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71Y1 -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 Google Patents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71Y1
KR960007971Y1 KR2019930016731U KR930016731U KR960007971Y1 KR 960007971 Y1 KR960007971 Y1 KR 960007971Y1 KR 2019930016731 U KR2019930016731 U KR 2019930016731U KR 930016731 U KR930016731 U KR 930016731U KR 960007971 Y1 KR960007971 Y1 KR 960007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connector
condensate
metal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392U (ko
Inventor
신해근
Original Assignee
우일전자 주식회사
신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전자 주식회사, 신해근 filed Critical 우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6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971Y1/ko
Publication of KR950007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의 (가)는 본 고안에 사용된 직관형 관통콘덴서의 사시도
(나)는 본 고안에 사용된 직관형 관통콘덴사의 단면도
(다)는 본 고안에 사용된 직관형 관통콘덴사에 단자핀이 삽치된 상태의 단면
제5도의 (가)는 종래 직관형 관통콘덴사의 사시도
(나)는 종래 직관형 관통콘덴사의 단면도
(다)는 종래 직관형 관통콘덴사에 삽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 관통형 콘덴사가 삽치되지 않은 콘넥타의 단면도
본 고안은 콘넥터 단자에 원통형상으로 된 직관형태의 관통콘덴사를 삽치하여 외부로부터 필요없는 유해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직관형 관통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에 있어 단자핀과 직관형 관통콘덴사가 서로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게 직관형 관통콘덴사의 내경에 각진 파이프 형태의 금속층을 갖도록 한 다극콘넥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지정하는 콘넥타란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을 서로 연결하는 콘넥타뿐만 아니라, 전자나 통신기계기구에 삽치되는 다심케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다극 콘넥타까지 포함한다. 특히, 종래 전자나 통신기계기구에 삽치되어 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다극콘넥타에 있어서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 전자파의 차단 장치가 부설되어 있지 않아 콘넥타 혹은 케이블로 직접 유해 전자파가 유입되어 각종 전자기구 및 통신기계기구에 노이즈(전자파)가 발생되었으며 S/N비가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극콘넥타 혹은 다심케이블로 유해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중간에 콘덴사를 삽치하여 유입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케이블 중간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케이블의 대량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수만종류의 케이블(대개 다심케이블)에 이것을 모두 설치할 수 없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것을 감안하여 케이블과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콘넥타에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직관형 관통 콘덴사를 삽치하여 종래와 같이 케이블 중간에 콘덴사와 같은 유해 전자파 차단장치를 필요없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다심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보편적인 다극콘넥타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6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 다심케이블의 단부에 삽치되는 콘넥타는 절연체(절연손잡이) 내측으로, 단자수만큼 구명을 갖는 전, 후면지지대(3)(4)를 삽치 고정하는 금속테두리(5)가 삽치되며, 상기 전, 후면 지지대(3)(4)의 단자구멍에 삽치되는 단자(2)는 각각의 다심케이블과 납땜에 의해 혹은 핀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내측의 전, 후면지지대(3)(4)를 삽치 고정하는 금속테두리(5)는 단자(2)를 삽치 고정하는 것 이외에 어스수단 및 콘넥타와 또 다른 콘넥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콘넥타는 단지 각각의 다심케이블을 각각의 단자에 서로 연결하여 주며, 콘넥타와 콘넥타를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여 자는 구조를 가질뿐 콘넥타 혹은 케이블로 유입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수단은 강구되지 못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심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콘넥타 본연의 목적이외에 콘넥타 혹은 케이블로 유입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콘덴서를 콘넥타내에 삽치하여 전자 및 통신기계기구에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S/N비를 낮출수 있도록 하며, 직관형 관통콘덴사에 삽치된 단자가 굳건히 체결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단자핀과 직관형 관통콘덴사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케이블(1)과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2)가 삽치되는 전면지지대(3)와 후면지지대(4)의 외측을 금속테두리(5)로 감싸며, 그 외측에는 절연체(손잡이)(6)가 피복되며, 내주면과 외측면에 각각 금속층(7)(8)을 가지며 그 사이에 원통형세라믹(9)이 삽치된 직관형 관통콘덴사(10)에 통상의 단자(2)가 각각 삽치 되어지는 다극콘넥타에 있어서, 상기 금속테두리(5) 내측에 이와 일체로 용착되어지는 금속판(11)을 삽치시키며, 상기 금속판(11)에는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외주면인 금속층(8)이 일체로 용착되어지며, 상기 직관형 관통콘덴사(10) 내측의 금속층(7)은 각진면으로 된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금속테두리(5)와 금속판(11) 2개의 부품을 서로 용착하여 하나로 붙이는 구조 이외에 원래 2개가 하나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체결볼트이며, 16은 다심케이블이다.
첨부한 도면은 단면이 사각형상을 하는 다극콘넥타를 도시하였지만 단면이 원형인 다극콘넥타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제6도에서 도시한 것은 종래 다극콘넥타의 단면도이며 본 고안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6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 콘넥타는 절연체이며 손잡이(6)로 사용되는 가장외피 내측으로 서로 삽치하는 콘넥타와 또다른 콘넥타를 영문자 D자 형상의 금속테두리(5)가 삽치되며 금속테두리(5) 내측으로 각각의 단자(2)가 삽치하는 전면지지대(3)와 후면지지대(4)가 삽치되며, 단자(2)의 후단부는 각각의 케이블(1)과 납땜에 의해 혹은 접속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 다극콘넥타는 단자(2)에 의해 다심케이블을 서로 이어주는 역활만 가질뿐 콘넥타로 또는 케이블로부터 유입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수단을 갖지 못했다. 본 고안은 콘넥타가 다심케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본래의 목적 이외에 콘넥타 또는 케이블로부터 유입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단자(2)의 외측에 직관형 관통콘덴사(10)를 삽치한 것에 있어서, 별도의 금속판(11)을 삽치하여 보다 확실하게 접지되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내주면에 삽치되는 단자(2)가 보다 확실하게 견고히 삽치되도록 한 것이다.
즉, 금속테두리(5) 내측에 삽치되며 단자(2)를 삽치하는 전면지지대(3)와 후면지지대(4)와 마찬가지로 금속판(11)을 금속테두리(5) 내측에 삽치시키는 한편 금속판(11)에 형성된 구명에,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금속층(7)(8)을 가지며 그 사이에 원통형상의 세라믹(9)을 삽치하여서 된 직관형 관통콘덴사(10)에 단자(2)를 삽치하는 것에 있어서, 제5도 (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내주면 금속층(7)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삽치되는 단자(2)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서로 일체로 체결할 시 유격이 생기게 되며,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그 유격이 넓어져 헐기워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종래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내주면에는 금속층(7)을 갖되, 그 내주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삽치되는 단자(2)의 단면은 사각으로 됨으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유격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통형콘덴사(10) 내주면의 금속층(7)은 각진면을 갖는 테두리 형상으로 되도록하여 이에 삽치되는 사각 단면의 단자(2)가 밀착되게 섭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판(11)과 이를 삽치 고정하는 외측의 금속테두리(5) 및 금속판(11)과 이에 삽치된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외주면인 금속층(8)은 서로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해 서로 용착시킬 수 있으며 금속테두리(5)와 금속판(11)이 일체로 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판(11)에 삽치되는 직관형 관통콘덴사(10) 외주면의 금속층(8)을 서로 용착시켜 일체로 되게 하면 직관형 관통콘덴사(10)를 후면지지대(4) 후단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콘넥타 또는 케이블로부터 유입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기기 통신기계기구에 잡음발생소지 및 오동작의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관형 관통콘덴사에 삽치된 단자가 쉽게 빠지지 않는 굳은 구조를 갖도록 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각각의 케이블(1)과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2)가 삽치되는 전면지지대(3)와 후면지지대(4)의 외측을 금속 테두리(5)로 감싸며, 그 외측에는 절연체(손잡이)(6)가 피복되며, 내주면과 외측면에 각각 금속층(7)(8)을 가지며 그 사이에 원통형세라믹(9)이 삽치된 직관형 관통콘덴사(10)에 통상의 단자(2)가 각각 삽치되어지는 다극 콘넥타에 있어서, 상기 금속테두리(5) 내측에 이와 일체로 용착되어지는 금속판(11)을 삽치시키며, 상기 금속판(11)에는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외주면인 금속층(8)이 일체로 용착되어지며, 상기 직관형 관통콘덴사(10)의 내측의 금속층(7)은 각진면을 갖는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관통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금속테두리(5)와 금속판(11)이 원래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관통 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KR2019930016731U 1993-08-27 1993-08-27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KR960007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731U KR960007971Y1 (ko) 1993-08-27 1993-08-27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731U KR960007971Y1 (ko) 1993-08-27 1993-08-27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92U KR950007392U (ko) 1995-03-21
KR960007971Y1 true KR960007971Y1 (ko) 1996-09-19

Family

ID=1936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731U KR960007971Y1 (ko) 1993-08-27 1993-08-27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92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363Y1 (ko) 다층 프린트 기판의 접지구조체
KR890007939Y1 (ko) 기판의 지지 구조체
JPH08222870A (ja) 印刷回路基板取付装置
EP0792529A1 (en) A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fixing this connector to a circuit board
US7414196B2 (en) Casing for RF filter
KR960007971Y1 (ko)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KR960007970Y1 (ko) 직관형 관통형콘덴사를 삽치한 다극콘넥타
EP0562579B1 (en) Electrical contact with anti-solder wicking tab
KR100585938B1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US6072613A (en) Opto module
KR200171119Y1 (ko) 컨택트 잭
US5886592A (en) Feedthrough ceramic capacitor having a grounding fitting for frictionally fixing the capacitor to a capacitor support
KR20010007553A (ko) Ic 소켓, 프린트배선기판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JPS63300597A (ja) シ−ルドケ−ス構造
WO1997007421A1 (en) An opto module
JP3235369B2 (ja) 光素子モジュール組立体
KR200309632Y1 (ko) 통신장비용셸프의전자파차폐장치
KR920000810Y1 (ko) 모니터의 브라운관 소켓 접지구조
KR200231304Y1 (ko) 튜너의 회로기판 접지 구조
KR0126464Y1 (ko) 전자기기의 회로기판 지지장치
KR19980042927U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 정전기 접지 구조
JP2560376Y2 (ja) フィルタの取付構造
JPH0115205B2 (ko)
JPH06334378A (ja) ピンジャック用シールド板
JPH1172627A (ja) ファイバ型光デバイス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