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07B1 - 음성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07B1
KR960009907B1 KR1019880006334A KR880006334A KR960009907B1 KR 960009907 B1 KR960009907 B1 KR 960009907B1 KR 1019880006334 A KR1019880006334 A KR 1019880006334A KR 880006334 A KR880006334 A KR 880006334A KR 960009907 B1 KR960009907 B1 KR 96000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put
signal
uni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766A (ko
Inventor
구니요시 마루이
Original Assignee
아오이 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이 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아오이 죠이치
Publication of KR88001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음성인식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탑재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a)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b)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의 음성인식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의 음성인식 LSI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의 음성합성 LSI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8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9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전원투입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0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초기화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1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초기화후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2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발신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3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음성다이얼등록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4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음성다이얼인식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전화장치200 : 안테나
300 : 무선기310 : 무선부
312 : 복조기314 : 변조기
316 : 파워앰프318 : 송수신공용기
330 : 오디오제어부331 : CPU
332 : 발진기/분진기333 : 어드레스디코더
334 : ROM335 :RAM
336 : 무선부 제어부337 : 오디오부
338 : 제어신호처리부339 : 오디오부 제어부
340 : 디지탈 인터페이스341 : 전원부 제어부
342 : 인터럽트콘트롤러343 : 데이터버스
344 : 어드레스버스345 : 제어버스
350 : 음성다이얼부350a : 음성인식부
350b : 음성합성부350c : DTMF 수신부
351 : B/U 변환기351a : 밸런스라인
356 : 감쇄기357 : 음성인식 LSI
358 : RAM359, 360 : 랫치회로
361, 362 : 게이트회로363 : 어드레스디코더
364 : 음성합성 LSI365 : 랫치회로
366 : 증폭기367 : 하이패스필터
368 : DTMF 수신기400 : 전화기
400a : 전화기본체400b : 핸드셋트
411 : B/U변환기411a : 밸런스라인
411b : 언밸런스라인412, 421 : U/B 변환기
412a : 언밸런스라인412b : 밸러스라인
413, 414 : 증폭기415 : 잔향음 제거기
416, 417 : 스위치418 : 제어부
422 : 음성스위치부423, 424 : 스위치
430 : 키이부450 : 표시부
452 : 액정표시기454 : LCD 구동기
470 : 스위치부472 : 후크스위치
474 : ON/OFF 스위치490 : 음성입출력부
492 : 스피커494 : 핸드프리마이크
496 : 핸드셋트마이크498 : 핸드셋트리시버
500 : 자동차502 : 트렁크
504 : 운전석506 : 밧데리
508 : 퓨우즈510 : 차양판
600 : 무선회선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전화장치와 같은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장치의 음성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근래에는 자동차전화장치에 음성인식기능을 부가하여 다이얼 조작으로 발신을 하지 않고 음성의 발성에 의해 발신을 하는, 소위 음성다이얼링기능이 실현되고 있다.
그런데, 자동차내에는 일반적으로 각종 노이즈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음성다이얼링시의 음성인식시에 노이즈로 인하여 인식이 잘못되고, 그러한 오인식에 기인하여 전화가 잘못 걸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음성인식시 노이즈로 인하여 생기는 오인식을 방지해서 확실하게 발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무선전화장치의 음성인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는,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밸런스라인, 이 밸러스라인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음성신호를 언밸런스라인으로 전송되도록 변환하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수단, 이 밸런스/언밸런스 변환수단에 의해 도출되는 언밸런스라인상의 음성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및, 이 음성인식수단에 의한 음성인식결과에 기초하여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2발명의 무선전화장치는,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과 상기 음성인식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하이패스필터 및, 상기 음성인식수단에 의한 음성인식결과에 기초하여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3발명의 무선전화장치는,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과 상기 음성인식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음성인식수단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신호레벨 제어수단 및, 상기 음성인식수단에 의한 음성인식결과에 기초하여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4발명의 무선전화장치는,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상기 음성신호레벨을 조정하는 조정수단, 레벨제어신호의 기초하여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인자(factor)를 변화시키는 제어수단 및 상기 음성인식수단에 의한 음성인식결과에 기초하여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밸런스라인상으로 전송되고, 그후 밸런스/언밸런스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되며, 그때 전송로에 실린 공토모우드의 노이즈(common mode noise)가 제거되어 음성인식수단으로 입력된다.
또, 제2발명에서는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하이패스필터에 의해 그 저주파성분이 제거된 다음 음성인식수단으로 입력된다.
또, 3발명에서는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신호레벨변환수단에 의해 그 음성신호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음성인식수단으로 입력된다.
또, 제4발명에서는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레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조정된 후 음성인식수단으로 입력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자동차전화장치(100)는, 안테나(200)와 무선기(300) 및 전화기(400)로 구성되는 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0)는 자동차(50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고, 무선기(300)는 자동차(500)의 트렁크(502)내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화기(400)는 자동차(500)내의 운전석(504) 부근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무선기(300)는 안테나(200)를 통해 기지국(基地局 ;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과의 사이에서 무선회선(600)을 형성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무선부(310)와, 본 무선전화장치 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오디오제어부(330),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등을 수행하는 음성다이얼부(350), ID번호 및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ID ROM(307) 및, 자동차(500)에 탑재되어 있는 밧데리(506 ; 제2도 참조)의 전력을 퓨우즈(508)를 통해 공급받아서 본 무선전화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는 전원부(39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 전화기(400)는 오디오제어부(410)와, 소정의 키이입력이 행하여지는 키이부(430), 소정의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450), 각종 절환이 수행되는 스위치부(470) 및, 가청음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음성입출력부(49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화기(400)는 전화기본체(400a)와 핸드셋트(400b)가 이루어진다. 본체(400a)측에는 오디오제어부(410)의 일부와 스위치(470)가 구비됨과 더불어 음성입출력부(490)의 스피커(492)가 구비되고 예컨대 운전석(504) 근방의 차양판(510 ; sun visor) 등에 부착되는 핸드프리마이크(494)가 접속되어 있다. 핸드셋트(400b)측에는 오디오제어부(410)의 일부와 키이부(430) 및 표시부(450)가 구비됨과 더불어 음성입출력부(490)의 핸드셋트마이크(496)와 핸드셋트리시버(498)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는 상술한 무선기(3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부(310)는 복조기(312)와 변조기(314), 파워앰프(316), 송수신공용기(318) 및 신디사이저(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조기(312)는 무선회선(600)과 안테나(200) 및 송수신공용기(318)를 통해 입력되는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한는데, 이 수신신호에는 가청음 신호와 제어 신호등이 포함되어 있다. 변조기(314)는 오디오제어부(330)로부터 출력되는 가청음신호와 제어신호 등을 변조하여 송신신호로 한다. 파워앰프(316)는 변조기(3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증폭한다. 이 파워앰프(316)에서의 증폭률은 예컨대 8단계로 절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송수신공용기(318)는 무선회선(600)과 안테나(2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수신신호를 복조기(312)로 송출함과 더불어, 변조기(314)와 파워앰프(316)를 통해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안테나(200)로 송출한다. 그리고 신디사이저(320)는 채널선택용 국부발진기로서, 복조기(312)로 복조해야 할 주파수 및 변조기(314)로 변조해야 할 주파수를 지정한다. 이 신디사이져(320)에 의해 지정되는 채널은 예컨대 666채널정도이다.
오디오 제어부(330)는, CPU(331)와 발진기/분주기(332), 어드레스 디코더(333), ROM(334), RAM(335), 무선부 제어부(336), 오디오부(337), 제어신호처리부(338), 오디오부 제어부(339), 디지탈 인터페이스(340), 전원부 제어부(341), 인터럽트콘트롤러(34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343은 예컨대 8비트의 데이터버스, 344는 어드레스버스, 345는 제어버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CPU(331)는 이 도이도 제어부(330) 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발진기/분주기(332)는 CPU(331)에 클록을 공급함과 더불어 이 클록을 분주해서 타이밍신호로서 각 부분에 공급한다. 어드레스디코더(333)는 상기 CPU(331)로부터의 명령신호에 따라 각 부분에 소정의 동작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ROM(334)은 CPU(331)로부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고, RAM(335)은 CPU(331)의 제어처리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무선부 제어부(336)는 CPU(331)의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무선부 제어부(336)는 신디사이저(320)가 지정해야 할 주파수와 파워앰프(316)가 증폭해야 할 증폭률, 변조기(314)가 변조해야 할 변조도 등을 지시함과 더불어, 오동작방지대책으로서 신디사이저(32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어긋남신호와 파워앰프(31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검출신호 등을 입력하고 이것을 CPU(331)로 전달한다. 오디오부(337)는 복조기(312)에서 복조된 수신신호중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처리부(338)로 송출하고, 가청음신호를 음성다이얼부(350) 및 전화기(400)로 송출하며, 제어신호처리부(33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전화기(400)와 음성다이얼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가청음신호를 변조기(314)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부(337)는 제어신호처리부(338)로 송출하는 제어신호의 파형정형 및 변조기(314)로 송출해야 할 제어신호의 여파(filtering)기능도 갖추고 있다.
제어신호처리부(338)는 오디오부(3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와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를 취하고, 질력신호인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이 제어데이터를 병렬신호로서 취입하며, 한쪽 기지국으로 송출해야 할 병렬신호로서의 제어데이터를 직렬신호인 제어신호로서 오디오부(337)로 송출한다. 오디오부 제어부(339)는 오디오부(337)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예컨대, 오디오부 제어부(339)는 수신신호를 오디오부(337)로부터 제어신호처리부(338)와 음성다이얼부(350) 혹은 전화기(400)의 어딘가로 송출하는 절환제어, 제어신호처리부(338)와 음성다이얼부(350) 혹은 전화기(4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중 어느 신호를 오디오부(337)로 취입하는 절환제어를 행한다. 디지탈인터페이스(340)는 이 무선기(300)와 전화기(400)간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다. 전원부 제어부(341)는 전원부(39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전원부 제어부(341)는 밧데리(506)로부터 전원부(390)로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설정하여 각 부분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인터럽트콘트롤러(342)는 각 부분으로부터의 인터럽트지령을 받아서 CPU(331)에 인터럽트를 건다.
제4도(a)는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음성다이얼부(35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다이얼부(350)는 음성인식을 하는 음성인식부(350a)와 음성합성을 하는 음성합성부(350b) 및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수신부(350c)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인식부(350a)는 밸런스/언밸런스(B/U) 변환기(351)와 하이패스필터(352), 증폭기(353), AGC회로(354), 감쇄기(356), 음성인식 LSI(357), RAM(358), 랫치회로(359, 360), 게이트회로(361, 362) 및 어드레스디코더(363)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b)는 이러한 음성인식부(350a)의 일부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B/U 변환기(351)는 OP앰프(OP351)와 저항(R351a, R351b, R351c, R351d 등), 콘덴서(C351a, C351b) 및 기준전압(Vref1)으로 구성되는 차동증폭회로이다. 여기서는,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에 있어서 핸드프리마이크(494)와 핸드셋트마이크(496)의 각각의 직후에는 제4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조 OP앰프[OP412a(421a), OP412, (421b)]와 저항[R412a(421a), R412b(421b), R412d(421d)] 및 기준전압 (Verf3)으로 구성되는 언밸런스/밸런스(U/B) 변환기[421(421), 제7도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프리마이크(494) 또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는 U/B변환기[412(421)]에 의해 밸런스라인[351a(412b, 421b)]상의 신호로 변환되어 이 밸런스라인[351a(412a, 421b)]을 통해 이 음성인식부(350a)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음성인식부(350a)에 입력된 밸런스라인(351a)상의 음성신호는 B/U변환기(351)에 의해 언밸런스라인(351 b)상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음성인식부(350a)를 위한 음성신호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성신호의 전송로인 밸런스라인[351a(412b, 421b)]상에 실리는 공동 모우드의 노이즈, 즉 밸런스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선로상에 실리는 동위상의 노이즈는 B/U 변환기(351)에 의해 지워져 제거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노이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및 인식률의향상이 도모되다.
하이패스필터(352)는 OP앰프(OP352)와 저항(R352a, R352b, R352c), 콘덴서(C352a, C352b) 및 기준전압(Verf1)으로 구성되고, 컷오프 주파수(fc)가 600Hz정도로서 음성인식부(350a)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중 저주파성분의 제거를 도모하고 있다. 통상, 자동차(500)내의 노이즈는 저주파성분이 많고, 핸드프리마이크(494)나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이들 저주파성분이 노이즈로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주파성분을 제거하여 음성인식을 함으로써 노이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및 인식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증폭기(353)는 OP앰프(OP353)와 전송게이트(TG353), 저항(R353a, R353b, R353c, R353d)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이패스필터(35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이다. 이 증폭기(353)는, 오디오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400)에 있어서 음성입력의 수단으로서 핸드프리마이크(494)가 상용될 때에는 핸드셋트마이크(496)가 사용될 때에 비해 증폭률이 저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오디오제어부(330)의 CPU(331)가 후술하는 핸드셋트(400b)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를 검출하는 후크스위치(47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한 상태플래그를 갖추고서, 예컨대 핸드셋트(400b)가 온후크상태, 즉 핸드프리마이크(494)의 사용시에는 이 상태플래그가 설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CPU(331)로부터 디지탈 인터페이스(340)와 랫치회로(359)를 통해 전송게이트(TG353)의 제어측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실현된다. 그리하여 핸드프리마이크(494)를 사용할 때에는 핸드셋트마이크(496)를 사용할 때에 비해 자동차(400)의노이즈가 혼입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핸드프리마이크(494)를 사용할 때에는 증폭률을 저하시킴으로써 노이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AGC회로(354)는 OP앰프(OP354a, OP354b)와 트랜지스터(Tr354), 저항(R354a, R354b, R354d, R354e) 콘덴서(C354a, C354b, C354c), 다이오드(D354a, D354b) 및 기준전압(Verf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OP앰프(OP354a)는 증폭기(353)에서 증폭된 음성신호와 기준전압(Verf2)의 차(差)를 취한다. 그리고 이 차성분의 다이오드(D354a, D354b)와 콘덴서(C354a) 등에 의한 정류값은 OP앰프(OP354b)로 구성되는 전압폴로워회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354)의베이스측(제어측)에 입력된다. 이 트랜지스터(Tr354)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증폭기(353)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즉, AGC회로(354)에 의해 증폭기(353)에서 증폭되는 음성신호의 양이 제어되어, 하이패스필터(352)로부터의 음성신호의 강약에 관계없이 항상 소정레벨의 음성신호가 증폭기(353)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레인지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음성레벨의 개인차가 흡수된다. 즉, 음성레벨의 강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개인의 통상적인 음성레벨로 음성인식을 할 수 있으므로, 인식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감쇄기(356)는 OP앰프(OP356)와 전송게이트(TG356a, TG356b, TG356c) 및 저항(R356a, R356b, R356c)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증폭기(353)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는 전송게이트(TG356a)의 저항(R356a)을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제1루트(root)와, 전송게이트(TG356c)와, 저항(R356c)을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제2루트, 전송게이트(TG356c)와 저항(R356c)을 직렬로 이루어진 제3루트를 각각 거쳐서 OP앰프(OP356)에 입력되고, OP앰프(OP356)의 출력이 음성인식 LSI(357) 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로 된다. 각 전송게이트(TG356a, TG356b, TG356c)에는 오디오 제어부(330)의 CPU(331)로부터의 ON/OFF지령신호가 랫치회로(359)를 거쳐서 입력된다. 그리고 각 전송게이트(TG356a, TG356b, TG356c)는 이들 ON/OFF지령신호에 따라 각각 ON/OFF 된다. 이리하여 감쇄기의 감쇄율은 오디오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되고, 이 감쇄율에 따라 감쇄된 음성신호가 음성인식 LSI(357)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음성다이얼링을 행하기 전의 등록동작시의 음성등록에 있어서는, 다른 음성신호의 레벨로 복수회 음성을 등록하는 것이 실현된다. 상기한 음성인식 LSI(357)는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것이고, RAM(358)은 음성인식 LSI(357)에서 인식시킥 싶은 단어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5도는 상술한 음성인식 LSI(357)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음성인식 LSI(357)는 2조의 증폭기(357a, 357b)와 4조의 밴드패스필터(357a, 357d, 357e, 357f), 다중화기(357g), A/D 변환기(357h), CPU(357i), RAM(357k), CPU인터페이스(357l) 및 RAM인터페이스(357m)로 구성되어 있다.
증폭기(357a, 357b)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각 증폭기(357a, 357b)의 증폭률은 예컨대 10배로 되어 있다.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는 이 증폭된 음성신호를 여파하는 것으로, 각 밴드패스필터(357a, 357d, 357e, 357f)의 통과대역 중심주파수는 예컨대 각각 0.5KHz, 1KHz, 2KHz, 4KHz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중화기(357g)는 각 밴드패스필터(357a, 357d, 357e, 357f)로부터 출력되는 여파된 음성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이고, A/D변환기(357h)는 이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CPU(357i)는 음성인식 LSI(357)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ROM(357j)은 CPU(357i)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며, RAM(357k)은 CPU(357i) 의 제어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CPU인터페이스(357l)는 오디오 제어부(330)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고, RAM 인터페이스(357m)는 RAM(358)과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성인식시에는 증폭기(357a, 357b)와 밴드패스필터(357a, 357d, 357e, 357f), 다중화기(357g) 및 A/D변환기(357h)를 통해 입력되는 표본화, 양자화 및 부호화된 음성신호가 상기 RAM 인터페이스(357m)를 거쳐서 입력되는 미리 RAM(358)에 등록된 인식시키고 싶은 단어데이터와 비교된다. 또, 인식시키고 싶은 단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본화, 양자화 및 부호화된 등록해야 할 음성신호의 데이터는 RAM인터페이스(357m)를 거쳐서 RAM(358)으로 송출되어 기억된다.
음성합성부(350b)는 오디오 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합성 LSI(364)와 랫치회로(365) 및 이 합성된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기(366)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상기한 음성합성 LSI(364) 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음성합성 LSI(364)는 발생시키는 언어의 어드레스를 소정의 코오드로 간접지정하기 위한 ROM(364a)과 음성파아메터를 격납하는 ROM(364b), 음성파라메터를 독출하기 위한 병렬/직렬 변환기(364c), 1프레임분의 파라메터를 격납하는 RAM(364d) , 파라메터를 비선형적으로 복호화하는 ROM(364e) , 파라메터를 소정시간마다 보간하는 보간회로(364f), 파라메터를 격납하여 연산을 하기 위한 레지스터(364g), 유성음원(364h), 무성음원(364i), 격자형 디지탈필터(364j) 및 A/D 변환기(364k)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DTMF 수신기(350c)는 하이패스필터(367)와 DTMF(368)로 구성되고 DTMF 수신기(368)는 하이패스필터(367)를 통해 음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TMF 신호를 이력하여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7도는 상기한 전화기(4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본체(400a)는 B/U(411)와 U/B변환기(412), 증폭기(413,414), 잔향음 제거기(echo canceller ; 415) 및 스위치(416, 417)로 이루어진 오디오 제어부(41)와 ; 핸드프리마이크(494) 및 스피커(492)로 이루어진 음성입출력부(490) 및; 후크스위치(472)와 ON/OFF스위치(474)로 이루어진 스위치부(47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B/U 변환기(411)는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부터 밸런스라인(411a)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언벨런스라인(411b)상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 언밸런스라인(411b) 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증폭기(413)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오디오부(337)의 직후에 배치된 U/B 변환기(337a)에 의해 밸런스라인상의 신호로 변환되고 있다.
U/B 변환기(412)는 핸드프리마이크(494)에서 입력되어 증폭기(414)에서 증폭된 언밸런스라인(412a)상의 음성신호를 밸런스라인(412b)상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 밸런스라인(412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라인(412b)을 거쳐서 오디오부(337)로 송출된다.한편,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오디오부(337)의 직전에 배치된 B/U 변환기(337b)에 의해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로 변환되고 있다.
잔향음 제거기(415)는 B/U 변환기(411)로부터 증폭기(413)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a)와 이 감쇄기(415a)이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제어부(415b), 증폭기(414)로부터 U/B변환기(41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c), 이 감쇄기(415c)의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제어부(415d) 및 각 라인상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각 감쇄기제어부(415b, 415d)의 제어량을 산출하는 제어량산출부(415e)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16)는 B/U 변환기(41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스피커(492)로부터 출력시킬 것인가 아닌가의 절환을 수행하는 것이고, 스위치(417)는 핸드프리마이크(494)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송출할 것인가 아닌가의 절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 스위치(416,417)의 절환은 무선기(300)의 오디오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후크스위치(472)는 핸드셋트(400b)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검출된 신호는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 송출된다. ON/OFF 스위치(474)는 이 자동차전화장치(100) 전체의 ON/OFF를 전환하는 것인바, 이 절환신호는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 송출된다.
핸드셋트(400b)는 제어부(418)와 증폭기(419a, 419b, 419c), 감쇄기(420), U/B 변환기(421), 음성스위치부(422), 스위치(423, 424) 등으로 이루어진 오디오 제어부(410)와 ; 액정표시기(452) 및 LCD구동기(454)로 이루어진 표시부(450) ; 복수기 키이패드로 이루어진 키이부(430) 및 ; 핸드셋트마이크(496)와 핸드셋트리시버(498)로 이루어진 음성입출력부(49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418)는 무선기(300)의 오디오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이 핸드셋트(400b)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키이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등을 무선기(300)의 오디오제어부(330)로 송출한다. 증폭기(419a, 419b)는 본체(400a)의 B/U 변환기(411)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이고, 감쇄기(420)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증폭기(419a)와 감쇄기(420) 및 증폭기(419b)를 거친 음성신호는 핸드셋트리시버(498)로부터 출력된다. 증폭기(419c)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이고, U/B 변환기(421)는 이 증폭된 언밸런스라인(421a)상의 음성신호를 밸런스라인(421b)상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밸런스라인(421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라인(421b)과 본체(400a)상의 밸런스라인(421c)을 거쳐서 오디오부(337)로 송출된다.
스위치(423)는 B/U 변환기(41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핸드셋트리시버(498)로부터 출력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절환하는 것이고, 스위치(424)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송출할 것인가 아닌가를 절환하는 것이다. 이들 스위치(423, 424)의 절환은 제어부(418)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것이지만, 상술한 본체(400a)측의 스위치(416, 417)와 연동해서 실행된다. 즉, 이 자동차전화장치(100)가 수신대기상태에서는 모든 스위치(416,417, 423,424)가 오프상태로 되고, 키이입력에 대한 확인음의 명동시(鳴動時)에는 스위치(416)가 온상태로 되면서 스위치(417, 423,424)가 오프상태로 되며, 핸드셋트(400b)를 오프후크의 상태로 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416,417)가 온상태로 되면서 스위치(423,424)가 오프상태가 된다.
음성스위치부(422)는 레벨검출기(422a)와 오아회로(422b) 및 스위치(422c)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레벨검출기(422a)는 핸드셋트마이크(496)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신호레벨이 소정치 이하에서 로우레벨, 소정치 이상에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오아회로(422b)는 레벨검출기(422a)의 출력신호와 제어부(418)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와의 논리합을 취하는 것이고, 스위치(422c)는 상기 오아회로(422b)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온상태로 되며, 이때 음성신호의 라인(421a)은 접지레벨로 떨어진다. 따라서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의 음서신호는 오디오부(337)로 전달되지 않고 핸드셋트마이코(496)는 오프상태로 된다. 또 스위치(422c)는 상기 오아회로(421b)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오프상태로 되어 핸드셋트마이크(496)를 온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오아회로(422b)의한쪽에 입력되는 제어부(418)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수신대기시나 통상의 통화시 등에는 로우레벨로 되고, 후술하는 음성다이얼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모우드시에는 하이레벨로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화상태에서 발성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핸드셋트마이크(496)가 오프상태로 되어 자동차(500)내의 소음이 상대방측으로 송출되지 않아서 쾌적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음성다이얼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모우드시에는 핸드셋트마이크(496)는 항상 온상태이기 때문에, 레벨검출기(422a)에 의한 절환과는 무관계로 된다. 여기서, 레벨검출기(422a)는 통화상태에서의 발성에 기초한 절환시에 절환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생기는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정수를 갖게 하는 콘덴서(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음성다이얼링시에 이 콘덴서에 의해 음성의 어두(語頭)의 레벨이 저하되어 음성다이얼링이 불확실하게 되었지만,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다이얼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모우드시에 핸드셋트마이크(496)가 항상 온상태로 됨으로써 그러한 문제가 해소되어 확실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정표시기(452)는 수자릿수의 숫자표시부(452a)와 각 기능의 표시부(452b) 등으로 이루어진다. LCD 구동기(454)는 제어부(418)의 제어에 기초하여 액정표시기(452)를 구동시켜서 소정의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다. 키이부(430)는 0~9의 숫자키이와 *, #, SEND, STO, END, RCL, FCN, CLR, EMR, MUTE, TONE와 같은 기능키이의 키이패드로 이루어지고, 키이패드가 눌려지면 이것이 제어부(418)에서 인식된다.
다음에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자동차전화장치(100)의 동작을 플로우차아트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의 접속제어동작을 제8도에 의거 설명한다.
전화기(400)의 스위치부(470)의 ON/OFF 스위치(474)를 온시키면, 전원부(390)로부터 각 부분으로 전원이 투입된다(스텝 801).
제9도는 그때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이다.
즉,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각 부분이 리셋트되고(스텝 901), 이들 각 부분의 리셋트가 완료되면 예컨대 액정표시기(452)의 전면이 점멸하거나 소정의 명동음(鳴動音)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셋트의 완료가 통지된다.
그후,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902). 이 록크상태란 키이부(430)에서 소정의 키이조작을 하지 않으면 이후의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부정사용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표시기(452)에 있어서 LOCL표시가 점등된다(스텝 903). 한편,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표시기(452)에 있어서 NO SVC표시가 점등된다(스텝 904).
다음에, 이러한 리셋트가 완료되면, 초기화가 실행된다(스텝 802).
제10도는 그때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이다.
즉, 무선기(300)에서의 오디오 제업(330)는 복조기(312)에서 그 시스템에 미리 정해진 제어채널(이하, D채널이라 약칭함)을 스캔함으로써(스텝 1001),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D채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D채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D채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강한 D채널의 정보도 얻어지고 있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D채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스텝 1002), 이 D채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텝 1003).
한편, 상술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의 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강한 D채널에 의해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1004).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의 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조기(312)에서의 D채널의 스캔이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신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채널(이하, P채널이라 약칭함)에 대해 스캔이 실행된다(스텝 803).
즉, 무선기(300)에서의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각 P채널을 스캔함으로써(스텝 1101),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P채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P채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P채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강한 P채널의 정보도 얻어지고 있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P채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스텝 1102), 이 P채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텝 1103).
한편, 상술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강한 P채널에 의해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1104).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또, 시스템정보로부터 위치정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802).
이상의 접속제어에 의해 수신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4).
이 수신대기상태에서 P채널을 통해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채널로 응답신호를 반신(返信)함과 더불어(스텝 805), 통화회선 등을 확립하기 위해 기지국과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채널(이하, A채널이라 약칭함)로 상술한 D채널 및 P채널과 동일한 스캔이 실행된다.
즉, 무선기(300)에서의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각 A채널을 스캔함으로써,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A채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A채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A채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 이 A채널을 통해 통화채널정지신호를 얻으면, 이 지정된 통화채널로 절환된다(스텝 805). 그리고 이 통화채널에서 호출신호의 수신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6). 또한, 수신상태에서 종화상태(終話狀態)로 되면 상기 통화채널에서의 수신상태가 해제되고(스텝 807),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그후, 통화채널에 의해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응답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9).
그리고, 사용자가 오프후크 또는 SEND 키이를 누름으로써 호출에 응답하면 통화가 이루어지며(스텝 810), 통화가 종료되면 이 통화채널에서의 수신상태가 해제되고(스텝 807),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한편, 통화중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사용자의 응답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9)
한편, 상술한 통화채널 수신상태(스텝 806)와 응답신호반신상태(스텝 809) 혹은 통화상태(스텝 810)에 있어서 소정시간 이상의 훼이딩(fading)이 발생하면,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그리고,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되면(스텝 808), 다시 초기화가 실행된다(스텝 802).
다음에는 발신에 대해 설명하겠는데, 이 발신도 상술한 착신과 마찬가지로 수신대기상태로부터 실행된다(스텝 804, 스텝 811).
제12도는 이러한 발신동작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이다.
키이부(430)로 입력 혹은 후술하는 음성다이얼에 의해 발신요구가 있으면, 발신접수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가 셋트된다(스텝 1201). 그 셋트시간은 예컨대 12초로 되어 있다.
그후, 무선기에서의 오디오 제어부는 복조기에서 각 소정의 제어채널을 스캔함으로써(스캔 1202),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이들 제어채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제어 채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고가 강한 제어채널의 정보도 얻어지고 있다.
다음에는 사용자가 발신의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203). 이것은, 사용자가 키이부(430)에 의해 발신하고 싶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설정한 후, SEND 키이를 누름으로써 상태천이하는 발신플래그가 1이면 발신의 의사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와 달리 SEND키이를 누른후 END키이를 누름으로써 발신플래그가 0으로 되면 발신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발신의사가 없을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그후, 제어처리처리부가 수신하고 있는 제어채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 이 제어채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텝 1204). 한편, 상기 워드동기가 취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강한 제어채널에 의해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1205).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가 취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또, 이 시점에서 다시 사용자가 발신의사가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206). 이것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신플래그가 1이면 발신의 의사가 있다고 판단하고, 발신플래그가 0으로 되면 발신의사가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발신의사가 없을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그런 다음, 이 자동차전화장치(100)는 상술한 시스템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발신제어채널을 포착한다(스텝 1207). 이 발신제어채널의 포착에 의해 발신신호 송출가능플래그가 0으로부터 1 상태로 천이된다. 또, 발신제어채널을 포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또, 발신제어채널의 포착이 지연된 경우에는(스텝 1208), 다시 발신의사의 확인이 실행되다(스텝 1206).
그리고, 사용자의 발신의사가 있다고 판단되고(발신플래그가 1이고), 또한 발신제어채널이 포착되면(발신신호 송출가능플래그가 1이면), 이 발신제어채널로 최소한 사용자가 설정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한다(스텝 1209).
그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채널의 시스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에 대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스텝 1210), 발신신호가 송출된 것을 인식한다. 또한 기지국측에서는 발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방과의 회선접속을 실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채널의 시스템정보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스텝 1211)에 의해 통화상태로 된다. 한편, 통화채널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이렇게 하여 상술한 착신시와 동일한 통화가 실행되고(스텝 810), 그후 통화가 종료된다.
다음에는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의 음성다이얼링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미리 다이얼링해야 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제13도에는 이러한 등록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로서, 이하 이 플로우차아트를 기초로 하여 등록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등록모우드로 설정한다(스텝 1301).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02). 예컨대 그 조작은 CLR, X, Y, Z, FCN, #, 5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X, Y, Z는 언록크 코오드, 즉 미리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암호코오드로서, 이와 같이 어록크 코오드를 설정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부정등록이나,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파괴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등록모우드로 설정되면, 이 자동차전화장치(100)는 전화로서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즉, 착신 및 발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착신 등에 의해 등록동작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고, 올바른 등록이 이루어진다. 또, 이와 같이 등록모우드로 설정되면, 액정표시기(452)에 있어서는 LOCK 표시가 점멸하고, PWR 표시가 점등된다.
그후, 이와 같이 설정된 등록모우드를 해제할 것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303).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예컨대, 등록모우드 해제의 조작은 FCN, CLR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04). 또한, 이러한 등록모우드의 해제가 실행되면 각 부분은 리셋트시의 상태로 된다(스텝 801). 한편, 상술한 해제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그 해제동작은 실행되지 않고 등록모우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등록모우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뱅크설정을 할 것인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305).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예컨대 뱅크설정의 조작은 RCL, #, X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스텝 1306). 여기에서, X는 1 또는 2의 키이고, 3~9, 0, #, *는 금지키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뱅크설정이란 등록해야 할 데이터, 즉 전화번호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등록하고, 후술하는 음성다이얼링시의 음성인식을 그룹(뱅크)단위로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예에서 X가 1에 의해 뱅크설정이 이루어지면, 뱅크'1'에서 등록이 실행되고, X가 2에 의해 뱅크설정이 이루어지면 뱅크 '2'에서 등록이 실행된다. 그리고, 음성인식시에 뱅크 '1'을 지정하면 이 뱅크 '1'만의 등록데이터에 기초해서 인식이 실행되고, 뱅크 '2'를 지정하면 이 뱅크'2'만의 등록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식이 실행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뱅크설정을 실행함으로써 1대의 자동차전화장치(100)로 복수의 사용자가 각 사람의 발성에 기초한 데이터에 따라 음성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고, 신속하면서 확실한 음성다이얼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 1인의 회사용/개인용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에 따라 뱅크를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음성다이얼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에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데이터를 소거할 것인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307).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조작에의해 소거가 실행되다(스텝 1308). 한편, 키이조작이 실행되지 않을 때에는 이러한 소거가 실행되지 않는다. 또,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에서는 이러한 소거를 행하는 모우드로서 일괄소거모우드와 개별소거모우드가 있다. 예컨대 일괄소거모우드를 설정하는 키이조작은 STO, #, 0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괄소거모우드로 설정함으로써 이미 등록되어 있는 모든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데이터, 즉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등록음성에 관한 데이터 전체가 일괄적으로 소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괄소거가 가능하므로, 일괄소거 이전의 데이터가 잔존하는 일은 없게 되어 데이터의 잔존에 기인하는 다이얼링 에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개별소거모우드를 설정하는 키이조작은 STO, X, Y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X, Y는 후술하는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데이터마다 설정되는 등록어드레스이다. 이와 같이 개별소거가 가능하므로, 예컨대 이용빈도가 저하하거나 이미 불필요하게 된 등록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소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설정한다(스텝 1309).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서 실행된다(스텝 1310). 예컨대 그 조작은 예컨대 0~9의 숫자키이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른다거나,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미리 단축다이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RCL 키이를 누른 다음 그 단축다이얼을 0~9의 숫자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설정된 전화번호는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등록어드레스를 설정한다(스텝 1311).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12). 예컨대 그 조작은 STO, X, Y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X, Y는 0~9의 숫자키이로 표시되는 등록어드레스이다. 또한, 이렇게 등록어드레스가 설정되면 스피커(492)로부터 소정의 명동음(鳴動音)이 출력되고 예컨대 9자리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2자리의 어드레스의 등록이 실행되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명동음이 출력되면, 그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이름, 명칭 등의 음성에 의한 등록이 실행되는데(스텝 1313), 그때 키이부(430)에서의 키이를 아무거나 누르면(스텝 1314) 등록모우드설정시의 상태로 된다(스텝 1315, 1302).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잘못된 발성을 한 경우 등에 임의의 키이를 누름으로서 등록모우드의 설정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음성의 등록은 2회의 음성의 발생에 의해 실행된다(스텝 1316, 1317). 우선 제1회째는 사용자의 발성이 행하여지면, 예컨대 오피스라고 하는 발성이 이루어지면, 그 발성시간이 소정시간(예컨대 1초간) 이내의 것이면 비프(beep)음이 2회 울린다. 이것에 의해 1회째의 사용자의 발성이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 2회의 비프음을 듣고, 2회째의 발성을 행한다. 이 2회째의 발성도 받아들여지면 음성등록이 실행되었다는 취지의 메세지, 예컨대 Thank You라는 메시지와 더불어 상술한 스텝 1309에서 설정한 전화번호가 음성합성에 의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음성등록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FCN 및 CLR의 키이를 눌러서 등록모우드를 해제한다. 이때 음성인식부(350a)에 있어서 1회째의 음성발생시와 2회째의 음성발생시와는 그 입력레벨이 다른 것으로 이들 레벨이 다른 신호를 각각 등록해야 할 음성의 데이터로 된다.
이렇게 하여 음성이 등록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전화번호가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됨과 더불어 이 전화번호의 음성이 음성합성부(350b)에서 생성되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등록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등록에 기인하는 오발신, 소위 잘못된 전화가 방지된다.
다음에는 음성다이얼링동작을 제14도의 플로우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뱅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1401), 그 설정되어 있는 뱅크를 지정한다(스텝 1402).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X는 1 또는 2의 숫자키이이고, 이들 1 및 2의 숫자키이는 각각 뱅크 '1' 및 뱅크 '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하여 지정된 뱅크번호는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음성다이얼링모우드(이하, 인식모우드라 칭함)로 설정한다(스텝 1403). 이것은,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예컨대 그 조작은 키이부(430)에서의 임의의 텐 키이(ten key)를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초 이상)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이렇게 하여 인식모우드로 설정되면 키이를 누를 때의 명동음이 통상시의 음과는 다른 것으로 되어, 인식 모우드를 설정한 것이 스피커(492)로부터의 명동음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짐(스텝 1404)과 더불어 소정시간(예컨대 6초간) 인식모우드가 계속된다. 이때, 소정의 키이조작에 의한 인식모우드 설정신호(하이레벨신호)는 제7도의 제어부(418)를 경유해서 오아회로(422b)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인식모우드로 설정되면, 모우드천이플래그의 상태가 1로 되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상태로 되는데, 그때 소정의 조작이나 소정의 조건에 따라 인식모우드의 재설정 혹은 인식모우드의 해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스텝 1405, 스텝 1406). 예컨대 키이부(430)에서의 임의의 텐키이를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초이상) 누르면 인식모우드의 재설정이 실행된다. 즉, 텐키이가 소정시간 눌려짐으로써 그때까지의 음성인식결과는 모두 클리어되고, 다시 스피커(492)로부터 명동음이 발생한다. 이것은 음성의 인식중에 있어서도 가능하여(스텝 1407), 사용자가 틀린 음성을 발성한 경우, 발신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 간단히 인식모우드로 재설정되어 다시 음성다이얼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해제하는 경우에는 임의의 텐 키이를 1초 미만 누름으로써 인식모우드는 해제된다.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발성되면(스텝 1408), 그 음성이 음성인식부(350a)에 의해 인식되어 그에 따른 전호번호가 액세스되고, 사용자의 발신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발신플래그가 1로 한다(스텝 1409). 이와 같이 하여 액세스된 전화번호는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됨과 더불어 그 전화번호의 음성이 음성합성부(350b)에서 생성되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소위 잘못 걸리는 전화가 방지된다.
그후, 액정표시기(452) 혹은 스피커(492)에 의해 전화번호가 통지되어 처음부터소정시간(예컨대 3초)을 경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된 전화번호에 의한 발신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스텝 1410, 1411). 즉, 제12도의 스텝 1206에서 발신의지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발신부를 송출해야 할 채널을 포착한 후, 발신의지를 확이한 다음 이 채널을 통해 최소한 음성인식부(350a)에 의해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인식된 결과의 통보후, 소정시간이 지난 다음에 발신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시간의 사이에 상술한 사용자의 전화번호의 확인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식결과인 통보된 전화번호정보가 사용자의 소망하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1407), 텐 키이를 소정시간 누름으로써 인식모우드의 재설정 혹은 해제를 실행하거나(스텝 1406), 또는 END키이를 누름으로써 발신을 취소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발신중단지시신호를 생성한다.
또, 자동발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키이부(430)에서의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발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그 조작은 자동발신 이전에 SEND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이와 같이 자동발신을 기다리지 않고 발신을 행함으로써 발신시간이 단축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전화장치에 의하면, 음성인식시 노이즈에 의해 생기는 오인식이 방지되어 확실한 발신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입력음성에 응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494, 496)과, 상기 입력수단(494, 496)에 접속되어 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밸런스라인(351a ; 412b, 421b), 상기 밸런스라인(351a ; 412b, 421b)을 통해 전송된 상기 입력신호가 언밸런스라인을 통해 전송되도록 변환하기 위한 밸런스/언밸런스 변환수단(412 ; 421) 및, 상기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입력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35a)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음성의 인식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어드레스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채널중 한 채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밸런스/언밸런스 변환수단(412 ; 421), 상기 밸런스라인(351a ; 412b, 421b)에 접속되어 상기 언밸런스라인을 통해 전송해야 할 출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밸런스라인(351a ; 412b, 421b)의 한 출력신호와 다른 출력신호를 비교하는 OP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5. 입력음성에 응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494, 496)과, 상기 입력수단(494, 496)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음성으로부터 저주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하이패스 필터수단(352) 및, 상기 하이패스 필터수단(352)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350a)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6. 입력음성에 응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494,496)과, 상기 입력수단(494,496)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일정의 크기로 유지하기 위한 신호레벨제어수단(354) 및, 상기 신호레벨제어수단(354)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350a)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7. 입력음성에 응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494, 496)과, 상기 입력수단(494, 496)에 접속되어 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레벨을 조정인자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415a, 415c), 레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수단(415a, 415c)의 조정인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수단(415b, 415d) 및 상기 조정수단(415a, 415c)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350a)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KR1019880006334A 1987-05-29 1988-05-28 음성인식시스템 KR960009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33905A JPS63299555A (ja) 1987-05-29 1987-05-29 無線電話装置
JP62-133905 1987-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6A KR880014766A (ko) 1988-12-24
KR960009907B1 true KR960009907B1 (ko) 1996-07-24

Family

ID=1511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334A KR960009907B1 (ko) 1987-05-29 1988-05-28 음성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93264B1 (ko)
JP (1) JPS63299555A (ko)
KR (1) KR960009907B1 (ko)
CA (1) CA1336209C (ko)
DE (1) DE38509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9586A (en) * 1987-05-29 1993-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Voice recognition system used in telephone apparatus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KR19980023857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의 카 오디오 노이즈 제거장치
US6353809B2 (en) 1997-06-06 2002-03-05 Olympus Optical, Ltd. Speech recognition with text generation from portions of voice data preselected by manual-input commands
JPH11249692A (ja) * 1998-02-27 1999-09-17 Nec Saitama Ltd 音声認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5682A (en) * 1973-06-27 1974-07-23 Rca Corp Balanced line driver, line receiver system
US4642807A (en) * 1984-12-18 1987-02-10 Motorola, Inc. Fault tolerant receiver
DE194387T1 (de) * 1984-12-28 1987-02-05 Tomy Kogyo Co., Inc., Tokio/Tokyo, Jp Sprachgesteuerter fernsprecher und steuerungsverfahren dafuer.
US4737976A (en) * 1985-09-03 1988-04-12 Motorola, Inc. Hands-free control system for a radio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6A (ko) 1988-12-24
EP0293264A2 (en) 1988-11-30
DE3850917T2 (de) 1995-02-23
JPS63299555A (ja) 1988-12-07
EP0293264A3 (en) 1990-03-07
DE3850917D1 (de) 1994-09-08
CA1336209C (en) 1995-07-04
EP0293264B1 (en) 1994-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230B1 (ko) 무선전화장치에서의 데이터소거방식
KR950014293B1 (ko) 무선전화장치
US5239586A (en) Voice recognition system used in telephone apparatus
KR910006053B1 (ko) 전화 장치
KR960003840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950007498B1 (ko) 듀얼모드 세루러 무선통신장치
JPH04271526A (ja) 遠隔プログラム可能な無線電話機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JPH04345349A (ja) 無線電話装置
US5099508A (en) Radio telephone system for selectively allowing a party in communication with a system user to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user during a hold state
JPH0820523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KR960009907B1 (ko) 음성인식시스템
KR100225358B1 (ko)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950004416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기지국 자동선택 방법
JPS63299558A (ja) 無線電話装置
JPS63299556A (ja)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デ−タ消去方式
JPS63299559A (ja) 無線電話装置
JPH01259635A (ja) 移動局装置
KR19980041438A (ko) 사용자 음성레벨에 따른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H03117257A (ja) ハンズフリー回路
JPH01300722A (ja) 移動局装置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JPH03177124A (ja) 無線電話装置
JPH1168646A (ja) 携帯電話装置
JPH0531618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