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020B1 - 소결기의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소결기의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020B1
KR960010020B1 KR1019900701337A KR900701337A KR960010020B1 KR 960010020 B1 KR960010020 B1 KR 960010020B1 KR 1019900701337 A KR1019900701337 A KR 1019900701337A KR 900701337 A KR900701337 A KR 900701337A KR 960010020 B1 KR960010020 B1 KR 96001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intering machine
roll
pallet
sea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302A (ko
Inventor
구니히로 다나까
나오끼 이시하라
요우이찌 에자와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9/000475 external-priority patent/WO1990013782A1/ja
Publication of KR92070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9/00Combinations of furnaces of kind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소결기의 밀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그 정면도.
제3도는 밀봉판 부착로울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밀봉판의 상세단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6도는 DL식 소결기의 전체개략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밀봉장치의 측면도.
제8도는 그 측면도.
제9도는 배출가스중의 CO농도와 산화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DL식 연속가동소결기의 팰리트(pallet)진행방향에 있어서 양단부에 배치된 윈드박스(wind box)의 공기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DL형 이동상식(移動床式)소결기는 이동 팰리트상에 가연성분을 함유한 소결원료를 올려놓고 이동시켜서 소결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에서는 소결원료의 위표면으로부터 소결원료중의 가연 성분에 점화하여 팰리트 아래쪽의 윈드박스(12)에 접속한 흡인송풍기에 의해 가스를 흡입한다.
상기한 가연성분의 연소를 소결원료의 상충으로부터 하층으로 진행시켜 팰리트상의 소결원료를 소결시킨다.
DL식 소결기에서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의 윈드박스(12)의 공기밀봉 구조는 종래에는 평탄형 밀봉판의 표면을 팰리트의 하면에 압착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팰리트의 휨변형때문에 밀착시킬 수가 없었다.
따라서,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의 밀봉부로부터 윈드박스(12)내로 외기의 유입에 의해 배출가스 처리설비에서의 소비에너지나 처리비용이 증대한다는 큰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최근 일본국 실개소 62-38598호 공보에서 팰리트의 진행방향에 대한 경사시킨 밀봉판을 복수개 설치한 밀봉장치로서 밀봉판의 정상부를 팰리트 하면과 병행하도록 굽혀서 정상부 병행면에 세라믹스의 밀봉부재를 장착시킨 소결기용 밀봉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복수개의 밀봉판간에 섬유상물체를 끼워넣어서 밀봉판의 휨변형을 방지하고 있지만 팰리트로부터의 소결원료의 낙하물이 섬유상 물체내에 퇴적해서 밀봉판의 작동을 방해해서 원할한 밀봉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밀봉판의 경사각도가 서서히 수직측으로 이행해서 휨변형이 큰 팰리트와의 접촉상태가 강하게 되어 누름부재의 마모, 탈락 및 세라믹스판의 탈락등을 볼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누출이 대단히 적은 소결기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의 윈드박스(12)의 밀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간의 공기의 누출까지도 윈드박스(12)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소결기의 배출가스 처리설비에 있어서의 소비에너지나 처리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소결기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축의 윈드박스(12)의 밀봉장치의 공기누출방지에 대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팰리트(14) 하면에 마주접하는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밀봉부재와 그 복수의 밀봉부재간의 공간을 외기에 대해 격리단절시킨 밀봉실(66)을 갖춘 밀봉장치를 개발했다.
이 밀봉실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독립적인 송풍기를 설치하면 더욱 좋다.
상기한 밀봉부재로서 밀봉판을 외부주위에 방사상으로 돌출설치한 회전가능한 로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울의 방사상으로 돌출설치한 밀봉판의 앞쪽끝을 팰리트의 바닥면 및 상기한 밀봉실 내면에 긴밀하게 맞닿게해서 구성하면 밀봉성능이 매우 좋은 적당한 밀봉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더 나아가서 이 밀봉판 부착로울의 밀봉판의 양면에 따라서 다수의 와이어(wire)를 방사상으로 돌출설치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로울의 양단면은 로울의 축 방향으로 다수의 와이어를 돌출설치하면 외기의 침입을 다시 더 억제할 수가 있다.
밀봉실은 이 밀봉판 부착로울의 아래쪽에 외기와 격리단절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 밀봉실에는 밀봉실내의 공기를 빼내어 소결기 배출가스계외로 방출시키기 위한 도관(duct), 소결기의 주송풍기와는 독립적인 배기팬 및 배기통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또 밀봉부재로서 팰리트 하면에 평판면을 압착하는 평판상 밑봉판을 가진 공기 밑봉장치를 복수로 부착하고, 그 중간부에 밑봉실을 마련하고, 이 밑봉실로부터 침입외기를 소결기 배출가스계외로 방출시키기위한 도관(72), 배기팬(74) 및 배기통(76)을 갖춘 밀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결기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츨축의 윈드박스(12)에 회전로울식 밀봉부재 및 누출된 공기를 소결기 배축가스계외로 방출시키기 위한 도관, 누출공기 배기팬 및 배기통을 부착시켜서 윈드박스(12)내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회전로울식 밀봉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밀봉과 부착로울과 밀봉실과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봉판 부착로울의 밀봉판 앞쪽끝부분을 팰리트하면서 접촉시켜서 밀봉판 부착로울을 회전시키므로서 윈드박스(12)내에 유입하려고하는 외기를 바깥쪽으로 토출시켜서 밀봉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밀봉한 부착로울이 외기의 유입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고, 약간량의 외기의 침입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외기가 침입해도 밀봉실내 공기의 배기송풍기에 의해 침입외기가 계외로 방출되기 때문에 윈드박스(12)내에의 외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밀봉 및 밀봉실내공기의 방출을 행하므로서 소결배기 가스량의 감소, 팬전력의 삭각 및 후속설비의 탈황, 탈질장치의 처리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와 병행해서 가스 산화장치 내에서의 배출가스중의 CO의 산화율이 향상되므로 탈질가열로에서의 CO를 산화시키기 위한 연료소비를 삭감할 수가 있다.
제6도는 DL식 소결기(10)의 전체 모식도이다.
윈드박스(12)의 광물공급측 공기밀봉부(16) 및 광물 배출측 공기 밀봉부(18)에는 제7도,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구조의 공기 밀봉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제7도는 측면도, 제8도는 정면도로서, 제8도는 일부 생략된 그림이다.
이 공기 밀봉장치(30)는 밀봉판(32)를 힌지기구(hinge mechanism)(34)로 지지하고, 균형추(36)로 밀어올려 팰리트(14)의 하면과의 사이에서 외기의 윈드박스(12)내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팰리트(14)는 사용중에 탑재원료의 하중, 열 및 흡인압력 때문에 휨변형이 생기가 쉽다.
통상, 10㎜이내의 휨변형이 생기고 있다.
종래의 공기밀봉장치(30)는 밀봉판(32)를 균형추(36)를 사용해서 팰리트(14)의 하면을 밀어올려서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팰리트(14)의 휨변형에 대응시키기 위해 정상적인 팰리트(14)의 하단보다 5㎜ 정도 내린 위치에 밀봉판의 상면이 위치하도록 제한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휨변형이 생기지 않은 팰리트(14)에 대해서는 5㎜의 간격이 생겨서 외기가 윈드박스(12)내로 유입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팰리트(14)의 휨변형이 5㎜를 넘은 팰리트(14)의 중앙부의 휨이 큰 부분만의 접촉이되어 밀봉판(32)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간격이 생겨서 외기가 윈드박스(12)내로 유입한다.
소결기의 배출가스계통은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결기(10)의 배출가스를 윈드박스(12), 윈드레그(wind ieg)(20), 가스주배관(22), 집진기(40)를 거쳐 주송풍기(42)에 의해 흡인하도록 되어있다.
주송풍기(42)의 뒤쪽에는 탈황장치(44), 열교환기(45), 탈진용 송풍기(46), 탈질장치(50), CO가스 산화장치(52)등이 배치되고 배출가스는 이들을 경유해서 연통(54)로부터 대기로 방출하도록 되어있다.
외기가 윈드박스(12)내로 유입되면 배출가스량이 증대하고, 주송풍기(42)나 탈질용 송풍기(46)에서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탈황장치(44)나 탈질장치(50)에서의 처리비용이 증대한다.
또 소결기(10)의 배출가스중의 CO가스농도는 외기의 유입에 의해 저하한다.
그러면 CO가스 산화장치(52)에서는 베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산화율이 저하하고, 그 결과 산화열량의 저하에 의해 열교환기(45)에서의 열교환량이 저하하고, 따라서 열량을 보급하기 위해 탈질가열로(48)에 투입하는 열량이 증대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로울식 밀봉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그 정면도이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시예의 소결기의 밀봉장치로서 사용되는 회전로울식 밀봉장치(60)는 복수개의 부착로울(밀봉부재)(62)와 그 하부의 밀봉실(66)로 구성되어 있다.
밀봉판 부착로울(62)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축에 부착되는 밀봉판부착로울(62)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밀봉판(82)을 부착시킨 것이다.
이 밀봉판(82)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다수의 와이어 브러시(80)로 보호된 1매 내지 복수매의 엷은 강판제이다.
이 밀봉판(82)는 심봉(84)를 중심으로 강판제캡(86)으로 단단히 결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봉판(82)가 로울(62)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로울(62)의 양단면에는 열신축을 고려해서 로울의 축방향에 다수의 와이어(88)로 보호된 측면밀봉판이 부착되어 있다.
밀봉판부착로울(62)는 밀봉판이(82) 팰리트 하면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밀봉판(82)는 선단이 꼭 접촉하는 길이보다 약 10㎜ 정도 긴 치수로 되어있다.
또 밀봉판부착로울(62)의 양단면의 와이어(88)는 그 선단이 밀봉실(66)의 내면과 10㎜ 정도 겹치는 치수로 제작되어 밀봉실의 내면에 강하게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밀봉판부착로울(62)을 전동기(88)로 체인(70) 및 스프로킷(sprocket)등의 구동전달장치를 통해서 외기의 유입방향(102)와 역방향(104)으로 고속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윈도우박스(12)내로 유입하려고하는 외기의 진입을 방지하고 역방향으로 토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3개의 밀봉판부착로울(62)로 된 회전로울식 밀봉장치(60)가 소결기(10)의 윈드박스(12)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 공기 밀봉장치로서 부착되어 있다.
밀봉판부착로울(62)은 회전수가 매분 50회전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종래의 소결기에 비해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으로부터 유입하고 있던 노출공기가 약 10%로 감소했다.
다시 또 밀봉판부착로울(62)를 회전시키면서 누출공기 배출팬(74)을 운전한 바 누출공기를 완전히 방자할 수가 있었다.
이것에 의해 소결기의 배출가스 송풍기전력 및 탈황, 탈질처리비용을 약 25% 삭감할 수가 있었다.
한편, 소결배출가스중에의 외기의 유입(누출공기)이 없어졌기 때문에 소결배출가스중의 CO가스 농도가 상승하여 CO의 산화율이 향상되고, 탈질가열로에서의 연료의 사용량을 약 205삭감할 수가 있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전의 공기밀봉장치(30)과 같은 공기밀봉장치를 중간밀봉실(90)에 끼워서 설치하고, 이 중간밀봉실(90)의 누출공기를 소결배출가스계 밖으로 방출시키기위한 도관(72), 누출공기배출팬(74) 및 배기통(76)을 설치한다.
이 장치에 의해서도 소결배출가스량이 감소하고, 주송풍기 전력의 삭감 및 후속설비의 탈황, 탈질장치의 처리비용을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겸해서 CO가스산화율의 향상에 의한 탈질가열로에서의 연료소비량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결기의 밀봉장치에 밀봉장치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소결기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으로부터 유입되고 있던 누출공기를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DL식 소결기의 광물공급측 및 광물배출측에 있어서의 윈드박스(12)의 밀봉장치(60)에 있어서, 소결기(10)의 팰리트(14)의 하면에 마주접해서 직렬로 배치한 복수의 밀봉부재와, 이 복수의 밀봉부재 사이의 공간을 외기에 대해 격리단절시킨 밀봉실(66)과, 밀봉실(66)로부터 배기하는 독립된 배기송풍기(74)를 갖춘 소절기의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봉부재는 밀봉판(82)을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설치한 회정가능한 로울(62)로 하고, 이 로울(62)의 밀봉판(82)을 팰리트(14)의 바닥면 및 상기 밀봉실(66) 내면에 긴밀하게 맞닿게 해서된 소결기의 밀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밀봉판(82)의 양면을 따라서 다수의 와이어(88)를 방사상으로 돌출설치한 소결기의 밀봉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62)의 양단면에 로울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다수의 와이어(88)로 보호된 측면 밀봉판을 부착시킨 소결기의 밀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밀봉부재가, 팰리트(14) 하면의 평판면을 압착하는 복수의 평판상 밀봉판(82)인 소결기의 밀봉장치.
KR1019900701337A 1989-05-09 1989-05-09 소결기의 밀봉장치 KR960010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89/000475 WO1990013782A1 (en) 1989-05-09 1989-05-09 Sealing apparatus for sintering mach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302A KR920700302A (ko) 1992-02-19
KR960010020B1 true KR960010020B1 (ko) 1996-07-25

Family

ID=6753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337A KR960010020B1 (ko) 1989-05-09 1989-05-09 소결기의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302A (ko) 199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2782A (en) Rotary-type heat exchanger
KR960010020B1 (ko) 소결기의 밀봉장치
EP0429648B1 (en) Sealing apparatus for sintering machines
CN210512581U (zh) 一种高效水泥熟料烧成回转窑
CA1335237C (en) Sealing apparatus for sintering machine
JPS6219908Y2 (ko)
JPH02275287A (ja) 焼結機のシール装置
CN220867477U (zh) 一种用于热处理炉的密封结构
CN218065872U (zh) 一种清洁型水泥回转窑
JPH0629673Y2 (ja) 焼結機のシール装置
CN218627789U (zh) 篦冷机密封防尘装置
KR19980042500U (ko) 소결기대차의 누풍(Air Leak) 방지 장치
CN220507528U (zh) 一种防粘式单筒烘干机
JP3959752B2 (ja) 外熱式ロータリーキルンのシール機構
CN210268158U (zh) 一种回转窑尾窑头柔性轴向径向结合密封装置
CN200986202Y (zh) 矿热炉烟气增量增压装置
KR20060022123A (ko) 에어 실 바 장치
CN215029522U (zh) 一种立磨磨辊轴密封组件
JPH0350396Y2 (ko)
KR200312508Y1 (ko) 소결기대차의누풍방지밀폐장치
CN212720803U (zh) 一种回转窑窑尾密封结构
JPS6218831B2 (ko)
SU1719847A1 (ru) Уплотнение вращающейс печи
SU11518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лотнени вращающейс печи
JPS62189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