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239Y1 -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39Y1
KR960009239Y1 KR2019930015608U KR930015608U KR960009239Y1 KR 960009239 Y1 KR960009239 Y1 KR 960009239Y1 KR 2019930015608 U KR2019930015608 U KR 2019930015608U KR 930015608 U KR930015608 U KR 930015608U KR 960009239 Y1 KR960009239 Y1 KR 960009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ug
measuring
lug height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277U (ko
Inventor
남일호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5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39Y1/ko
Publication of KR950007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제1도는 (a)(b)는 종래의 러그높이 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제2도 (a)(b)는 본 고안에 따른 러그높이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와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 (a)(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튜브(tube) L : (튜브의) 러그(lug)
10 : 프레임(frame) 18 : 받침판
23 : 세팅판(setting plate) 25 : 측정블럭
27 : 변위센서 28 : 이재수단
본 고안은 음극선관(陰極線管)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네 모서리에 부착된 러그(lug)의 높이를 측정하는 러그높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이 완성되면 패널(panel)의 스커어트(skirt) 외주에는 대기압에 의한 음극선관의 폭축(implosion)을 방지하기 위해 방폭밴드(防爆 band)가 소정의 인장력으로 감겨진다. 이러한 방폭밴드의 네 모서리에는 TV등의 세트(set)내에 음극선관을 고정하기 위한 러그가 접합되는데, 이 러그는 세트 내에서의 음극선관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극선관에 대한 러그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튜브(tube)의 진공시 가장 적게 변형되는 패널(panel)면의 소위 Z포이트로부터의 러그높이(lug height)와 각 러그간의 피치(pitch)가 적절한 정도(精度)로 관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제1도에는 이와 같이 러그높이 및 피치를 관리하기 위한 종래의 측정장치를 도시하였다. 튜브(T)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1a)가 형성된 사각 틀형 본체(1)의 네 모서리부에 방폭밴드(TB)에 부착된 러그(L)와 대응되도록 측정블럭(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변부에는 튜브(T)에 대해 본체(1)를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블럭(2)이 적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측정블럭(3)에는 패널(P)면에 소정의 기준위치 즉, Z포인트에 접촉되는 지지돌기(4)가 구비되어 있으며, 러그(L)의 관통구멍(H)에 끼워지는 측정핀(5)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측정핀(5)의 상단에는 지지로드(7)에 의해 본체(1)에 고정된 측정수단, 예를 들어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l6)등의 스핀들(spindle; 6a)이 접촉되어 있어, 각 다이얼 게이지(6)를 읽음으로써 러그높이와 피치를 측정하도록 되어 잇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러그높이 측정장치는 소정의 측정대위에 작업자가 일일이 측정될 튜브(T)를 세팅(setting)하고, 이에 측정장치를 세정한 뒤, 각 다이얼 게이지(6)를 읽어 그 적정성여부를 판단하는 복잡한 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튜브(T)의 전수(全數)검사는 불가능하고 적당한 로트(lot)단위로 발취(拔取)검사를 행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측정작업의 효율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출하되는 음극선관이 세트에 적절히 설치되지 못하여 음극선관의 품위와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측정장치의 각 구성부품, 특히 측정블럭(3)등이 고정된 구성이므로 관종이 다른 여러 튜브(T)에 대하여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인해, 각 관종별로 해당 측정장치를 다수 구비해야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극선관의 관종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는 승강가능하며 복수의 러그를 가지는 튜브가 안착되는 받침판과, 튜브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판에 안착된 튜브를 센터링하는 복수의 세팅판과, 받침판의 승강에 따라 튜브의 러그 관통구멍을 각각 삽입 지지하는 복수의 측정블러과, 튜브의 패널면 소정위치에 각각 접촉되어 튜브의 러그높이를 측정하는 복수의 변위센서와, 받침판상에 튜브를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이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측정블럭이 튜브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관종에 구애 없이 다량의 음극선관의 러그높이를 간단하게 측정 및 판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음극선관의 제조효율 및 신뢰성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러그높이 측정장치는 바람직하기로 제1,2지지판(11)(12)를 가지는 하나의 프레임(frame;10)에 설치된다. 제1지지판(11)상의 중앙부에 지지관(13)이 설치되고 이의 외주 상하부에는 제1,2의 안내판(14,14a,1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승강로드(15)가 제1지지판(11)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2안내판(14a)(14b)은 이들을 각각 회전시키는 제1,지지판액튜에이터(actuator)(16)(17)의 실린더로드(16a)(17a)와 연결된다. 승강로드(15)의 상단에는 복수의 러그(L)가 부착된 튜브(T)를 안착지지하는 받침판(18)이 설치되고, 제1지지판(11)의 하면에는 대략 L자형의 레버(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9)이 설치된다. 레버(20)의 일단은 승강로드(15)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로드(15)를 이동시키는 제3액튜에이터(21)의 실린더 로드(21a)와 연결된다.
한편 제2지지판(12)에는 튜브(T)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관통구멍(12a)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12a)의 각 변부 중간부에 안내홈(12b)이 형성되고 이의 양측에는 안내레일(22)이 각각 설치된다. 안내레일(22)상에는 받침판(18)에 안착된 튜브(T)를 센터링(centering)하는 복수의 세팅판(23)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 세팅판(23)상의 양측에는 바람직하기로 튜브(T), 즉 방폭밴드(BT)와의 용이한 접촉을 위해 세팅롤러(23a)가 구비된다. 각 세탕판(23)의 하면에는 제2지지판(12)의 안내홈(12b)에 위치되도록 연결브라켓(23b)이 설치되어 안내로드(24)에 의해 안내판(14;14a,14b)과 각각 연결되는데, 관통구멍(12a) 단면부에 위치한 연결브라켓(23b)은 제1안내로드(24a)에 의해 제1안내판(14a)과 연결되고 그 장변부에 위치한 연결브라켓(23b)은 제2안내로드(24b)에 의해 제2안내판(14b)과 연결된다.
또한 제2지지판(12)의 관통구멍(12a) 각 모서리부에는 튜브(T)의 러그(L)를 각각 접촉지지하는 복수의 측정블럭(25)이 설치되며, 각 측정블럭(25)의 상면에는 러그(L)의 관통구멍(H)에 끼워지는 측정돌기(25a)가 형성된다. 이 측정블럭(15)은 관종이 다른 여러 튜브(T)의 러그(L)를 지지할 수 있음이 바람직한 바, 제4액튜에이터(26)에 의해 튜브(T)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지지판(11)의 일측에는 튜브(T)의 패널(P)면 소정위치, 예컨대 Z포인트에 각각 접촉되어 러그높이를 측정하는 복수의 변위센서(displacement sensor; 27)가 구비된다. 이 변위센서(27)는 그 프루브(probe)의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공급하는 구성이면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기로는 각 변위센서(27)가 관종에 따라 각각의 Z포인트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수단, 예를 들어 모터(motor)에 의해 구동되는 볼스크류(ball screw)등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진공패드(29)등을 구비하여 튜브(T)를 이송하여 받침판(18)상에 안착시키는 이재수단(28)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를 이동하는 이송실린더 또는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러그높이 측정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측정블럭(25)과 변위센서(27)를 측정될 튜브(T)의 관종에 따라 적정위치에 세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4도(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액튜에이터(21)의 실린더로드(21a)가 전진하면 레버(20)가 소정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승강로드(15)가 이동되어 받침판(18)을 상승시킨다. 이어서 이재수단(28)에 의해 튜브(T)가 받침판(18)상에 안착되면 제4도(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액튜에이터(16)(17)의 작동에 의해 안내판(14;14a,14b)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안내로드(24)에 의해 각 세팅판(23)이 전진하여 그 세팅롤로(23a)가 튜브(T)의 외측면, 즉 방폭밴드(TB)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튜브(T)를 센터링하고, 센터링이 완료되면 각 세팅판(23)은 제1,2액튜에이서(16)(17)에 의해 후퇴한다. 이와 동시에 제2도(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액튜에이터(21)의 실린더로드(21a)가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20)에 의해 승강로드(15)가 하강함으로써 받침판(18)에 안착된 튜브(T)가 하강된다. 그러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의 러그(L)관통구멍(H)이 측정블럭(25)의 측정돌기(25a)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이에 지지되고, 동시에 튜브의 패널(P)면 소정위치, 즉 Z포인트가 각 변위센서(27)에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공급된다. 이에따라 제어부는 공급된 측정신호를 저장된 허용 데이터치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양, 불량을 판정하여 표시등이나 표시음등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측정이 완료되면 제4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액튜에이터(21)에 의해 받침판(18)이 상승하게 되고 이재수단(28)이 튜브(T)를 반출함으로써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튜브(T)의 러그(L)가 로테이션(rotation)되었을 경우에는 그 관통구멍(H)이 측정블럭(25)의 측정돌기(25a)에 삽입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패널(P)면이 변위센서(27)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어부에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러그(L)의 피치가 규격내에 존재하지 않음을 판정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량의 음극선관의 러그높이를 신속정확하게 연속적으로 측정 및 판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종이 다른 여러 음극선관의 러그높이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제조효율 및 신뢰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승강가능하며 복수의 러그(L)를 가지는 튜브(T)가 안착되는 받침판(18)과, 상기 튜브(T)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18)에 안착된 상기 튜브(T)를 센터링하는 복수의 세팅판(23)과, 상기 받침판(18)의 승강에 따라 상기 튜브(T)의 러그(L) 관통구멍(H)을 각각 삽입지지하는 복수의 측정블럭(25)과 상기 튜브(T)의 패널(P)면 소정위치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튜브(T)의 러그높이를 측정하는 복수의 변위센서(27)와, 상기 받침판(18)상에 상기 튜브(T)를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이재수단(28)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정블럭(25)이 상기 튜브(T)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석관의 러그 높이 측정장치.
KR2019930015608U 1993-08-14 1993-08-14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KR960009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608U KR960009239Y1 (ko) 1993-08-14 1993-08-14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608U KR960009239Y1 (ko) 1993-08-14 1993-08-14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277U KR950007277U (ko) 1995-03-21
KR960009239Y1 true KR960009239Y1 (ko) 1996-10-16

Family

ID=1936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608U KR960009239Y1 (ko) 1993-08-14 1993-08-14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27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41B1 (ko) 판넬 규격 검사장치
JP3670679B2 (ja) Cpt用パネル規格検査装置
JP2006506629A (ja) 検査体の接触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H10221188A (ja) ベルト駆動部のベルト張力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KR960009239Y1 (ko) 음극선관의 러그높이 측정장치
KR20050005887A (ko) 반도체 척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JP3958875B2 (ja) プローバ及びプローブ針接触方法
JPH0731137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基板検査装置の検査ステージ
CN111595249A (zh) 一种基于aoi作业的平板显示屏检测装置
JP3897469B2 (ja) 平板状被検査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23384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KR100516617B1 (ko) 범프 레벨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5425B1 (ko) 커버 변형검사 지그
CN210469893U (zh) 一种pcb自动标定线
KR200177273Y1 (ko) 반도체 프로버의 헤드 플레이트 평탄도 조절장치
KR200153786Y1 (ko) 화상표시소자 조립체의 히트실 측정장치
KR20000026546A (ko) 평면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및 방법
CN214277954U (zh) 键盘按键组装在线检测设备
CN219999710U (zh) 电路板银浆线的修补机构
CN209858454U (zh) 一种高精度的节能中空玻璃旋转平台光学检测设备
KR100446908B1 (ko) 음극선관용 플랫패널의 평탄도 측정장치
JPH0477871B2 (ko)
KR100455316B1 (ko) 음극선관용 패널의 검사장치
KR100543812B1 (ko) 음극선관용 판넬의 측정시스템
KR20190111497A (ko) 평탄도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