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21Y1 -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21Y1
KR960008621Y1 KR2019930013363U KR930013363U KR960008621Y1 KR 960008621 Y1 KR960008621 Y1 KR 960008621Y1 KR 2019930013363 U KR2019930013363 U KR 2019930013363U KR 930013363 U KR930013363 U KR 930013363U KR 960008621 Y1 KR960008621 Y1 KR 960008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ance
phase
lin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913U (ko
Inventor
배철규
Original Assignee
일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김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김신탁 filed Critical 일지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3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621Y1/ko
Publication of KR950004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재1 실시예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제2실시예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제3실시예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커패시턴스 11 : 바리스터
12, 12' : A/D 변환부 13 : 발광소자
R1~R4: 저항 ZD : 제너 다이오드
CP : 비교기 LED : 발광소자
본 고안은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배전 인입선로 또는 부하측(차단기2차측) 선로상에 흐르는 고압여부를 감시하여 각 상의 고압 전송 유, 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송, 배전 선로 상태를 통제 관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 전류 측정에 적합한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각 상의 선로상에 변류기를 배치하여 2차측으로 유도되는 전류값의 유, 무로 선로의 전압 유, 무를 검출하도록 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이 방식을 적용하여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방법으로는 변류가 2차측에 전류계를 연결하여 변류기에서 걸출된 전류치에 대한 전류계의 지침이동으로 각 상의 고압 전송, 유, 무를 나타내도록 한 표시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및 표시 방법은 각 상에 흐르는 고압 유, 무를 전류계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어서 원거리일수록 확인이 어렵고, 변류기가 선로의 외부로 노츨 설치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점검 및 보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뒤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정전 용량 변화 방식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를 제공하여 송, 배전 선로의 전압 유, 무 확인과 그에 따른 안전 대비를 통제 관리함에 기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3상의 각 선로상에 각각 모선을 연결하고 각 모선에 흐르는 전압의 용량 변화 여부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검출하는 용량 분압수단과, 용량분압수단에서 검출된 전압을 직류화시키는 정류수단과, 상기 용량 분압수단의 2차측에 걸리는 이상전앙으로부터 정류부를 보호하기 위한 바리스터와, 상기 정류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유, 무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표시하는 발광사자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 회로도이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송전 또는 배전 전력계통의 개폐기(SW)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의 각각의 모선(a, b, c)을 연결하고, 이 모선(a, b, c)의 각각으로 커패시턴스(10)를 두어 각 상의 전압을 분압검출하여 정전 용량값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패시턴스(10)에서 분압검출된 용량 변화값은 직류로 정류 변환하는 A/D 변환부(12)를 통해 각 상의 유, 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13)에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턴스(10)의 출력이 인가되는 A/D 변환부(12)에는 바리스터(11)를 연결하여 커패시턴스(10)의 서지전압으로부터 A/D 변환부(12)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있어서는 먼저 개폐기(SW)의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에 정상적으로 고압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각 상의 선로마다 연결된 모선(a, b, c)에도 동일한 고압이 흐른다.
이때 각 모선(a, b, c)에 흐르는 고압은 교류성 전압이므로서 각상의 선로(R, S, T)와 대응하개 설치된 커패시턴스(10)에 의해 검출되며, 커패시턴스(10)는 각각으로 교류성 전압의 변화에 대한 충, 방전을 되풀이 하여 검출전압을 분압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개폐기(SW)의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에 정상적으로 고압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 커패시턴스(10)의 분압출력에 의한 해당 A/D 변환기(12)는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단의 해당 발광소자(13)를 점등시킨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로 개페기(SW)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가 고장이 발생되면 고장이 발생된 선로에는 고압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해당 커패시턴스(10)를 통해서는 분압 출력이 없게 된다.
이때에는 A/D 변환기(12)에서도 직류출력이 없게 되므로 고장선로에 해당하는 발광소자(13)는 소등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등된 발광소자(13)의 확인으로 해당 선로가 고장되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제2실시예에 회로도로서, 송전 또는 배전 전력 전력계통의 개폐기(SW)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의 각각으로 모선(a, b, c)을 연결하되, 이 모선(a, b, c)의 각각에 복수의 커패시턴스(10)(10')를 직렬로 연결하고, 이 각각의 직렬된 커패시턴스(10)(10')의 접속간에 교류용 램프(NL)를 각각 연결하여 각 상의 이상 상태를 커패시턴스(10)(10')의 분압작용으로 해당 램프(NL)가점, 소등되어 각 상의 고압 유, 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다르게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나타낼 수가 있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각 상의 모선(a, b, c)마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턴스(10)(10')의 접속간에 A/D 변환기(12')를 두고, 이 A/D 변환기(12')의 출력을 저항(R1, R2)을 통해 비교기(CP)의 비반전 단자(+)에, 그리고 이의 반전 단자(-)에 저항(R3)과 제너 다이오드(ZD)간의 결합에 의한 기준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교기(CP)의 출력단에는 저항(R4)을 통한 발광소자(LED)를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회로구성은 제3도에서와 같이 3상 중 하나의 선로에 적용한 것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3상의 각 선로마다 적용한다.
이에 따른 동작관계는 제3도에서와 같이 R상에 고압이 정상적으로 흐르고 있는 경우 커패시턴스(10)에서 분압된 출력은 A/D 변환기(12')에 의해 직류화되어 저항(R1, R2)을 통해 비교기(CP)에 인가되는데, 이때 비반전단(+)의 입력전압이 반전단(-)의 기준전압보다 크므로서 출력단의 발광소자(LED)는 점등되어 현재 R상의 선로에는 고압이 흐르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이와는 반대로 R상에 고압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커패시턴스(10) 및 A/D 변환기(12')의 출력단에서는 출력전압이 없게 되므로, 비교기(CP)의 출력단은 '로우'가 되어 발광자(LED)는 소등된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가 소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해당 선로에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즉간적으로 취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선로상의 고압을 모선을 통해 인출하여 개폐기 또는 중앙 감시반에 설치되는 커패시턴스 내지 발광소자를 통해 각 선로성에 흐르는 고압의 검출유, 무에 따라 발광체가 점, 소등되도록 하므로서 이를 확인하는 절차만으로도 쉽게 송, 배전 상태를 알 수 있고, 아울러 선로의 통제 관리를 정확히 행할 수가 있는 석과가 있다.

Claims (3)

  1. 송전 또는 배전 전력계통의 개폐기(SW) 1차측 또는 2차측 3상선로(R, S, T)의 고압 유, 무를 검출 표시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3상의 각 선로(R, S, T)상에 각각 모선(a, b, c)을 연결하고 각 모선에 흐르는 전압의 용량 변화 여부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검출하는 커패시턴스(10)와, 이 커패시턴스(10)에서 검출된 전압을 직류화 정류시키는 A/D 변환기(12)와, 상기 커패시턴스의 2차측에 걸리는 이상전압으로부터 A/D 변환기(12)를 보호하기 위한 바리스터(11)와, 상기 A/D 변환부(1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유, 무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13)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선에 흐르는 전압의 용량 변화 여부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커패시턴스(10)를 직렬로 구성하여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A/D 변환기(1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유, 무에 따라 선로상의 전압 유, 무를 검출 및 표시하는 수단으로 A/D 변환기(12)의 출력과 저항(R3) 및 제너다이오드(ZD)간의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CP)를 통해 발광소자(LED)를 점멸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 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 장치.
KR2019930013363U 1993-07-19 1993-07-19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KR960008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363U KR960008621Y1 (ko) 1993-07-19 1993-07-19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363U KR960008621Y1 (ko) 1993-07-19 1993-07-19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3U KR950004913U (ko) 1995-02-18
KR960008621Y1 true KR960008621Y1 (ko) 1996-10-04

Family

ID=1935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363U KR960008621Y1 (ko) 1993-07-19 1993-07-19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6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034B1 (ko) * 1998-03-06 2001-02-01 신명균 특고압 전압 결상기 회로
KR20020083697A (ko) * 2001-04-28 2002-11-04 김동림 배선계통 선간의 전기 화재 징후를 경보 및 누전차단기가작동하도록 하는 보조장치
KR100594778B1 (ko) * 2004-09-22 2006-06-30 (주)에디테크 상 정보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 정보 검출 방법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3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318639Y (zh) 静电接地系统的接地监测器
US7336193B2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leakage current of a surge arrester
CA2499943C (en) Electrical panel safety monitor
CN111130329A (zh) 牵引变流器的中间直流回路以及牵引变流器
US4694193A (en) Fault recognition circuit for parallel power supply devices feeding a user
KR960008621Y1 (ko)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KR20100117893A (ko)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KR102066713B1 (ko) 선로별 아크 감지 장치
KR101519597B1 (ko) 교류 모터 이상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CN111474401B (zh) 具有故障检测功能的高压带电显示装置及故障检测方法
US11754613B2 (en) Locating a ground fault in a DC network
EP4133289B1 (en) Energy metering and surge current detection
KR910004583Y1 (ko) 계기용변성기(mof) 내의 단선감지에 의한 전력량계의 고장시간 식별장치
KR0123459B1 (ko) 수, 배전선로의 원격감시제어장치
JPH09113398A (ja) 漏液検知装置
US202002039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line to neural back-feed voltage
KR20040089155A (ko) 오결선 검출 및 경보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KR200174974Y1 (ko)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 내의 디지탈 v/a lcd 감시장치
JPH1064658A (ja) サイリスタバルブ用避雷器の漏れ電流検出装置
JPH0270223A (ja) 電源警報回路
KR200344420Y1 (ko)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KR19980017562U (ko)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 내의 디지탈 v/a lcd 감시장치
CN221126893U (zh) 一种数显电压电源保护器
KR20040100533A (ko) 수용가 전기접속장치의 부하전류량 표시기 및 표시방법
KR200248264Y1 (ko) 직류 접지개소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