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20Y1 -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 Google Patents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420Y1
KR200344420Y1 KR20-2003-0039723U KR20030039723U KR200344420Y1 KR 200344420 Y1 KR200344420 Y1 KR 200344420Y1 KR 20030039723 U KR20030039723 U KR 20030039723U KR 200344420 Y1 KR200344420 Y1 KR 200344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urrent
voltage
outpu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상
홍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테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테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테크라인
Priority to KR20-2003-0039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산전력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연결라인와 전류 연결라인의 걸선 및 오배선 상황을 빠른시간내에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계량계와 MOF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체크하는 수단과, 이를 분석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출력에 따라 경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험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입력측에는 전압위상 신호 발생부와, 전류 위상 신호 발생부와, 저전압 신호 발생부와, 저전류 신호 발생부 및 P0위상 신호 발생부 및, 마이컴의 시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MOF의 전원을 변환하는 직류전원 변환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컴의 출력측에는 각종 표시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마이컴은 입력측의 각종 신호에 따라서 MOF와 계량계 사이의 배선이 결선되었는지와 위상이 변환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출력측의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간단한 회로구조를 이용하여 저전압과 위상변화에 대해 표시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미결선이나 오배선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TTB}
본 고안은 적산전력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연결라인와 전류 연결라인의 걸선 및 오배선 상황을 빠른시간내에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OF는 높은 전력의 사용량을 계량계가 직접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약 110V 및 5A이하의 전류에서 동작시킨다.
도 1은 종래의 3상 4선식 계량계 및 MOF의 개략적인 배선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OF의 내부에는 3개이 트랜스포머(PT1, PT2, PT3)가 있고, 각각의 트랜스포머(PT1, PT2, PT3)에는 3개의 변류기(CT1, CT2, CT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3상 4선식 계량계(1) 이므로, 계량계(1)와 MOF(2)에는 3개의 전압단자(P1, P2, P3)가 공통으로 접지되는 공통단자(PO)를 포함해서 총 10개의 단자가 구비된다.
그러나, 배선의 가락수가 많고, 설치작업이 복잡하여 계량계(1)와 MOF(2)의 설치배선 공사중에 배선연결을 잘못하여 결선 및 오배선의 오류가 종종 있었다.
예를 들면 MOF(2)의 P1을 계량계(1)의 P1에 연결하지 않거나, MOF(2)의 P1을 계량계(1)의 P2에 연결하고, MOF(2)의 P2를 계량계(1)의 P1에 연결하는 교차배선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류회로의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여 1S와 1L을 거꾸로 연결하는 사례도 있으며, 전류회로의 역상 결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오배선의 결과로는 계량계의 역회전이나, 정지 및 정격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역회전의 경우 작업자가 쉽게 인지하지만 계량계가 정지한 경우 또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정오배선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의 시험 단자대는 결선의 경우 알람을 출력토록 제작된 것은 있으나, 역상이나 저전압 및 저전류의 경우 이를 재대로 체크하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매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배선이 재대로 진행되기도 어렵고 오배선 여부의 판단이 쉽지 않아 배선시간도 매우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계량계와 MOF 사이의 결선 및 오배선을 간단한 구조의 시험 단자대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계량계(10)와 MOF(18)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체크하는 수단과, 이를 분석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출력에 따라 경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험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입력측에는 전압위상 신호 발생부와, 전류 위상 신호 발생부와, 저전압 신호 발생부와, 저전류 신호 발생부 및 P0위상 신호 발생부 및, 마이컴의 시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MOF의 전원을 변환하는 직류전원 변환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컴의 출력측에는 전압체크라인(P1)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1표시램프(P1 LED)와, 전압체크라인(P2)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2표시램프(P2 LED)와, 전압체크라인(P3)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3표시램프(P3 LED)와, 전류체크라인(1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1S표시램프(1S LED)와, 전류체크라인(2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2S표시램프(2S LED)와, 전류체크라인(3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3S표시램프(3S LED)가 있고, 상기 라인의 결선을 표시하는 고장표시용 램프와,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역상표시용 램프 및,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용 부저가 설치하며; 상기 마이컴은 입력측의 각종 신호에 따라서 MOF와 계량계(10) 사이의 배선이 결선되었는지와 위상이 변환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출력측의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압위상신호 발생부는, P1출력단에 전류제한저항(R111)이 연결되고, P1과 P0 사이의 구형파 출력을 위한 정역방향으로 병렬로 다이오드(D111, D112) 2개을 연결하며, 파형정형을 위한 캐패시터(C111)를 그 다음단에 병렬로 연결하고, 캐패시터(C111)의 출력단에는 비교기(U121)가 설치되어; 동기하는 구형파를 이용하여 P0와 P1사이의 전압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류위상 신호발생부는, 소형 변류기(CT)와, 상기 소형 변류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정역방향 다이오드(D121, D122)와,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제한소자(R121)와 캐패시터(C121) 및 비교기(U121)로 이루어지며; 전류위상과 동기되는 구형파로써 전류위상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저전압 신호발생부는, 2개의 직병렬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분압소자(R131, R132)와, 상기 분압소자 출력단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131)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방전용 저항(R133) 및 평활용 캐패시터(C131)와, 상기 평활용 캐패시터 출력단에 연결되는 비교기(R141)로 이루어지며; P1, P2, P3 각 상의 전압에 어느 하한값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검출하여 레벨 변화로써 출력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저전류 신호발생부는, 저항(R141)과 가변저항(R142), 캐패시터(C141)가 연산증폭기(U141)의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소형 변류기(CT)의 출력신호는 연산증폭기(U141)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연산증폭기(U141)의 출력은 정류용 다이오드(D141)와 평활용 캐패시터(C142) 및 방전저항(R143)에 접속되며, 그 출력단은 비교기(U14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U142)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6)과 가변저항(R147)과, 평활용 캐패시터(C143)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1S, 2S, 3S 각 상의 전류가 어느 하한값이하로 낮아질 때 이를 검출하여 레벨변화로써 출력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P0위상 신호 발생부, P0와 접지 사이에 정역방향으로 병렬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151, D152)를 설치하고,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C151)를 병렬연결하고, 저항을 직렬연결하여 비교기(U151)에 입력하여 이루어지며; P1, P2, P3의 공통선인 P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구형파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3상 4선식 계량계 및 MOF의 개략적인 배선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압위상 발생부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류위상 발생부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전압 신호 발생부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저전류 신호 발생부 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의 P0위상 신호 발생부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전압위상 회전방향이 없는 상태의 플로우 챠트.
도 9는 본 고안의 전압위상 회전방향이 있는 상태의 플로우 챠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변성기(MOF)로 부터 전압위상과, 전류위상과, 저전압신호와, 저전류신호 및, P0위상 신호를 이끌어내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신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결선 및 오배선에 대한 결과를 9개의 램프를 통해 출력하고, 아울러 경보부저를 통해 작업자에게 결선 및 오배선을 음성으로 인지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컴의 입력측에 신호계측 회로가 구성되고, 마이컴의 출력측에는 이상여부 출력회로가 구성된다.
즉, 마이컴의 입력측에는 전압위상 신호 발생부와, 전류 위상 신호 발생부와, 저전압 신호 발생부와, 저전류 신호 발생부 및 P0위상 신호 발생부가 연결되고, 아울러 마이컴의 시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MOF의 전원을 변환하는 직류전원 변환회로를 갖는다.
또한, 마이컴의 출력측에는 전압체크라인(P1)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1표시램프(P1 LED)와, 전압체크라인(P2)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2표시램프(P2 LED)와, 전압체크라인(P3)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3표시램프(P3 LED)와, 전류체크라인(1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1S표시램프(1S LED)와, 전류체크라인(2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2S표시램프(2S LED)와, 전류체크라인(3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3S표시램프(3S LED)가 있고, 상기 라인의 결선을 표시하는 고장표시용 램프와,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역상표시용 램프 및,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용 부저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압위상신호 발생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회로는 각 전압위상과 동기하는 구형파, 즉 전압위상 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즉, P0와 P1사이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해, P1출력단에 전류제한저항(R111)이 연결되고, P1과 P0 사이의 구형파 출력을 위한 정역방향으로 병렬로 다이오드(D111, D112) 2개을 연결하며, 파형정형을 위한 캐패시터(C111)를 그 다음단에 병렬로 연결하고, 캐패시터(C111)의 출력단에는 비교기(U12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U121)는 전압위상을 마이컴에 전달하여 원하는 위상이 검출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전류제한저항(R111)은 P1의 출력을 제한적으로 입력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2개의 정역방향 다이오드(D111, D112)는 정현파로 입력되는 전압을 구형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캐패시터(C111)는 평활용으로 활용되어 보다 완벽한 구형파가 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OF로부터 인입되는 각 전압선들은 시험단자대(TTB)의 제로 크로스 검지회로(Zero Cross Detector)에 의하여 각 전압선의 정현파 주파수(60Hz)에 따르는 구형파를 만들어 내며, 당연히 이 구형파는 주파수 60Hz에 50% 듀티비(Duty Ratio)를 가지게 되며 그 주기가 1/60 Sec.(16.667mSec)가 된다. TTB는 각 전압상의 상태변화(High to Low 또는 Low to High)를 검지하고 이 상태변화가 1/60 Sec 이상 검지되지 않으면 결상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P1 LED, P2 LED, P3 LED, P0 LED)를 소등하고 고장표시램프를 점등하며, 경보부저를 동작시킨다.
도 4는 전류위상 신호발생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으로써, 전류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회로는 전류위상과 동기되는 구형파, 즉 전류위상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2개의 정역방향 다이오드(D121, D122)가 1S와 1L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전류제한소자(R121) 및 캐패시터(C121)가 병렬로 연결되며, 그 출력단이 비교기(U121)와 접속된다.
또한 본 회로에 입력되는 전류파형은 소형 변류기(CT)를 사용하여 얻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류위상 검출 구성은 정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121, D122)를 이용하여 정현파를 구형파로 변환하고, 이를 전류제한저항(R121)을 통과시켜 적정하게 제한하며, 다시 캐패시터(C121)를 통과시켜 파형정형작업을 한 후에 비교기(U121)에 출력한다.
즉, MOF로부터 인입되는 각 전류선들도 TTB의 제로 크로스 검지회로(Zero Cross Detector)에 의하여 각 전류선의 정현파 주파수(60Hz)에 따르는 구형파를 만들어 내며, 당연히 이 구형파는 주파수 60Hz의 50% 듀티비(Duty Rotio)를 가지게 되어 그 주기가 1/60(16.667mSec)가 된다. TTB는 각 전류상의 상태변화(High to Low 혹은 Low to High)를 검지하고 이 상태변화가 1/60 Sec 이상 검지되지 않으면 결상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소등하고 고장표시램프를 점등하며, 경보부저를 동작시킨다.
도 5는 저전압 신호발생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으로써, P1, P2, P3 각 상의 전압에 어느 하한값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검출하여 레벨 변화로써 출력시키는 저전압 검출회로이다.
회로구성을 살펴보면 2개의 직병렬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분압소자(R131, R132)가 연결되며, 정류용 다이오드(D131)가 P1에 직렬로 연결되고, 방전용 저항(R133) 및 평활용 캐패시터(C131)가 병렬로 연결되어 비교기(R141)에 저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검출하고자 하는 저전압 레벨은 비교기의 기준전압을 변경시키거나 분압용 저항(R131, R132)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저전압 신호 발생회로는, 분압소자에 의해서 적절한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정류 다이오드(D131)를 통과시켜 일방향의 전압레벨만 선택되도록 하며, 다시 방전소자(R133) 및 평활용 다이오드(C131)를 통과시켜 일정레벨의 전압이 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압값과 기준 전압값을 비교기에서 비교 출력토록 하였다.
따라서, 일정기준 이하의 전압이 검출되면 해당 전압라인의 램프를 점멸하고 고정표시 램프를 점등시키며 부저음을 출력토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압라인의 결상 내지는 기준전압 이하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저전류 신호발생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으로써, 1S, 2S, 3S 각 상의 전류가 어느 하한값이하로 낮아질 때 이를 검출하여 레벨변화로써 출력시키는 저전류 검출회로이다.
상기 검출회로는 도 4에서 사용되는 소형변류기(CT)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소형 변류기(CT)로부터 검출된 신호와 가변가능한 기준전압을 연산증폭기에 입력하는바, 저항(R141)과 가변저항(R142), 캐패시터(C141)가 연산증폭기(U141)의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CT의 출력신호는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연산증폭기(U141)의 출력은 정류용 다이오드(D141)와 평활용 캐패시터(C142) 및 방전저항(R143)에 접속되며, 그 출력단은 비교기(U14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U142)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6)과 가변저항(R147)과, 평활용 캐패시터(C143)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는 CT로부터 검출된 신호와 가변가능한 기준전압을 연산증폭기(U141)에 입력시킴으로써 기준전압이상의 전류파형이 연산증폭기(U141)에서 출력되고, 이 파형은 정류되고 평활되어 다음단의 비교기(U142)로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U142)의 또다른 입력에는 또다른 기준전압이 인가되어 결국 저전류 검출은 비교기(U142)의 레벨변화 출력으로써 나오게 된다.
또한, 검출하고자 하는 전류의 레벨은 연산증폭기(U141)의 기준전압 또는 비교기의 기준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종출력결과 기준이하의 전류가 출력되면 해당 전류라인를 점멸시키고 고정램프를 점등시키며 동시에 부저를 울려 전류라인에 결상 내지는 저전류가 출력됨을 인지시키도록 한다.
도 7은 P0위상 신호 발생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으로써, P1, P2, P3의 공통선인 P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구형파를 얻기 위한 것이다.
회로구성을 살펴보면, P0와 접지 사이에 정역방향으로 병렬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151, D152)를 설치하고,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C151)를 병렬연결하고, 저항을 직렬연결하여 비교기(U151)에 입력한다.
따라서, 각 상의 서로 다른 위상(2π/3라디안)이 합성되어 검출되며, 그 주파수는 180Hz(60Hz * 3)가 되며, P0의 검출결과 상기와 다른 위상일 경우 P0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P0표시램프를 소등하고 고장표시램프 및 경보음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전류선이 회전한 경우 전압-전류선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바, 3상 전압선 P1, P2, P3와 전류선 1S, 2S, 3S가 모두 2π/3의 위상차를 가지며 정상적으로 배선이 된 경우 전류선 1S, 2S, 3S의 순서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즉, 어떠한 방향으로도 회전시켜 바꾸면, 전압의 3상 위상 관계는 정상이나, 각 전압위상에 전류위상이 부합되지 아니하므로 전류측 위상 오류로써 검출된다.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서 전압선과 전류선의 위상을 구형파로 체크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전류선의 회전을 마이컴에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선이 회전인 경우 표시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모두 소등하고 역상 표시용 LED를 점등하고 경보부저를 동작시킨다.
또한, 3상의 전압선 P1, P2, P3가 2π/3의 위상차를 가지고 정상적으로 배선이 된 경우 P1, P2, P3의 순서를 역회전의 방향으로 바꾸어(즉, 예로써 P3, P1, P2 또는 P2, P3, P1의 순서로 바꾸어)배선하면 상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는 전압의 3상 위상관계가 비정상적으로 되어 전압선간의 위상오류로 검출된다.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서 전압선과 전류선의 위상을 구형파로 체크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전압선의 회전을 마이컴에서 판단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압선 표시램프(P1 LED, P2 LED, P3 LED) 모두가 소등되고 역상표시용 LED가 점등되고 경보부저가 작동된다.
또한, 3상의 전류선 1S, 2S, 3S가 상호 바뀌어 1S/2S, 2S/3S, 1S/3S의 바뀜 등과 같은 오배선이 있을 수 있는바, 이 경우 시험단자대에 인입되면, 정상적인 상전류 위상차 2π/3의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시험단자대는 전류위상 오류로 검출한다.
이때에는 바뀐 전류선에 해당하는 표시램프(1S, 2S, 3S)를 소등하고 역상 표시용 LED를 점등시키고 경보부저를 작동시킨다.
또한, 3상의 전압선 P1, P2, P3가 상호 바뀌어 P1/P2의 바뀜, P2/P3의 바뀜, P1/P3의 바뀜등 오배선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TTB에 인입되면, 정상적인 상전압 위상차 2π/3의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TTB는 전압위상 오류로 검출한다.
이때에는 바뀐 전압선에 해당되는 표시램프들(P1 LED, P2, LED, P3 LED)을 소등하고 역상표시램프를 점등하며, 경보부저를 동작시킨다.
본 고안의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선이 결상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소등하고, 고장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한다.
전압선의 위상이 변경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소등하고, 역상표시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한다.
전압선이 기준이하의 저전압으로 판명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점멸하고, 부저를 작동시킨다.
전류선이 결상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소등하고, 고장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한다.
전류선의 위상이 변경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소등하고, 역상표시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한다.
전류선이 기준이하의 저전류로 판명나면, 해당되는 표시램프(1S, 2S, 3S)를 점멸하고, 경보음을 출력한다.
도 8은 전압위상 회전을 체크하지 않은 상태의 플로우 챠트로써,
P0의 위상 신호유무를 확인하여 신호가 잡히지 않으면 P0의 LED를 소등하고 고장표시용 LED 램프를 점등하는 단계와;
전압위상 신호를 체크하여, 각 전압선에 해당하는 위상이 체크되지 않을 때에는 결선에 따라 전압이 체크되지 않는 것이므로 해당 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소등하고 고장표시용 LED램프를 점등하는 단계와;
전류위상 신호를 체크하여, 각 전류선에 해당하는 위상이 체크되지 않을 때에는 결선에 따라 전류가 체크되지 않은 것이므로 해당 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소등하고 고장표시용 LED 램프를 점등하는 단계와;
전압-전류 위상 일치를 체크하여, 원하는 신호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상이 바뀐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소등하고 역상표시용 LED 램프를 점등하는 단계와;
저전압 신호를 체크하여, 각 전압선이 기준전압에 미치지 못할 경우 해당 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점멸하는 단계와;
저전류 신호를 체크하여, 각 전류선이 기준전압에 미치지 못할 경우 해당 램프(1S LED, 2S LED, 3S LED)를 점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9는 전압위상 체크하는 상태의 플로우 챠트로써,
전압위상 회전방향을 체크하여 전압위상의 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하는 램프(P1 LED, P2 LED, P3 LED)를 점등하고, 역상표시용 LED 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회로구조를 이용하여 저전압과 위상변화에 대해 표시램프를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미결선이나 오배선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6)

  1. 계량계(10)와 MOF(18)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체크하는 수단과, 이를 분석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출력에 따라 경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험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입력측에는 전압위상 신호 발생부와, 전류 위상 신호 발생부와, 저전압 신호 발생부와, 저전류 신호 발생부 및 P0위상 신호 발생부 및, 마이컴의 시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MOF의 전원을 변환하는 직류전원 변환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컴의 출력측에는 전압체크라인(P1)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1표시램프(P1 LED)와, 전압체크라인(P2)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2표시램프(P2 LED)와, 전압체크라인(P3)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P3표시램프(P3 LED)와, 전류체크라인(1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1S표시램프(1S LED)와, 전류체크라인(2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2S표시램프(2S LED)와, 전류체크라인(3S)의 결상 및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3S표시램프(3S LED)가 있고, 상기 라인의 결선을 표시하는 고장표시용 램프와, 위상변환을 표시하기 위한 역상표시용 램프 및,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용 부저가 설치하며;
    상기 마이컴은 입력측의 각종 신호에 따라서 MOF와 계량계(10) 사이의 배선이 결선되었는지와 위상이 변환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출력측의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위상신호 발생부는, P1출력단에 전류제한저항(R111)이 연결되고, P1과 P0 사이의 구형파 출력을 위한 정역방향으로 병렬로 다이오드(D111, D112) 2개을 연결하며, 파형정형을 위한 캐패시터(C111)를 그 다음단에 병렬로 연결하고, 캐패시터(C111)의 출력단에는 비교기(U121)가 설치되어;
    동기하는 구형파를 이용하여 P0와 P1사이의 전압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위상 신호발생부는, 소형 변류기(CT)와, 상기 소형 변류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정역방향 다이오드(D121, D122)와,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제한소자(R121)와 캐패시터(C121) 및 비교기(U121)로 이루어지며;
    전류위상과 동기되는 구형파로써 전류위상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 단자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저전압 신호발생부는, 2개의 직병렬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분압소자(R131, R132)와, 상기 분압소자 출력단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131)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방전용 저항(R133) 및 평활용 캐패시터(C131)와, 상기 평활용 캐패시터 출력단에 연결되는 비교기(R141)로 이루어지며;
    P1, P2, P3 각 상의 전압에 어느 하한값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검출하여 레벨 변화로써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 단자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류 신호발생부는, 저항(R141)과 가변저항(R142), 캐패시터(C141)가 연산증폭기(U141)의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소형 변류기(CT)의 출력신호는 연산증폭기(U141)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연산증폭기(U141)의 출력은 정류용 다이오드(D141)와 평활용 캐패시터(C142) 및 방전저항(R143)에 접속되며, 그 출력단은 비교기(U14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U142)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6)과 가변저항(R147)과, 평활용 캐패시터(C143)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1S, 2S, 3S 각 상의 전류가 어느 하한값이하로 낮아질 때 이를 검출하여 레벨변화로써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 단자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0위상 신호 발생부는, P0와 접지 사이에 정역방향으로 병렬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151, D152)를 설치하고,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C151)를 병렬연결하고, 저항을 직렬연결하여 비교기(U151)에 입력하여 이루어지며;
    P1, P2, P3의 공통선인 P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구형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계 시험 단자대.
KR20-2003-0039723U 2003-12-22 2003-12-22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KR200344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723U KR200344420Y1 (ko) 2003-12-22 2003-12-22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723U KR200344420Y1 (ko) 2003-12-22 2003-12-22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20Y1 true KR200344420Y1 (ko) 2004-03-09

Family

ID=494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723U KR200344420Y1 (ko) 2003-12-22 2003-12-22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4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95B1 (ko) 2004-08-09 2006-07-06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위상각 측정기
KR100915243B1 (ko) * 2007-07-19 2009-09-03 김동수 전압선과 전류선의 교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파손을미연에 방지하는 전력량계용 시험단자대
KR101008451B1 (ko) 2008-10-31 2011-01-14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95B1 (ko) 2004-08-09 2006-07-06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위상각 측정기
KR100915243B1 (ko) * 2007-07-19 2009-09-03 김동수 전압선과 전류선의 교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파손을미연에 방지하는 전력량계용 시험단자대
KR101008451B1 (ko) 2008-10-31 2011-01-14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89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iswiring of a power supply for a domestic appliance
TWI398661B (zh) 偵測路燈故障之裝置及方法
US20100171511A1 (en) Motor insulation deterioration detection device
US9692314B2 (en) Detection circuit and three-phase AC-to-AC power conver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7612552B2 (en) Electrical phase che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metering
AU2010347924B2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20090082670A (ko) 디지탈 전력량계의 오결선 감지방법
WO2008069249A1 (ja) 漏洩電流検出装置及び漏洩電流検出方法
KR20180015566A (ko) 누설전류 측정 방법 및 누설전류 측정 장치
KR200344420Y1 (ko)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WO2020098399A1 (zh) 一种不间断电源的输入掉零线故障的检测方法及装置
JP2011153913A (ja) 電気機器おける漏洩電流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7253633B2 (en) Threshold adjustment accuracy for ground fault condition determination
KR200348642Y1 (ko) 적산전력계 시험단자대
CN105445674A (zh) 交直流电源故障分析仪及其检测方法
JP2008048576A (ja) 誤接続検出装置
KR101132960B1 (ko) 영구자석 발전기 고장 유무 검출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제어기
KR100344088B1 (ko) 3상 4선식 계량계의 오배선 감지장치
KR960008621Y1 (ko) 송,배전 선로의 결상 검출 표시장치
KR100238187B1 (ko) 3상 교류 전원의 상 전압 에러 검출 장치
KR100902363B1 (ko) 시험용 단자대 및 그를 이용한 계기오결선 확인 방법
CN216956317U (zh) 一种地线检测电路及电子设备
RU2202114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дисбаланса тока и/или напряжения в многофазном электропитан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7034130U (zh) 一种电网异常检测电路及用电设备
JP2004028773A (ja) 誤配線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