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272B1 - 토공용 절단기 - Google Patents

토공용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72B1
KR960009272B1 KR1019930006558A KR930006558A KR960009272B1 KR 960009272 B1 KR960009272 B1 KR 960009272B1 KR 1019930006558 A KR1019930006558 A KR 1019930006558A KR 930006558 A KR930006558 A KR 930006558A KR 960009272 B1 KR960009272 B1 KR 96000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motor
cutting
dri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상
Original Assignee
윤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상 filed Critical 윤병상
Priority to KR101993000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72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토공용 절단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별도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2' : 모타
3,3' : 축간 4 : 구동체
5 : 공실 6 : 지지축관
7 : 베어링 8 : 베벨기어
9 : 체결부 9' : 체결구
10 : 피니언기어 11 : 햄머
11' : 축간 12 : 체결부
13 : 절단칼 13' : 지지판
14 에어빽 14' : 분사공
15 : 추 16 : 지지틀
16' : 지지간 16 : 지지판
17 : 받침실린더 17' : 로드
18 : 압압실린더 18' : 로드
19 : 체결부 102 : 모타
103 : 축간
본 발명은 주로 토목공사를 할 때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절단 수거하는데 사용하는 토공용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토목공사를 할시 노출된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절단할 때 소음이나 분진을 내지 않고 절단 수거할 수 있게한 토공용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토공용 절단기는 포크레인에 설치된 바이브레이션 타격구를 이용하여 타격 형식으로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파쇄 절단하였기 때문에 절단 파쇄를 정확히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여 환경공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파쇄시 생기는 충격 진동으로 인하여 인접 지반이나 구조물이 손상 당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절단칼이 공전하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하면 햄머는 절단칼과 함께 공전하면서 1:4 이상의 빠른 속도로 자회전하면서 절단칼이 절단한 피절단물을 파쇄하고 이와같이 파쇄된 미입자상의 비파쇄물은 에어빽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소옴이나 충격 진동없이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몸체(1)의 좌측 내부에 베어링(7)을 개재시켜 모타(2)의 축간(3)과 연결된 구동체(4)가 설치되고 구동체(4)의 중압부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부(9)(12)를 교호로 형성하여 체결부(9)의 체결구(9')에는 햄머(11)의 축간(11')이 끼움 설치되고 체결부(12)에는 절단칼(13)의 지지판(13')이 체결 되어지며 구동체(4)의 내부에 형성된 공실(5)내에는 지지몸체(1)의 우측 내부에 설치된 지지축관(6)이 베어링(7)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끼움 설치되고 지지축관(6)의 중앙부에는 베벨기어(8)를 설치하여 체결부(9)에 끼움된 햄머(11)의 축간(11') 내단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0)와 연동되게 하되 이의 회전비는 4:1비로 피니언기어(10)를 고속 회동되게 설치하며 지지축관(6)의 내부에는 베어링(7)을 개재시킨 축간(3')이 끼움되어 모타(2')에 의해 회동되게 하되 축간(3')의 주면에는 편심되게 추(15)를 설치하여 진동회전이 가능케 하였으며 지지몸체(1)는 지지틀(16)의 좌우 지지간(16) 사이에 끼움 설치되어 있으되 상부에 체결부(19)가 있고 사각형상인 지지틀(16)의 좌우측 전후에는 받침실린더(17)를 설치하여 이의 로드(17')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16)에 의해 몸체(1)가 받침되고 절단 작업시는 압압실린더(18)의 로드(18')에 의해 몸체(1)가 피절단물에 압압되게 한 구조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별도 실시예로서 지지축관(6)의 일단을 모타(102)의 축간(103)에 연결하여 변속 및 역회전이 가능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토공용 절단기인바 이를 사용할시는 포크레인의 해드에 체결부(19)를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력은 직류 또는 유압모타(2)(2')나 엔진을 이용하면 되고 토공 작업시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절단 파쇄하고자 할 때는 지지틀(16)을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에 위치시킨 후 받침실린더(17)를 상승 작동시키면 로드(17')가 상승하면서 지지몸체(1)의 중앙부에 돌출된 절단칼(13)이 피절단물에 접지된다.
다음 모타(2)를 가동시키면 구동체(4)는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RPM은 지지몸체(1)에 설치된 절단칼(13)의 지름이 1M일 때 기증하여 600-800으로 회전하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하게 되고 아울러 햄머(11)는 4:1비로 고속 회전 하면서 절단칼(11)이 절단한 피절단물을 분쇄하는데 이때 모타(2')에 의해 회동되는 축간(3')에는 추(15)가 편심 운동하면서 약한 진동을 일으켜 햄머(11)의 분쇄 효과를 높혀준다.
따라서 지지몸체(1)의 중앙부 좌우측에 설치된 에어빽(14)과 연결된 분사공(14')에서는 에어를 분사하여 절단 분쇄된 분말 또는 입자상의 피절단물을 수거시키게 된다.
이때 절단칼(13)은 분사수에 의해 냉각되어지고 비산된 분사수분은 분쇄된 피절단물이 비산됨을 방지하여준다.
즉 절단작업시는 소음이나 분진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절단작업이 진행될 때 압압실린더(18)는 지지틀(l6)에 적당한 압을 가해주므로 이는 마치 통나무를 절단하는 톱처럼 진행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분쇄작업을 하지 않고 절단작업만을 할시는 체결부(9)에서 햄머(11)를 수거함과 동시 모타(2')의 가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모타(2)를 가동시키면 이때에는 절단칼(13)만이 회동되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하게 된다.
또한 작업 목적에 따라 절단칼(13)의 지지판(13')의 길이나 칼날의 수를 가감할 수도 있고 햄머(11)와 절단칼(13)의 개수를 가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도의 별도 실시예와 같이 지지축관(6)내에 설치된 모터(2')의 축간(3')을 제거하고 대신 지지축관(6)의 일단에 모타(102)의 축관(103)을 연결하여 콘트롤 장치부에서 모타(102)의 회전을 변속 또는 역회전시키면 작업 목적에 알맞은 절단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절단칼(13)의 회전수와 햄머(11)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하고자 할시는 모타(102)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면 되고 햄머(11)의 회전수를 고도로 높히고자 할시는 모타(102)를 역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절단칼(13)은 공전하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하고 햄머(l1)는 절단칼(13)과 함께 공전하면서 빠른 속도로 자회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소음 발생이나 진동 충격을 주지 않고 피절단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서 산업적으로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받침실린더(17) 및 압압실린더(18)를 설치한 지지틀(16)의 지지간(16')에 안치되게 한 지지몸체(1)의 좌측 내부에는 베어링(7)을 개재시켜 모타(2)의 축간(3)과 연결된 구동체(4)를 설치하고 구동체(4)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부(9)(12)를 교호로 형성햐며 체결부(9)에는 햄머(11)의 축간(11')이 끼움 설치되고 체결부(12)에는 지지판(13')을 개재시킨 절단카(13)이 체결되며 구동체(4)의 내부에 형성된 공실(5) 내에는 지지몸체(1)의 우측 내부에 설치된 지지축간(6)이 베어링(7)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끼움 설치되고 지지축관(6)의 중앙부에는 베벨기어(8)를 설치하여 체결부(9)에 끼움된 햄머(11)의 축간(11') 내단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0)와 물림되게 하고 지지축간(6)의 내부에는 베어링(7)을 개재시킨 축간(3')이 끼움 되어 모타(2')에 의해 회동되게 하되 축간(3')의 주면에는 편심되게 추(15)를 설치하여서된 토공용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체(4)의 공실(5)내에 베어링(7)과 베벨기어(8)를 개재시켜 설치된 지지축관(6)의 우측단에 모타(102)의 축간(103)을 연결하여 지지축관(6)이 정역방향으로 변속 회전될 수 있게한 토공용 절단기.
KR1019930006558A 1993-04-17 1993-04-17 토공용 절단기 KR96000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58A KR960009272B1 (ko) 1993-04-17 1993-04-17 토공용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58A KR960009272B1 (ko) 1993-04-17 1993-04-17 토공용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272B1 true KR960009272B1 (ko) 1996-07-16

Family

ID=1935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558A KR960009272B1 (ko) 1993-04-17 1993-04-17 토공용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2747A (zh) * 2023-12-25 2024-02-09 一鸣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墙壁开槽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2747A (zh) * 2023-12-25 2024-02-09 一鸣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墙壁开槽设备
CN117532747B (zh) * 2023-12-25 2024-04-26 一鸣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墙壁开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8682B2 (ja) 岩石および他の材料を粉砕する装置、ならびに前記装置を用いて岩石などを粉砕する方法
US5419502A (en) Tub grinder systems and methods for comminuting waste wood
US6438874B1 (en) Hydraulic rotary grinder for attachment to construction machinery
JP7013526B2 (ja) 土工ローラ
US4678126A (en) Shredder
EP1964634A2 (en) Tool unit for a cutting or sawing machine
CN1012673B (zh) 机动工具
JP2004042032A (ja) 粉砕機
KR960009272B1 (ko) 토공용 절단기
US3695722A (en) Apparatus for treating or digging into surfaces and cutting members for this apparatus
JP2713866B2 (ja) 破砕機
JP2006507920A (ja) 廃棄物、木材等の材料を粉砕するための装置
JP2815826B2 (ja) 破砕機
EP0127587B1 (en) A mobile crusher unit for clearing rough terrain, preparing road formworks and road beds, operating open-work mines, and the like
CA2255365C (en) Comminuting apparatus
CN217129536U (zh) 一种掘进机用破碎结构
DE69826579T2 (de) Fräsvorrichtung mit elliptischen Scheiben
JP2003135989A (ja) 車両用樹脂製バンパー破砕機
CN1080215A (zh) 切碎装置
JP2729446B2 (ja) 複数ビットを有する回転式コンクリートハツリ装置
KR200375858Y1 (ko) 뿌리 파쇄장치
JP3040517U (ja) 破砕機
CN2573676Y (zh) 一种掘进截割装置
CN1164859C (zh) 一种掘进截割装置
EP0330683A1 (de) Schneid-/rollenmei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