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462B1 - 원격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62B1
KR960009462B1 KR1019930019216A KR930019216A KR960009462B1 KR 960009462 B1 KR960009462 B1 KR 960009462B1 KR 1019930019216 A KR1019930019216 A KR 1019930019216A KR 930019216 A KR930019216 A KR 930019216A KR 960009462 B1 KR960009462 B1 KR 96000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ubscriber
signal
link
ma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437A (ko
Inventor
장문수
유득수
신동진
오돈성
이충근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3001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62B1/ko
Publication of KR95001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66Bandwidth allocation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원격 교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장되는 공중 통신망의 연결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교환 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와의 연결을 위한 T1 링크의 IPC 채널 할당 및 T1 프레임 구조도.
제4도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와의 연결을 위한 E1 링크의 IPC 채널 할당 및 E1 프레임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의 연결을 위한 링크 이중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 12 : 가입자 정합 장치
13 : 타임 스위치 장치 14 : 망동기 장치
15 : 링크 정합 장치 16 :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장치
17 :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 18 : 주 프로세서
19 : 유지보수 프로세서 20 :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
본 발명은 디지털 교환기에서 소규모 가입자의 통신 서비스를 위해 원격지에 가입자 정합 기능을 갖는 소규모의 교환기를 설치하는 망 설계에 있어서, 가격 비중이 가장 큰 선로의 비용을 최소화하되 모국에 수용된 가입자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원격 교환 장치인 RASM(Remote Access Subscriber Module)에 관한 것으로, 자국과 모국사이의 링크를 T1 또는 E1 전송로를 통하여 제공하는 원격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교환 장치는 보통 모국의 스위치에서 교환을 수행하고 다른 자국 가입자, 모국 수용 가입자, 또는 타국으로의 중계 호에 대하여는 모국에서 모든 처리를 수행하고, 과금 또는 모국에서 수행하며, 자국과 모국 사이의 링크가 장애 상태일 경우에는 모국과 자국간의 경로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되어 모자국간 통화 및 타국과의 통화가 불가능하고 자국내의 통화만 가능하게 되어 제한된 서비스만 수행하기 때문에 과금 처리는 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천 가입자를 수용하는 원격 교환 장치의 경우에 모국과 자국간의 프로세서 통신을 위해 T1 또는 E1 전체를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채널 사용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원격 교환 장치내에 내부 메모리와 외부 중계선을 일부 수용하여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모국에서 모든 처리를 수행하고 모국과 자국간의 링크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내부 메모리에 과금 및 기타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링크가 복구되면 모국의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보내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타국과 연결된 중계호나 모국 수용 가입자와의 통화는 인접국으로 우회되어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국수용 가입자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한 원격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국과 연결되어 중계선 정합을 수행하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 ; 원격 교환 장치에 수용된 애널로그 및 디지틀 가입자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수단 ;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 수단과 가입자 정합 수단에 연결되어 가입자 및 중계선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타임 스위칭 수단 ;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교환 장치에서 필요한 모국 교환기 클럭에 동기된 클럭을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에 공급하며, 전체 망의 동기를 이루는 망동기 수단 ; 상기 망동기 수단과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과 정합하고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상기 망동기 수단에 기준 클럭으로 공급하며, 모국 교환기와의 신호용 채널을 할당하여 과금 및 호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링크 정합 수단 ;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고, 국간 중계 신호(R2)를 발생 및 검출하며, 호 시도에 대한 링크장애 메시지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 ;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 상기 가입자 정합 수단, 상기 링크 정합 수단, 그리고 상기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에 연결되어 상위 프로세서와 하위계층의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모국 교환기와,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 ;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 가입자 정합 수단, 타임 스위칭 수단, 망동기 수단, 링크 정합 수단, 그리고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 등의 제어 프로세서들을 관장하며,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자국 가입자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주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에 연결되어 각 블럭들로부터 보고된 경보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주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 ; 및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에 연결되어 입출력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장되는 공중 통신망의 연결 블럭도로써, 1은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와 모국 교환기와의 서비스 채널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링크로 광 선로가 사용될 수도 있고, T1 이나 E1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링크는 이중화로 구성되어 제어용 신호 채널에 대해서는 이중화로 구성되어 링크 장애시 미치는 효과를 최소화하였다.
2는 공중 통신망에서 같은 권역내의 모국 교환기와 타국 교환기를 연결하는 중계선이며, 3은 원격 교환 장치의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어 원격 교환 장치가 스탠드 얼른(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할 경우에 자국 가입자에게 중계 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국 교환기와 원격 교환 장치간에 할당된 중계선이다.
4는 통신망의 계층구조에 의하여 일정지역과 타지역간의 시외 호 같은 중계 호를 제공하기 위한 툴(Toll) 교환기와 모국 교환기 사이에 연결된 중계선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 교환기와 원격 교환 장치 사이의 연결 블럭도로써, 11은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 12는 가입자 정합 장치, 13은 타임 스위치 장치, 14는 망동기 장치, 15는 링크 정합 장치, 16은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장치, 17은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 18은 주 프로세서, 19는 유지보수 프로세서, 20은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국과 연결된 중계선 정합을 위한 장치로 T1 또는 E1 정합 방식으로 타국과 연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출원번호 89-20566(T1)과 89-20568(E1)으로 기출원되어 있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11), 원격 교환 장치에 수용된 애널로그 및 디지털 가입자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장치(12),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11)와 가입자 정합 장치(12)에 연결되어 가입자 및 중계선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링크 정합 장치(15)를 통하여 모국 교환기와 연결 운용되는 타임 스위치 장치(13), 상기 타임 스위치 장치(13)에 연결되어 원격 교환 장치가 T1 또는 E1 링크로 연결 운용될 때 원격 교환 장치에서 필요한 모국 교환기 클럭에 동기된 클럭을 상기 타임 스위치 장치(13)에 공급하며, 모국과의 동기를 위해 T1 또는 E1 링크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을 기준 주파수로 하여 동기를 맞추며 2중화로 구성되고,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가 비정상일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연결된 타국 중계선으로부터 기준 클럭을 공급받아 전체 망의 동기를 이루는 망동기 장치(14), 상기 망동기 장치(14)와 상기 타임 스위치 장치(13)에 연결되며, 모국 교환기와의 연결이 T1 또는 E1 링크를 이용해 구성될 경우에 상기 타임 스위치 장치(13)와 정합하고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상기 망동기 장치(14)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모국 교환기와의 신호용 채널을 할당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과금 및 모든 호 제어 정보를 모국 교환기와 주고 받는데, 신호용 채널을 포함한 링크는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중화로 운용되며 T1, E1의 호환성을 감안하여 1024Kbps로 교정하여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를 수행하는 링크 정합 장치(15), 상기 타임 스위치 장치(13)에 연결되어 본 발명인 원격 교환 장치에서 필요한 가입자 신호 방식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고,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11)에 사용된 국간 중계 신호(R2)를 발생 및 검출하며, 또한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 장애시 원격 교환 장치에서 모국 교환기로의 호 시도에 대한 링크 장애 메시지 출력 등의 기능을 타임 스위치 장치(13)의 해당 채널을 통해 수행하는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장치(16),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11)와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12)와 상기 링크 정합 장치(15)와 상기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장치(16)에 연결되어 상위 프로세서와 하위 계층의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위하여 분산되어 이슨 다수의 원격 교환 장치 프로세서간의 통신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며, 이 메시지 송수신 채널에 대한 상태 감시 및 장애 발생시 경보 송출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모국 교환기와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T1, E1 링크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원격 교환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상위 프로세서로써,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장치(11). 가입자 정합 장치(12), 타임 스위치 장치(13), 망동기 장치(14), 링크 정합 장치(15), 및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장치(16) 등의 제어 프로세서들을 관장하며, 원격 교환 장치내에 소용된 가입자 번호를 가지고 있다가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가 정상 상태일때는 모국 교환기의 번호번역 프로세서가 번호번역을 수행하고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자국 가입자에 대한 번호번역까지를 수행하는 주 프로세서(18),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각 블럭들로부터 보고된 경보 신호를 경보취합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받아 상기 주 프로세서(18)의 제어하에 채널과 링크의 사용금지 및 해제, 시험 요구 등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19),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원격 교환 장치에 부가되는 입출력 장치(CRT, 프린터, 디스크 유니트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2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한 T1 정합선로로 연결 운용될 때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IPC 채널 할당 및 T1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 24 채널 가운데 첫번째 채널부터 16번째 채널까지를 프로세서간 통신 전용링크로 할당하여 1024Kbps의 IPC 경로를 할당하고, 나머지 8개의 채널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용으로 할당하여 경제적인 링크 운용을 도모하였다.
다음 표는 프레임 번호에 따른 동기신호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한 E1 정합선로로 연결 운용된 때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IPC 채널 할당 및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E1 32채널 가운데 프레임 동기용으로 권고된 첫번째 채널을 제외하고 채널 1부터 채널 16까지의 16개의 채널을 할당하여 T1과 마찬가지로 1024Kbps의 IPC 경로를 할당하고, 나머지 15개의 채널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용으로 할당하여 운용한다.
도면에서, A는 원격 경보로 정상 상태일 때 '0'이고, 경보 상태일 때 '1'이며, Sn은 국내용 유보 비트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11111으로 고정한다.
제5도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 사이의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써, 신호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풀 매쉬(Full mesh)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101은 원격 교환 장치내의 프로세서 통신망이고, 102는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를 연결시켜주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링크 정합 장치로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하는 T1 및 E1 전송로 정합이 가능하다.
또한, 103은 T1 또는 E1 PCM 링크로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어 어느 한쪽의 링크가 장애 상태일지라도 호 처리 및 과금에 전혀 문제없도록한 핫 스탠바이(Hot-Standby) 방식으로 되어 있다.
104는 모국내에 구성되어 있는 원격 교환 장치 정합용 PCM 링크 정합 장치로서 하드웨어 구성은 원격 교환 장치와 동일하며, 모국의 연결망 서브시스템(INS)내에 구성되어 공간 스위치와 연결되어 운용된다.
그리고, 105는 모국내에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써, 풀 매쉬(full mesh) 이중화로 구성되어 두 개의 PCM 링크중 어느 하나가 장애 상태이더라도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격 교환 장치와 모국 교환기 사이의 거리 제한없이 안정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도 원격 교환 장치 수용 가입자에게 우회경로 및 중계선을 통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통신 사업자 측면에서는 원격 교환 장치에 설치된 로컬 메모리를 통해 모자국간 경로 장애시에도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과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타국과 연결되어 중계선 정합을 수행하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11); 원격 교환 장치에 수용된 애널로그 및 디지털 가입자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수단(12);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11)과 가입자 정합 수단(12)에 연결되어 가입자 및 중계선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타임 스위칭 수단(13);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13)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교환 장치에서 필요한 모국 교환기 클럭에 동기된 클럭을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13)에 공급하여, 전체 망의 동기를 이루는 망동기 수단(14); 상기 망동기 수단(14)과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13)에 연결되어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13)과 정합하고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상기 망동기 수단(14)에 기준 클럭으로 공급하며, 모국 교환기와의 신호용 채널을 할당하여 과금 및 호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링크 정합 수단(15); 상기 타임 스위칭 수단(13)에 연결되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고, 국간 중계 신호(R2)를 발생 및 검출하며, 호 시도에 대한 링크 장애 메시지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16);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11), 상기 가입자 정합 수단(12), 상기 링크 정합 수단(15), 그리고 상기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16)에 연결되어 상위 프로세서와 하위 계층의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모국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중계선 정합 수단(11), 가입자 정합 수단(12), 타임 스위칭 수단(13), 망동기 수단(14), 링크 정합 수단(15), 그리고 신호 및 녹음 안내 서비스 수단(16) 등의 제어 프로세서들을 관장하며, 모국 교환기와의 링크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자국 가입자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주 프로세서(18);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각 블럭들로부터 보고된 경보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주 프로세서(18)의 제어하에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19); 및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 네트(17)에 연결되어 입출력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교환 장치.
KR1019930019216A 1993-09-21 1993-09-21 원격 교환 장치 KR96000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216A KR960009462B1 (ko) 1993-09-21 1993-09-21 원격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216A KR960009462B1 (ko) 1993-09-21 1993-09-21 원격 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37A KR950010437A (ko) 1995-04-28
KR960009462B1 true KR960009462B1 (ko) 1996-07-19

Family

ID=1936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216A KR960009462B1 (ko) 1993-09-21 1993-09-21 원격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256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가입자 모듈에서의 호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256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가입자 모듈에서의 호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37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239B1 (en) Multiple application switching platform and method
US5579370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US3912873A (en) Multiple fault tolerant digital switching system for an automatic telephone system
US5151896A (en) Modular digital telephone system with fully distributed local switching and control
EP0125602B1 (en) Control communica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FI74861C (fi) Digitalomkopplingsnaet.
FI74574B (fi) Saett att kommunicera mellan ett flertal terminaler samt digitalkommunikationsanordning med foerdelad styrning foer tillaempning av saettet.
CA1150865A (en)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EP0169160A2 (en) Programmable feature card
JPH03150951A (ja) 交換システム
WO1997030555A9 (en) Multiple application switching platform and method
GB2139855A (en)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6449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all services for remote users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failure
EP0125604B1 (en)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979164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KR960009462B1 (ko) 원격 교환 장치
FR2513471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signaux pour autocommutateur temporel
KR100233939B1 (ko) 멀티미디어형 다중화 장치 및 그 실장 장치
GB2270814A (en) Provision of analogue telephone exchange supplementary services
KR100238435B1 (ko) 에이티엠 연동 서브시스템에 수용된 음성 가입자의 서비스 제어방법
KR960013265B1 (ko) 국 교환기와 원격 교환장치간 북미 방식 피씨엠 링크 접합 장치
KR830001748B1 (ko)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
KR1002447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절단 호 검출 장치 및 방법
Borum et al. The 5ESS switching system: Hardware design
JPS59125150A (ja) 遠隔制御時分割集線システムの障害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