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521Y1 -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521Y1
KR960008521Y1 KR2019930009999U KR930009999U KR960008521Y1 KR 960008521 Y1 KR960008521 Y1 KR 960008521Y1 KR 2019930009999 U KR2019930009999 U KR 2019930009999U KR 930009999 U KR930009999 U KR 930009999U KR 960008521 Y1 KR960008521 Y1 KR 960008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valve
opening
washing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79U (ko
Inventor
이행덕
Original Assignee
이행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행덕 filed Critical 이행덕
Priority to KR2019930009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521Y1/ko
Publication of KR950001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대변용 밸브작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소변용 밸브작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봉 12 : 대변용 밸브
14 : 소변용밸브 12a, 14a : 힌지
12b, 14b : 개방띠 16 : 로울러
20 : 세척손잡이 30 : 작동레버
본 고안은 좌변기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용의 밸브를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각각 구비하여 변기 세척시 불필요한 세척수 낭비를 방지하도록 이들 두 개의 밸브를 하나의 레버에 의해 작동가능토록하는 밸브개폐장치에 있어서, 작동레버의 상, 하 작동만으로 대·소변용 밸브가 탈착자재할 수 있도록 하향시 작동되는 소변용 밸브의 개방띠가 지지봉 상단의 로울러에 걸쳐 있게 하므로서 고장발생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좌변기는 용변을 마친후에 세척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작동레버에 의해 저수조내의 밸브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변기측으로 흘러 내려 세척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작동레버에 의해 배출되는 배수량이 대변시에 세척가능한 양으로 설계실시되고 있으므로 인해 소변시 또는 변기의 변시와 동일한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바,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각각 다른 배수량을 갖는 두 개의 밸브를 구비하여 각각 별개의 세척손잡이를 사용하여 배수량을 구분하는 방법과 세척손잡이의 회전방향을 달리함에 따라 두 개의 밸브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밸브장치가 개발실시되고 있었다.
그 일예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73호 공개번호 제87호-12394호(1987.8.4)의 두 개의 세척손잡이를 사용하여 각각 배수량을 달리할 수 있게한 개폐밸브를 별도 조작하여 세척수의량을 조절할 수 있게한 것이 있으나 이는 두 개의 세척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하는 복잡성과 함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등이 있으며, 다른 것으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 48-12191호(1973.4.2)의 고안으로 한 개의 조작손잡이를 탱크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시켜 좌, 우 회전으로 서로 다른 배수량을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 있으나 조작손잡이와의 연결부재로 연결된 개폐밸브의 중앙에서 밸브를 승강조작하는 관계로 수압에 의한 밸브의 상승이 용이하지 못하여 조작에 불편함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장치는 구조의 복잡함을 물론 고장률이 높아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었다. 즉 세척손잡이의 후단에 각각 대·소변용의 작동레버를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 대·소변중 어느하나의 작동시에 사용되는 작동레버는 링크식 연결이 불가피하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조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고장의 빈도가 잦아지는 등 제조 및 사용상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함을 고려하여 인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밸브의 작동 구조를 간단히 하여 고장률의 최소화 및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좌변기의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소변용으 두 개의 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세척손잡이를 작동 방향에 따라 두 개의 밸브중 어느하나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대·소변시 서로다른 세척시 배출량을 갖도록한 좌변기의 밸브개폐장치에 있어서, 세척손잡이의 후단에 하나의 작동레버를 고정하고, 상단에 로울러가 제공된 지지봉을 구비하고, 지지봉의 상,하단에 설치된 대·소변용밸브에 개방띠를 각각 연결하되, 소변용밸브개방띠는 로울러에 감기면서 작동레버의 끝단에 연결되고, 대변용밸브개방띠는 작동레버의 끝단내측에 연결되어 두 개방띠는 서로반대 방향에서 작동레버에 연결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세척손잡이의 후단에 하나의 작동레버를 설치하고, 여기에 각 밸브에 연결된 개방띠의 일측을 이격 연결하되 세척손잡이 회전시 두 개의 밸브중 어느 하나의 밸브만이 개방되도록 하고, 세척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 면 다른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변기(1)의 후방에 위치한 저수조(2)내측 바닥면에 지지봉(10)의 상, 하단에 각각 밸브가 설치되는데 그 중하나는 대변용밸브(12)이고, 다른 하나는 소변용밸브(14)이다.
상기 밸브들은 각각 저수조(1) 바닥에 힌지(12a)(14a)결합되었으며, 힌지결합부의 반대측에 개방띠(12b)(14b)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저수조(1)의 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그 후단부가 저수조(1)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세척손잡이(20)가 구성되어 있고, 세척손잡이(20)의 후단부에는 주로 강판띠로 이루어진 작동레버(3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레버(3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개방띠(14b)의 일단이 연결되며, 작동레버(30)의 개방띠(14b)가 연결된 지점에 못미친 지점에 상기 개방띠(12b)의 일단이 연결되어있다. 사익 소변용 개방띠(14b)는 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된 로울러(16)를 감싼상태에서 작동레버와 결합되어 있어 결국 두 개방띠(12b)(14b)는 작동레버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서 결합을 이루게 되므로 작동레버(30)회동시 어느 하나의 개방띠만이 당겨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같은 본 고안은 대변을 본후에는 제2도와 같이 세척손잡이(2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레버는 상승하며 개방띠(12b)를 잡아 당기게되고 동시에 개방띠(14b)는 느슨한 상태를 이루게되어 소변용밸브(14)는 유동하지 않으며 대변용밸브(12)만이 가 개방되어진다.
한편 소변을 본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이 세척손잡이(2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게되면 개방띠(12b)는 느슨한 상태로되며 개방띠(14b)가 로울러(16)의 안내를 받으며 당겨지므로 소변용밸브(14)가 개방되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밸브개폐장치는 하나의 작동레버에 의해 두 개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가능케 하므로서 구조를 단순히 함은 물론 그로인해 제조 및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장기간 사용시도 고장의 빈도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고장시의 보수 또한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교화를 갖는다.

Claims (1)

  1. 대·소변용의 두 개의 밸브(12)(14)를 각각 구비하고 세척손잡이(20)의 작동방향에 따라 두 개의 밸브 중 어느하나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대·소변시 서로다른 세척수 배출량을 갖도록 한 공지의 좌변기(1)의 밸브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손잡이의 후단에 손잡이 힌지를 축으로하여 상, 하 동작되는 하나의 작동레버(30)의 상단에 로울러(16)가 제공된 지지봉(10)상, 하단에 대·소변용밸브의 개방띠(12b)(14b)를 각각 연결하되 대변용 밸브개방띠는 로울러에 감기면서 작동레버의 끝단에 연결되고, 소변용밸브개방띠는 작동레버의 끝단내측에 연결되어 두 개방띠는 서로반대 방향에서 작동레버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밸브개폐장치.
KR2019930009999U 1993-06-09 1993-06-09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KR960008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999U KR960008521Y1 (ko) 1993-06-09 1993-06-09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999U KR960008521Y1 (ko) 1993-06-09 1993-06-09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79U KR950001379U (ko) 1995-01-04
KR960008521Y1 true KR960008521Y1 (ko) 1996-10-02

Family

ID=193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999U KR960008521Y1 (ko) 1993-06-09 1993-06-09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5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79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893A (en) Dual flush valve assembly
US4122564A (en) Dual discharge valve unit
CA2133309C (en) Dual flush mechanism
US4042982A (en) Flush toilet water conservation valve assembly
JP2837131B2 (ja) 節水機能を有するトイレ排水装置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JPH08302781A (ja) 節水機能を有するトイレ排水装置
KR960008521Y1 (ko) 좌변기의 밸브 개폐장치
CN204298916U (zh) 节水蹲便器
KR100664910B1 (ko) 양변기
US5761749A (en) Structure of toilet bowl
JP3612957B2 (ja) 便器用洗浄水タンク装置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CN2408150Y (zh) 一种带延时阀的自动冲洗水箱
KR200266667Y1 (ko) 절수형 변기
JPH0730786Y2 (ja) 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JPH0348289Y2 (ko)
CN2259442Y (zh) 抽水马桶的水箱
CN2818596Y (zh) 一种节水坐便器
KR950023816A (ko) 좌변기용 물탱크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20224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950006527Y1 (ko)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43490Y1 (ko) 좌변기
KR200251243Y1 (ko) 양변기의 배수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