 벽(11)의 각면의 하부는 핀(6)을 통과시킬 수 있다. 벽(11)의 탄성 역-변형(back-deformation)때문에, 노브(4)는 핸들(1)의 단부(5)로부터 제거에 대비하여 잠겨진다.
오목부(7)가 가늘고 긴 형상을 가졌기 때문에, 노브(4)는 단부(5)에 대해 다소 움직여 질 수 있다. 움직임의 거리는 핀(6)의 직경에 대한 오목부의 초과된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목부(7)는 단지 하나의 조임부을 가진다. 설명된 바와 같이, 오목부(7)는 다수의 조임부를 가질 수 있다. 도1에 나타난바와 같이, 오목부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런 형상을 가져서 중간에서 조여져,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노브(4)의 움직임을 위하여 조임부들은 핀(6)을 통과시켜야만 한다. 그래서 노브(4)가, 오목부(7)의 조임 때문에, 규정된 단 위치들을 갖는 것이 이루어진다. 하나이상의 조임부를 가진 오목부를 형성하여, 노브는 단부 위치사이에서 하나이상의 규정된 위치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도2는 핸들(1) 및 노브(4)를 통하여 꿰여진 고리(3)를 도시한다. 고리는 잘려져 도시되었고, 사실상 아래고 루프(loop)로 이어져 있다.
도3은 상면에 수직으로 도시된 노브(4)를 도시한다. 노브(4)는, 거기를 통하여 고리(3)의 자유단들을 꿰기 위하여, 두 개의 긴 틈(8)을 가지고 있다.
도4 및 도5는 노브(4)와 핸들(1)의 상부단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6은, 상응하는 단면으로, 핸들에 장착되고 고리(3)의 단부가(점선으로 도시) 핸들(1)내부에 고정된 상태의 노브(4)를 도시하는데, 즉 노브(4)가 핸들(1)에 상대적으로 아래로 눌려진 것을 도시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4)는 도3에 도시된 두 개의 틈(8)을 가진 상부 벽(10)을 포함한다. 더욱이, 노브(4)는 오목부가 형성된 벽(11)을 포함한다.
상부벽(10)의 중간에서, 노브(10)는 약간의 날카로운 에지를 갖는 돌출부(14)를 자유단 위에서 가질 수 있는 내부 쐐기(inner wedge)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브(4)는 쐐기의 각 면에 하나씩 두 개의 암(13)을 추가적으로 가지며, 그리고 암들은 또한 쐐기(12)에 접한 에지(15)를 갖는 것으로 또한 도시된다.
노브(4)는 핀(6)을 통과하도록 탄성적으로 노브(4)의 벽(11)을 변형시킴에 의해 핸들(1)의 좁은 단(5)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어, 벽(11)의 탄성 역-변형이 오목부(7)가 각 핀들(6)을 감싸도록 한다. 그러므로 노브(4)는 오목부(7)의 자유공간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즉 이것들이 원통형일 때 핀들(6)의 직경보다 작은 오목부(7)의 길이, 핸들(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핀(6)이 파라렐-에파이페디칼(parallel-epipedical)과 같은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노브(4)가 핸들(1)의 상부위치에 있을 때, 암(13)은 핸들의 내부 공동(9)의 벽에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도6에 도시된 것보다 더 높은 위치로 그리고 쐐기(12)는 상응하는 높은 위치로 위치되는데, 왜냐하면 암(13)과 쐐기(12) 모두는 노브(4)의 상부 벽(10)과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두 개의 고리 단부(3)는 핸들의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아래 및 위로부터 핸들(1)의 공동(9)를 통하여, 그리고 노브(4)를 통하여 더 위로 꿰여질 수 있다. 고리 단부(3)는 핸들(1)위에 노브(4)를 장착하기 전에 핸들(1)과 노브(4)를 통하여 꿰여질 수 있어, 고리 단부(3)는 노브(4)의 틈새(8)에 들어갈 수 있도록 쉽게 가이드 될 수 있다.
핸들(1)위에서 완전히 아래로 노브(4)를 누르기 전에 고리가 핸들(1)로부터 아래로 적절한 루프를 형성하도록 고리 단부(3)는 위치되어, 노브(4)가 도2 및 도6에 도시된 위치 아래로 눌려진다. 그 결과, 암(13)은 핸들(1)의 하향으로 테이퍼진공동(9) 때문에 쐐기(12)에 대해 변형되어, 암(13)위의 에지(15)는 고리 단부(3)에 대해 가압되고 그리고 쐐기(12)위에서 에지(14)에 대해 고리 단부(3)를 가압한다. 그 결과, 고리 단부(3)는 핸들(1)내부에 고정된다.
고리 루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핸들(1)의 상향 범위를 구성하는, 노브(4)는 매여지며 오목부(7)와 핀(6)에 의해 결정되는 만큼의 거리를 상향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고리 단부(3)의 고정은 해제되어, 사용자는 루프에 대하여 적절한 크기로 고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노브(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고리 단부(3) 또는 핸들(1)로부터 돌출된 고리를 당길 수 있고, 노브(4)는 아래로 눌려져 선택된 위치에 고리를 고정한다.
도시된 암(13)은 제거될 수 있는데, 그러면 고리가 쐐기(12)에 의해 공동(9)의 벽에 대해 직접 가압된다. 그러나 암(13)의 제거는 고리의 고정을 더 위험하게 할 것이다. 특히 핸들이 다른 두께를 가진 고리와 함께 사용될 때 암(13)은 확실한 고정이 어떤 경우에도 달성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쐐기(12)는 패러랠레피페딜컬 블록과 같은 다른 요소에 의해 대치될 수 있는데, 노브(4)의 일부로서 아래로 눌려짊에 의해 공동(9)에서 고리를 고정할 것이다.
공동(9)은 핸들내에 위치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복합요소인 핸들에 방해물이 없어, 공동은 상부 핸들 요소 내에 위치되며, 반면에 핸들의 나머지는 상부 요소가 부착되는 다른 요소를 구성한다. 예로서 핸들의 상부 요소는 플라스틱 일수 있고, 반면에 핸들의 다른 요소는 예를 들면 스킨, 가죽, 및 코르크인 외부 라이너를 가진 플라스틱 슬리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핸들의 상부 요소와 슬리브는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는 라이너를 가지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Claims (9)

  1. 상부에 고리(3)가 꿰여지는 관통 공동(9) 및 상기 공동(9)의 하향으로 테이퍼된 부분의 벽에 대해 상기 고리(3)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9)내부로 하향 가압되기에 적합한 하나의 요소(12)를 갖는, 핸들(1)에 고정되는 고리(3)의 유효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한 스키 폴 핸들에 있어서,
    상기 요소(12)가 상기 고리(3)를 각각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핸들(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래로 눌려지고 그리고 상승될 수 있는 조절 노브(4)위에 위치되며, 상기 노브(4)가 상기 고리(3)를 위한 관통 틈새 또는 틈새들(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12)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12)가 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4)가 상기 블록 또는 쐐기의 각면의 암(13)을 포함하며, 상기 암(13)이 상기 블록 또는 쐐기(12)에 면하는 고정용 보더 또는 에지(1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또는 쐐기(12)가 외부고정 보더 또는 에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4)는 핸들(1)의 상 단부(5)를 둘러싸는 원주 벽(11)을 포함하며, 상기 벽의 그리고 상기 핸들(1)의 단부상의 협력부재는 핸들의 길이방향으로 노브(4)의 제한된 움직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11)이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며 그리고 핸들(1)의 상기 단부(5)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하며 상기 노브(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응하는 수의 돌출부(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오목부들(7)이 상기 단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를 가져서, 상기 조임부 또는 조임부들이 상기 노브(4)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6)을 통과하여야 하고, 상기 노브(4)가 적어도 두 개의 규정된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오목부들(7)이 하나 이상의 조임부를 가져서, 상기 노브(4)가 적어도 3개의 규정된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폴 핸들.
KR1020017008816A 1999-11-12 2000-11-06 스키 폴 핸들 KR20010101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95570A NO995570A (no) 1999-11-12 1999-11-12 Skistavhåndtak
NO19995570 1999-11-12
PCT/NO2000/000370 WO2001034255A1 (en) 1999-11-12 2000-11-06 Ski pole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485A true KR20010101485A (ko) 2001-11-14

Family

ID=1990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816A KR20010101485A (ko) 1999-11-12 2000-11-06 스키 폴 핸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31927B1 (ko)
EP (1) EP1165192A1 (ko)
JP (1) JP2003513723A (ko)
KR (1) KR20010101485A (ko)
CN (1) CN1142805C (ko)
AU (1) AU1422501A (ko)
CA (1) CA2358911A1 (ko)
CZ (1) CZ20012565A3 (ko)
EA (1) EA002715B1 (ko)
HU (1) HUP0105026A3 (ko)
IS (1) IS5981A (ko)
NO (1) NO995570A (ko)
PL (1) PL348358A1 (ko)
SK (1) SK9212001A3 (ko)
WO (1) WO2001034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5812B2 (en) * 2005-04-28 2010-10-05 Honda Access Corp. Grip
WO2009022047A1 (en) * 2007-08-15 2009-02-19 Exel Sports Oy Handgrip and handstrap for a pole
NO334658B1 (no) 2012-09-27 2014-05-12 Swix Sport As Stavhåndtak anordnet med en stropp, skistav med samme samt fremgangsmåte for å justere størrelsen på en håndleddløkke
EP2837413A1 (en) 2013-08-12 2015-02-18 Kv2 Sagl Kit comprising a hand strap and a pole
ITMI20131882A1 (it) * 2013-11-13 2015-05-14 Taoufik Khamitov Cinghia da polso per bastoncini per lo sport
US9713759B2 (en) 2015-02-02 2017-07-25 Andrew D. Liebner Ski pole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0014A (en) * 1967-08-17 1971-02-02 Franz Xaver Bruckl Ski pole provided with hand loop
SE338530B (ko) * 1969-12-05 1971-09-06 Gustafsson Med Fa Moon H
DE2506221A1 (de) * 1975-02-14 1976-08-26 Dethleffs Kg In Isny Skistockgriff mit loesbarer handschlaufen-befestigung
AT348391B (de) * 1976-07-26 1979-02-12 Hinterreiter Ignaz Skistockgriff aus kunststoff
FI63679C (fi) * 1977-12-30 1983-08-10 Exel Oy Anordning foer reglering av laengden hos en skidstavs handledsrem
FI59729C (fi) * 1978-02-20 1981-10-12 Exel Oy En knoppformig oevre del foer ett skidstavshandtag
SE430216B (sv) * 1982-02-15 1983-10-31 Formel Produkter Skidstavshandtag med reglerbar och snabblosbar handlovsremogla
NO159769B (no) * 1986-01-17 1988-10-31 Svend Bach Christensen Haandtak for skistav.
DE4228969C2 (de) * 1992-08-31 1994-12-01 Klaus Lenhart Stockgriff
DE29520269U1 (de) * 1995-12-21 1996-03-07 Lenhart Klaus Stockgriff
DE19636852C1 (de) * 1996-09-11 1998-02-12 Klaus Lenhart Stockgriff mit Handschlaufe
FR2792539B1 (fr) * 1999-04-23 2001-06-01 Rossignol Sa Poignee de baton de ski equipee d'une dragonne de securite
US6439610B1 (en) * 1999-05-18 2002-08-27 Gipron Giuseppe Pronzati S.P.A. Stick handle for ski, trekking and the lik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US6386588B1 (en) * 2000-02-02 2002-05-14 John Young Ski pole grip and stra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5570D0 (no) 1999-11-12
SK9212001A3 (en) 2001-12-03
PL348358A1 (en) 2002-05-20
WO2001034255A1 (en) 2001-05-17
JP2003513723A (ja) 2003-04-15
HUP0105026A2 (hu) 2002-04-29
NO309595B1 (no) 2001-02-26
CZ20012565A3 (cs) 2001-11-14
CA2358911A1 (en) 2001-05-17
HUP0105026A3 (en) 2003-02-28
AU1422501A (en) 2001-06-06
US6631927B1 (en) 2003-10-14
EA200100728A1 (ru) 2002-02-28
CN1142805C (zh) 2004-03-24
NO995570A (no) 2001-02-26
IS5981A (is) 2001-06-28
EP1165192A1 (en) 2002-01-02
CN1336839A (zh) 2002-02-20
EA002715B1 (ru)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6280A (en) Releasable tie
KR950001610Y1 (ko) 끈 조정구
US5720084A (en) Securing device for footwear
KR102082439B1 (ko)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US4220301A (en) Flexible strap type mounting device
US5758390A (en) Reversible cable tie
CA2090411A1 (en) Quarter turn fastener
US7797800B2 (en) Buckle for connecting a wrist strap to the handgrip of a pole for use in sporting activities
US7020933B2 (en) Connector device for suspending straps
CA1179698A (en) Fastening means for the wrist strap of a ski stic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20102631A1 (en) Buckle device with elastic band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6163941A (en) Adjustable buckle device
US5575045A (en) Roller skate fastening device
KR20010101485A (ko) 스키 폴 핸들
CA2299720A1 (en) Device for tensioning lace fastenings, in particular for a sports shoe
CA1303455C (en) Umbrella frame
US20060097124A1 (en) Portable apparatus for demarcating a reg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US4592116A (en) Rope securing device
EP0891503A1 (en) Cord locks
EP1118362A2 (en) Stick grip
JP2002537879A (ja) コード固定装置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EP0547087B1 (en) Lever fastening device for footwear in general
JPH049841Y2 (ko)
JPH04115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