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40Y1 -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40Y1
KR960009040Y1 KR2019930006641U KR930006641U KR960009040Y1 KR 960009040 Y1 KR960009040 Y1 KR 960009040Y1 KR 2019930006641 U KR2019930006641 U KR 2019930006641U KR 930006641 U KR930006641 U KR 930006641U KR 960009040 Y1 KR960009040 Y1 KR 960009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y
fixed
pallet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779U (ko
Inventor
한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6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040Y1/ko
Publication of KR940025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레이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업/다운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업/다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 이송부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부푼 이송부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트레이 P : 팔레트
C : 콘트롤러 U : 트레이 업/다운부
M1,M2,M3 : 모터 G1 : 구동기어
G2 : 피동기어 S : 센서
2,4 : 팔레트출입구 6 : 몸체
8,10 : 상하부 플레이트 12 : 가이드봉
14 : 이동 플레이트 16 : 팔레트 장착홈
18 : 트레이 탑재함 20 : 볼스크류
22 : 전동수단 30,80,94 : 타이밍 벨트
34 : 센서부 36 : 센서 플레이트
40,73,88 : 센서 고리 42 : 팔레트 플레이트
44 : 고정구 안내홀 46 : 트레이 고정구
48 : 트레이 위치 고정구 50 : 고정볼트
52 : 고정 브라켓 54 : 체결구
F : 부품 이송부 56 : 좌우측 커버 브라켓
58 : Y 플레이트 60 : 연장 브라켓
62 : 스토퍼 64 : 스토퍼 브라켓
66,68,138 : 가이드 로드 Y : Y축 이동부
70,72,140,142 : 부시 브라켓 74 : X 플레이트
82,94 : 벨트 고정구 84 : 모터 브라켓
X : X축 이동부 92 : LM 플레이트
Z : 부품 흡착부 102 : Z 플레이트
104 : 가이드 수단 106 : 승강수단
108 : 승강 플레이트 110 : 노즐
112 : 진공 패드 114 : 장홀
116 : 가이드핀 118 : 가이드 브라켓
120 : 피스턴 로드 122 : 에어실린더
I : 팔레트 인출부 124 : LM 가이드
126 : 트레이 핸드 128 : 연결단
130,146 : 로드레스 실린더 A : 예비 정렬부
134 : 정렬 플레이트 136 : 가이드 브라켓
144 : 스테이션 148 : 얼라이너
본 고안은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대의 공급장치로도 여러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을 필요에 따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상에 장착되는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는 테이프 피이더와 스틱 피이더, 트레이 피이더등의 공급장치가 있는데, 특히 트레이 피이더는 다수의 전자 부품이 담겨진 트레이블 1~2개씩 칩마운터에 제공하고 이 칩마운터로 하여금 트레이의 전자 부품을 꺼내어 예비 정렬등의 작업을 거친 후, PCB상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칩마운터에 공급되는 한 두 개씩의 트레이는 이 트레이가 놓여질 수 있도록 마련된 스테이션에 위치하게 되는데, 담겨진 전자부품이 모두 꺼내어져 장착되면 빈 트레이는 전자 부품이 담겨진 새로운 트레이와 교체되어 계속적인 부품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는 트레이에 한정된 종류의 부품을 담고 있어 필요에 다른 여러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다른 종류의 부품을 담고 있는 트레이와, 이 트레이들에 담겨진 전자 부품을 각각 인출하는 여러 대의 공급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상승시키고, 잦은 전자부품의 셋업으로 연속 작업을 행할 수가 없어 이로 인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1대의 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전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셋업 회수를 줄임으로써, 연속적인 부품의 공급으로 생산성을 향상하게 할 뿐 아니라, 아울러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자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레이가 고정된 다수의 팔레트를 상하로 업/다운시키는 트레이 업/다운부와, 이러한 트레이 업/다운부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를 인출토록 하고, 또 트레이에 담겨진 전자 부품을 픽업하여 X,Y,Z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전자부품이 칩마운터에 의해 이송되기 전에 예비 정렬을 행하는 부품 이송부와, 상기한 트레이 업/다운부 및 부품 이송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트레이 업/다운부는, 이의 외부를 이루는 몸체 내부의 콘트롤러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직립의 형태로 고정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로 상하이동이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와, 이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다수의 팔레트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에 트레이를 고정 장착한 팔레트가 탑재되는 트레이 탑재함과, 상기한 이동 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이동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에 전동수단으로 연계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팔레트는, 장홀의 형상을 취하는 다수의 고정구 안내홀이 뚫려지며 트레이 탑재함의 팔레트 장착홈에 끼워져 탑재되는 팔레트 플레이트와, 상기 팔레트 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어 트레이를 위치 고정토록 하는 다수개의 트레이 위치 고정구와, 상기한 팔레트 플레이트의 고정구 안내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고정이 가능하여 트레이를 팔레트에 고정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트레이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센서부는, 몸체 내부에 직립 고정되는 센서 플레이트와, 이 센서 플레이트에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Z축 센서와, 이 Z축 센서를 지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센서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트레이 고정구는, 팔레트 플레이트의 고정구 안내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이 고정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홀을 뚫어주며, 트레이에 밀착되어 이 트레이를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는, 트레이 업/다운부의 몸체에 고정 형성되는 XY 플레이트와 이 XY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팔레트 인출부와, 상기 인출된 팔레트 상측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Y축 이동부와, 상기 Y축 이동부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X축 이동부와, 상기 X축 이동부에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트레상의 부품을 흡착 픽업하는 부품 흡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XY 플레이트는, 틀이 업/다운부의 몸체 전방에 직립하도록 고정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 브라켓과, 이 좌우측 커버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Y 플레이트와, 상기한 좌우측 커버 브라켓중 하나의 커버 브라켓에 연장 형성되어 Y축 이동부의 모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 브라켓과, 상기한 좌측 브라켓의 각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로드 브라켓과, 이 각각의 2개 로드 브라켓 사이에 개재 고정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와, 상기한 좌우 커버 브라켓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스토퍼 브라켓에 장착되어 트레이의 인출시 이 트레이의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Y축 이동부는, 2개의 가이드 로드에 각각 끼워져 이 가이드 로드들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부시 브라켓과, 이 2개의 부시 브라켓에 고정 형성되는 X 플레이트와, 이 X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 형성되어 X축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X축 가이더, 상기 X 플레이트의 일측 상면에 연장 형성되어 X축 이동부의 모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 브라켓과, 커버 브라켓의 연장 브라켓에 장착되어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에 타이밍 벨트로 연계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커버 브라켓에 장착된 피동기어와, 상기 타이밍 벨트가 관통 고정되며, 어느 하나의 부시 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벨트 고정구와, 이러한 Y축 이동부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부시 브라켓이 벨트 고정구에 연장된 센서 고리와, 이 센서 고리가 지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서로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X축 이동부는, X축 가이더와 슬라이딩 가능한 LM 플레이트와, 이 LM 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된 벨트 고정구와, 이 벨트 고정구에 관통되어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와, 이 타이밍 벨트에 치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X 플레이트상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X 플레이트의 모터 브라켓에 장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치합하는 피동기어를 보유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부품 흡착부는, X축 이동부의 LM 플레이트와 고정되어 X축 이둥부와 함께 이동하는 Z 플레이트와, 이 Z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가이드 수단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수단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이 승강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고정 장착되어 진공력으로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 패드를 보유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흡착부의 가이드 수단은, 고정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파여진 장홀과, 이 장홀에 끼워져 슬라이등 가능한 가이드핀을 보유하는 상태로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 흡착부의 승강수단은, Z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그 피스턴 로드가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팔레트 인출부는, Y 플레이트의 상면에 Y 방향으로 놓여져 고정된 LM 가이더와, 이 LM 가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팔레트의 걸리 고리가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트레이 핸드와, 이 트레이 핸드의 연결단이 연계되어 트레이 핸드를 상기 LM 가이더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Y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여져 고정된 로드레스 실린더와, 이 로드레스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의 예비 정렬부는 Y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정렬 플레이트와, 이 정렬 플레이트 상면에 가이드 브라켓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와, 상기 2개의 사이드 로드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이 가능한 2개의 부시 브라켓과, 이 2개의 부시 브라켓이 고정되는 스테이션과, 상기 스테이션의 상면에 설치되어 안착된 전자부품의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벌어져 부품의 예비 정렬을 행하는 다수개의 얼라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트레이(T)가 고정된 다수의 팔레트(P)를 상하로 업/다운시키는 트레이 업/다운부(U)와, 상기 트레이(T)에 담겨진 전자 부품의 이송 및 정렬을 행하는 부품 이송부(F), 그리고 상기한 트레이 업/다운부(U) 및 부품 이송부(F)를 제어하는 콘트롤러(C)로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트레이 업/다운부(U)는 제2도와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트레이 업/다운부(U)의 외부를 이루며, 트레이(T)가 장착된 팔레트(P)를 입출할 수 있도록 팔레트 출입구(2)(4)를 보유하는 몸체(6)내의 콘트롤러(C) 상부에 위치하는 상하부 플레이트(8)(10)를 구비하고, 이 상하부 플레이트(8)(10) 사이에 직립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을 개재토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봉(12)에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14)를 구비하고 이 이동 플레이트(14)의 상면에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팔레트 장착홈(16)이 파여진 트레이 탑재함(18)을 고정 형성하여 트레이(T)가 장착된 다수의 팔레트(P)가 탑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이도 플레이트(14)의 양선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다수개의 볼스크류(20)를 상하부 플레이트(8)(10) 사이에 개재 장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볼스크류(20)들은 전동수단(22)으로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1)에 연계되어 있다.
상기한 전동수단(22)은 모터(M1)의 회전축에 장착된 2개의 구동기어(G1)와, 이들 구동기어(G1)와 각각 치합하는 2개의 타이밍 벨트(b1,b2), 그리고 이 2개의 타이밍 벨트(b1,b2)에 치합되도록 2개의 볼스크류(20)에 각기 장착된 2개의 피동기어(G2)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이동 플레이트(14)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C)에 전달하는 센서부(34)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센서부(34)는 몸체(6) 내부에 직립 고정되는 센서 플레이트(36)와, 이 센서 플레이트(36)에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센서(s), 그리고 이 센서(s)를 지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14)에 돌출 형성된 센서 고리(40)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팔레트(P)는 트레이 탑재함(18)의 팔레트 장착홈(16)에 끼워져 탑재되는 팔레트 플레이트(42)를 구비하고, 이 팔레트 플레이트(42)에 장홀의 형상을 취하는 다수의 고정구 안내홀(44)을 뚫어 주어 이 고정구 안내홀(44)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거나 고정이 가능한 다수개의 트레이 고정구(46)와, 상기 팔레트 플레이트(42)의 상면에 고정 형성된 다수개의 트레이 위치 고정구(48)에 의해 트레이(T)가 팔레트(P)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트레이 인출부(I)에 기워질 수 있는 걸림 고리(D)를 보유토록 하고 있다.
상기한 트레이 고정구(46)는 팔레트 플레이트(42)의 고정구 안내홀(44)을 관통하는 고정볼트(50)와, 이 고정볼트(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이 뚫려진 고정 브라켓(52),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52)이 팔레트 플레이트(42)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50)에 체결되는 체결구(5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한 부품 이송부(F)는 트레이 업/다운부(U)의 몸체(6) 전방에 직립하는 좌우측 커버 브라켓(56)을 고정 형성하여 이 좌우측 커버 브라켓(56) 사이에 Y 플레이트(58)를 개재 장착하고, 상기한 좌우측 커버 브라켓(56)중 하나의 커버 브라켓(56)에 연장 브라켓(60)을 형성하며, 또, 상기한 좌우 커버브라켓(56)의 내측면에 각각 스토퍼(62)를 보유하는 2개의 스토퍼 브라켓(64)과, 외측면에 로드 브라켓(65)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66)(68)를 보유하는 XY 플레이트(O)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부품 이송부(F)는 2개의 가이드 로드(66)(68)에 의해 Y 방향의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Y축 이동부(Y)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Y축 이동부(Y)는 상기 2개의 가이드 로드(66)(68)에 그 2개의 부시 브라켓(70)(72)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각각 끼워지며, 2개의 센서고리(73)를 보유하는 X 플레이트(74)를 구비토록 하고 있다.
또, 상기 X 플레이트(74)의 2개의 부시 브라켓(70)(72)중 어느 하나의 부시 브라켓(70)에는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2) 회전축의 구동기어(G1)와 어느 하나의 커버 브라켓(56)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피동기어(G2)를 연계시키는 타이밍 벨트(b)가 관통 고정되는 벨트 고정구(82)를 고정 형성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X 플레이트(74) 상면에 X축 가이더(86)를 고정 장착하여 부품 이송부(F)를 이루는 X축 이동부(X)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부시 브라켓(70)(72)의 벨트 고정구(82)에 또 다른 센서고리(88)를 연장 형성하고, 이 센서 고리(88)가 지날 수 있고, 콘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센서(S)가 커버 브라켓(56)에 장착되도록 하여 Y축 이동부(Y)의 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부품 이송부(F)의 X축 이동부(X)는 Y이동부(Y)의 X축 가이더(86)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LM 플레이트(92)를 구비토록 하고, 이 LM플레이트(92)에 벨트 고정구(82)를 고정 형성하고 있으며, 이 벨트 고정구(82)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b)가 상기 X 플레이트(74)의 일측 상면에 연장 형성된 모터 브라켓(84)에 장착되어 콘트롤러(C)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M3) 회전축의 구동기어(G1)와, 상기 X 플레이트(74)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피동기어(G2)를 연계토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X축 이동부(X)의 LM 플레이트(92)에는 직립하며 그 양측단에 콘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S)를 보유하는 Z플레이트(02)를 고정 형성하여 X축 이동부(X)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품 이송부(F)의 부품 흡착부(Z)를 구성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부품 흡착부(Z)는 상기 Z플레이트(102)의 일면에서 가이드 수단(104)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수단(106)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플레이트(108)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108)를 관통하도록 고정 형성된 노즐(110)에 진공력이 제공될 수 있는 진공패드(112)를 장착하여 전자 부품을 흡착, 픽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품 흡착부(Z)의 가이드 수단(104)은 상기 Z플레이트(102)에 수직으로 파여진 장홀(114)과, 이 장홀(114)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핀(116)을 보유하는 상태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108)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36)(118)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승강수단(106)은 상기 Z플레이트(102)에 장착되어 그 피스턴 로드(120)가 승강 플레이트(108)에 고정되며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에어 실린더(122)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Y플레이트(58) 상면에는 부품 이송부(F)를 이루는 팔레트 인출부(I)를 설치하여 트레이 업/다운부(U)로부터 트레이(T)를 장착한 팔레트(P)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팔레트 인출부(I)는 LM가이더(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Y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트레이 핸드(126)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팔레트 인출부(I)의 트레이 핸드(126)는 연결단(128)으로 연계된 로드레스 실린더(130)에 의해 상기 LM 가이더(124)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 로드레스 실린더(1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C)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S)를 구비하여 상기 트레이 핸드(126)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Y 플레이트(58)상에 부품 이송부(F)를 이루는 예비 정렬부(A)를 설치하여 트레이(T)로부터 픽업된 전자 부품이 놓여져 정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예비 정렬부(A)는 부품 흡착부(Z)의 진공 패드(112)의 이동 가능한 구역과 칩마운트(도시생략)의 이동 가능한 구역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정렬 플레이트(134)를 구비토록 하고 이 정렬 플레이트(134) 상면에 가이드 브라켓(136)으로 고정 장착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138)를 고정 형성하고 있다.
상기 2개의 가이드 로드(138)에는 2개의 부시 브라켓(140,142)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 스테이션(144)을 구비토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테이션(144)은 상기 가이드 로드(138)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로드레스 실린더(140)(142)에 의해 하나의 부시 브라켓(14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 이동되는 하나의 부시 브라켓(140)과 함께 다른 부시 브라켓(142)이 2개의 가이드 로드(138)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스테이션(144)의 상면에는 안착된 전자 부품의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벌어져 전자 부품이 예비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얼라이너(148)를 보유토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얼라이너(148)는 에어 실린더, 또는 서보모터에 의해 정해진 만큼 벌어지거나 조여지는 공시의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공급장치는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1)를 작동시키면 이 모터(M1)에 전동수단(22)으로 연계된 다수개의 볼스크류(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이 볼스크류(20)와 나사 결합된 이동 플레이트(14)가 다수개의 가이드봉(12)에 가이드되는 상태로 트레이 탑재함(18)과 함께 인출될 팔레트(P)의 위치만큼 이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14)의 센서 고리(40)가 센서 플레이트(36)에 고정된 센서(S)를 지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센서(S)는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C)에 전달하여 콘트롤러(C)로 하여금 트레이 탑재함(18)을 상하 이동시키는 모터(M1)의 작동을 제어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를 장착한 팔레트(P)가 인출될 위치에 있도록 트레이 업/다운부(U)가 작동되면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팔레트 인출부(I)의 로드레스 실린더(130)는 이에 연결단(128)으로 연계된 트레이핸드(126)가 LM 가이더(124)를 따라 전진 이동하여 인출될 팔레트(P)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이 업/다운부(U)를 하강 작동시켜 팔레트(P)의 걸림고리(D)가 트레이 핸드(126)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다시 콘트롤러(C)로 제어되는 로드레스 실린더(130)에 의해 트레이 핸드(126)가 후진 이동하여 전자 부품이 담겨진 트레이(T)가 장착된 팔레트(P)가 로드레스 실린더(130)와 LM가이더(124)면을 따라 인출되어 Y플레이트(58)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레트(P)가 인출되면 Y축 이동부의 모터(M2)와, X축 이동부(X)의 모터(M3)가 각각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 작동되도록 하고, 이 모터(M2,M3)들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b)들과 연계된 벨트 고정구(82)(94)가 Y축 이동부(Y)의 X플레이트(74) 및 X축 이동부(X)의 LM플레이트(92)로 하여금 2개의 가이드로드(66)(68) 및 X축 가이더(86)를 따라 픽업할 트레이(T)상의 전자 부품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Y축 이동부(Y)의 부시 브라켓(70)(72)에 고정된 센서 고리(88)가 커버 브라켓(56)에 장착된 센서(S)를 지나게 됨에 따라 이 센서(S)가 Y축 이동부(Y)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러(C)에 전달함으로써, 콘트롤러(C)가 Y축 이동부(Y)를 이동하게 하는 모터(M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또 X축 이동부(X)의 모터(M3)는 X플레이트(74)의 센서고리(73)에 접촉하는 Z플레이트(102)의 센서(S)가 X축 이동부(X)의 이동 상태를 전달받은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X축 이동부(X)의 이동 구간을 한정토록 한다.
또, Y축 이동부(Y)와 X축 이동부(X)가 이동하여 픽업할 전자 부품 위치에 있게 되면,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부품 흡착부(Z)의 승강수단(106)은 승강 플레이트(108)로 하여금 가이드 수단(104)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로 픽업할 전자 부품의 상측으로 하강토록 하고, 진공력이 제공되는 노즐(110)의 진공패드(112)로 하여금 전자부품을 흡착토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부품이 흡착되면 부품 흡착부(Z)의 승강수단(106)과, Y축 이동부(Y) 및 X축 이동부(X)의 모터(M2,M3)들은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 작동되어 흡착 픽업된 전자부품이 스테이션(144)의 위치에 까지 이동하여 안착하면,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예비 정렬부(A)의 로드레스 실린더(130)는 상기 스테이션(144)로 하여금 가이드로드(66)(68)를 따라 칩마운더가 전자 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위치로 후진 이동하도록 하고, 또 스테이션(144)의 상면에 설치된 얼라이터(148)로 하여금 전자부품을 예비 정렬토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 공급장치는 1대의 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전자 부품을 다량 탑재한 트레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부품을 탑재한 트레이의 셋업 회수를 줄임으로써, 연속적인 부품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게 할 뿐 아니라, 아울러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트레이(T)가 고정된 다수의 팔레트(P)를 상하로 업/다운시키는 트레이 업/다운부(U)와 이러한 트레이 업/다운부(U)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P)를 인출토록 하고, 또 트레이(T)에 담겨진 전자 부품을 픽업하여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전자 부품이 칩 마운터에 의해 이송되기 전에 예비 정렬을 행하는 부품 이송부(F)와, 상기한 트레이 업/다운부(U) 및 부품 이송부(F)를 제어하는 콘트롤러(C)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 업/다운부(U)는 이의 외부를 이루는 몸체(6) 내부의 콘트롤러(C) 상부에 위치하며 상, 하부, 플레이트(8)(10) 사이에 직립의 형태로 고정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과, 상기 가이드봉(12)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14)와, 이 이동 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다수의 팔레트(P) 장착홈(16)을 형성하여 이에 트레이(T)를 고정 장착한 팔레트(P)가 탑재되는 트레이 탑재함(18)과, 상기한 이동 플레이트(14)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이동 플레이트(14)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스크류(20)와, 이 볼스크류(20)에 전동수단(22)으로 연계되어 볼스크류(20)를 회전시키는 모터(M1)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14)의 이동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팔레트(P)는 장홀의 형상을 취하는 다수의 고정구 안내홀(44)이 뚫려지며 트레이 탑재함(18)의 팔레트 장착홈(16)에 끼워져 탑재되는 팔레트 플레이트(42)와, 상기 팔레트 플레이트(42)에 고정형성되어 트레이(T)를 위치 고정토록 하는 다수개의 트레이 위치 고정구(48)와, 상기한 팔레트 플레이트(42)의 고정구 안내홀(44)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고정이 가능하여 트레이(T)를 팔레트(P)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트레이 고정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는 트레이 업/다운부(U)의 몸체(6)에 고정 형성되는 XY 플레이트(O)와; 이 XY플레이트(O)의 상면에 설치되는 팔레트 인출부(I)와; 상기 인출된 팔레트(P) 상측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Y축 이동부(Y)와; 상기 Y축 이동부(Y)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X축 이동부(X)와; 상기 X축 이동부(X)에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트레상의 부품을 흡착픽업하는 부품 흡착부(Z)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XY플레이트(O)는 트레이 업/다운부(U)의 몸체(6) 전방에 직립 하도록 고정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 브라켓(56)과; 좌우측 커버 브라켓(56) 사이에 개재되는 Y플레이트(58)와; 상기한 좌우측 커버 브라켓(56)중 하나의 커버 브라켓(56)에 연장 형성되어 Y축 이동부(Y)의 모터(M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 브라켓(60)과; 상기한 좌우측 커버 브라켓(56)의 각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로드 브라켓(65)과; 이 2개의 로드 브라켓(65)사이에 개재 고정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66)(68)와; 상기한 좌우측 커버 브라켓(56)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스토퍼 브라켓(64)에 장착되어 트레이(T)의 인출시 이 트레이(T)의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스토퍼(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Y축 이동부(Y)는 2개의 가이드 로드(66)(68)에 각각 끼워져 이 가이드 로드(66)(68)들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부시 브라켓(70)(72)과; 이 2개의 부시 브라켓(70)(72)에 고정 형성되는 X플레이트(74)와; 이 X플레이트(74) 상면에 고정 형성되어 X축 이동부(X)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X축 가이더(86)와; 상기 X플레이트(74)의 일측 상면에 연장 형성되어 X축 이동부(X)의 모터(M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 브라켓(84)과; 상기 커버 브라켓(56)의 연장 브라켓(60)에 장착되어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2)와; 이 모터(M2)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G1)와; 이 구동기어(G1)에 타이밍 벨트(b)가 부분적으로 관통 고정되며, 어느 하나의 부시 브라켓(70)에 연장 형성되는 벨트 고정구(82)와; 이러한 Y축 이동부(Y)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러(C)에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센서(S)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X축 이동부(X)는 X축 가이더(86)와 슬라이딩 가능한 LM플레이트(92)와; 이 LM플레이트(92)에 고정 형성된 벨트 고정구(82)와; 이 벨트 고정구(82)에 관통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b)와; 이 타이밍 벨트(b)에 치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X플레이트(74)상에 장착된 구동기어(G1)와; X플레이트(74)의 모터브라켓(84)에 장착되어 콘트롤러(C)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b)에 치합하는 피동기어(G2)를 보유하는 모터(M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부품 흡착부(Z)는 X축 이동부(X)의 LM플레이트(92)와 고정되어 X축 이동부(X)와 함께 이동하는 Z플레이트(102)와; 이 Z플레이트(102)의 일면에서 가이드 수단(104)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수단(106)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플레이트(108)와; 이 승강 플레이트(108)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고정 장착되어 진공력으로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 패드(112)를 보유하는 노즐(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104)은 Z플레이트(102)에 수직으로 파여진 장홀(114)과; 이 장홀(114)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핀(116)을 보유하는 상태로 Z플레이트(102)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18)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승강수단(106)은 Z플레이트(102)에 장착되어 그 피스턴 로드(120)가 승강 플레이트(108)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108)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실린더(1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팔레트 인출부(I)는 Y플레이트(58)의 상면에 Y방향으로 놓여진 고정된 LM가이더(124)와; 이 LM가이더(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팔레트(P)의 걸림고리(D)가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트레이 핸드(126)와; 이 트레이 핸드(126)의 연결단(128)이 연계되어 트레이 핸드(126)를 상기 LM가이더(124)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Y플레이트(58)의 상면에 놓여져 고정된 로드레스 실린더(130)와; 이 로드레스 실린더(1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C)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S)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부품 이송부(F)의 예비 정렬부(A)는 Y플레이트(58)의 상면에 고정되는 정렬 플레이트(134)와; 이 정렬 플레이트(134) 상면에 사이드 브라켓(138)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138)와; 상기 2개의 가이드 로드(138)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한 2개의 부시 브라켓(140,142)과; 이 2개의 부시 브라켓(140,142)이 고정되는 스테이션(144)과; 상기 스테이션(144)의 상면에 설치되어 안착된 전자 부품의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벌어져 부품의 예비 정렬을 행하는 다수개의 얼라이너(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KR2019930006641U 1993-04-26 1993-04-26 트레이 공급장치 KR960009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641U KR960009040Y1 (ko) 1993-04-26 1993-04-26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641U KR960009040Y1 (ko) 1993-04-26 1993-04-26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779U KR940025779U (ko) 1994-11-18
KR960009040Y1 true KR960009040Y1 (ko) 1996-10-14

Family

ID=1935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641U KR960009040Y1 (ko) 1993-04-26 1993-04-26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0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19B1 (ko) * 2006-12-20 2013-03-11 박근노 레이저 커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19B1 (ko) * 2006-12-20 2013-03-11 박근노 레이저 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779U (ko) 199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059B1 (ko) 트레이 피더용 트랜스퍼
KR920000970B1 (ko) 전자 부품 취부 장치
CN105458685A (zh) 一种自动锁螺丝机
JP3974912B2 (ja) トレーフィーダ
EP2520143A1 (e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100217286B1 (ko) 웨이퍼링의 공급.반송장치
KR100273837B1 (ko) 웨이퍼링의공급장치
CN205520383U (zh) 一种自动锁螺丝机
KR960009040Y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2000022387A (ja) 部品実装装置
US20010047581A1 (en) Electric-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ic-component mounting system
JP4681158B2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KR100603029B1 (ko)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
US4917568A (en) Suction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JP3884278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を搭載した実装機
KR940001166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KR20200114245A (ko) 스크류 공급기
KR100284612B1 (ko) 모듈 디바이스 이송 및 인출장치
KR100395549B1 (ko) 트레이 피더 교환장치
KR100503041B1 (ko) 표면 실장기용 스틱 피이더 장치
CN219748742U (zh) 可自动调正换向的内芯管注塑插管机
JPH05191086A (ja) 基板供給装置
KR200161478Y1 (ko) 웨이퍼 이송장치
US20010051086A1 (en) Automated feed mechanism for electronic components of silicon wafer
JP3483343B2 (ja) 実装機の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