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53Y1 - 건축용 바닥판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53Y1
KR960007953Y1 KR2019930021479U KR930021479U KR960007953Y1 KR 960007953 Y1 KR960007953 Y1 KR 960007953Y1 KR 2019930021479 U KR2019930021479 U KR 2019930021479U KR 930021479 U KR930021479 U KR 930021479U KR 960007953 Y1 KR960007953 Y1 KR 960007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resent
main
floor
floo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784U (ko
Inventor
김명은
Original Assignee
김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은 filed Critical 김명은
Priority to KR2019930021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953Y1/ko
Publication of KR95001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바닥판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주바닥판재 외형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바닥판재 다른 실시예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주바닥판재 절단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보조바닥판재 외형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보조바닥판재 절단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바닥판재B : 보조바닥판재
1,2,3 : 판재유니트11,21,31 : 판넬본체
12,22,32 : 받침대4,5 : 절개홀
6,7 : 이음부8 : 홀
13,23,33 : 접지부10 : 상판부재
10a : 절단안내홈
본 고안은 건축용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하여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실내의 항온 항습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에 대한 것이다.
통상 사무실로 사용하는 건물에는 전기전자 사무기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전기배선이나 전화배선을 하게 되는데 주로 건물바닥에 직접 붙여 사용하는 배선관을 이용해 오고 있는 실정으로 사무실의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안전사고의 유발문제 및 사무실 바닥을 더럽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사무실 바닥에 카페트등을 깔 경우에 있어서도 배선을 처리하는데 적당한 방안이 없었다.
한편, 최근들어 전산실등의 건물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철재 바닥판넬이 개발된바 있으나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바닥에 철재판넬을 깔 수 있도록 브라켓트를 설치해야 하는등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설계변경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철재판넬의 크기가 대형이고 무거워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분절단을 할 수 없어 시공상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바닥판재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재로써 크기가 소형이며 소단위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바닥판재를 구성함으로써 취급 및 시공이 간편하고 저가이며 설계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용 바닥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닥판재는 제8도의 사용상태도에서 예시하는 바와같이 건물바닥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위에는 통상의 카페트(40)를 깔아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주바닥판재(A)와 보조바닥판재(B)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바닥판재(A) 및 보조바닥판재(B)는 제2도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높이를 다르게 구성함과 동시에 전선닥트(20)를 2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바닥재(A)는 3등분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이음부(6)(7)에 의해 각 판재유니트(1)(2)(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바닥판재(A)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되 절개홀(4)(5)에 의해 3등분되는 사각형상의 판넬본체(11)(21)(31)와 그 양측면으로 병설되는 받침대(12)(22)(32)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2)(22)(32)는 3등분으로 분리 구성되며 건물바닥과 접지되는 받침대(12)(22)(32)의 접지면은 연질수지재로 구성되는 접지부(13)(23)(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 판재유니트(1)(2)(3)의 판넬본체(11)(21)(31)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되 다수개의 홀(8)을 횡설하여 강도의 증진 및 중량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닥판재에는 상기 주바닥판재(A)와 병행 조립 설치되는 보조바닥판재(B)가 사용되는데 그 구성은 제6, 7도의 예시와 같이 다수개의 유니트부재가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는 등분절단이 가능하도록 상판부재(10)의 하면에 절단안내홈(10a)이 요설된 구조를 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 14, 24, 34는 분기홀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보이는 본 고안의 실사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처리해야 할 배선량에 따라 전선닥트(30)가 1홀인 제1도의 주바닥판재를 택하거나 또한 전선닥트(30)가 2홀인 제2도의 주바닥판재를 택하여 설치한다.
즉, 3개의 판재유니트(1)(2)(3)로 이루어진 주바닥판재(A)를 서로 맞대어 가면서 조립 설치한다. 이때 사무실에서 필요로 하는 전선 및 케이블을 상기 각 유니트(1)(2)(3)에 의해 형성되는 전선탁트(30)속으로 배설시키고, 또한 적정위치에 전선을 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판넬본체(11)(21)(31)를 3등분하는 절개홀(4)(5)을 통해 필요전선을 인출하면 된다.
본 고안의 주바닥판재(A)는 절개홀(4)(5)에 의해 3등분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바닥면의 수평이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에도 각 판재유니트(1)(2)(3)가 각기 다른 각도로 바닥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어 부재가 뒤뚱거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바닥판재(A)는 각 판재유니트(1)(2)(3)가 이음부(6)(7)에 의해 절단이 매우 용이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판재의 설치과정에서 크기가 맞지 않을때에는 3개의 판재유니트(1)(2)(3)로 형성되는 주바닥판재(A)를 제5도의 예시와 같이 별도의 도구없이 각 판재유니트(1)(2)(3)를 절단하여 간편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벽면 모서리부분을 시공함에는 여러개의 판재유니트로 등분되는 보조바닥판재(B)를 적정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주바닥판재(A)의 받침대(12)(22)(32)를 형성하는 접지부(13)(23)(33)가 연질의 수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지면과의 마찰력이 뛰어나 바닥판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강도를 가일층 높혀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바닥판재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온성과 단열성이 뛰어나 실내의 항온, 항습유지가 매우 용이하게 되며, 흡음성 및 보행감촉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소형이며 경량이면서 상하좌우 맞대기 조립형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설계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닥판재는 건축용 바닥판재로서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 및 각종물품의 받침목재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주바닥판재(A)와 보조바닥판재(B)로 이루어지는 바닥판재를 구성되는 동시에 주바닥판재(A)의 판넬본체(11)(21)(31)의 하부에 받침대(12)(22)(32)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넬본체(11)(21)(31)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홀(8)을 횡설하고, 받침대(12)(22(32)의 접지면에 접지부(13)(23)(33)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바닥판재(B)는 상판부재(10)의 하면에 등분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단안내홈(1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KR2019930021479U 1993-10-19 1993-10-19 건축용 바닥판재 KR960007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479U KR960007953Y1 (ko) 1993-10-19 1993-10-19 건축용 바닥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479U KR960007953Y1 (ko) 1993-10-19 1993-10-19 건축용 바닥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84U KR950011784U (ko) 1995-05-16
KR960007953Y1 true KR960007953Y1 (ko) 1996-09-19

Family

ID=1936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479U KR960007953Y1 (ko) 1993-10-19 1993-10-19 건축용 바닥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9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84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4621A (en) Electrically wired floor construction
US4996810A (en) Access flooring
US3131512A (en) Underfloor blind electrical terminal box
JPS62501086A (ja) ケーブル設置用のモジュール、形成物及び床構造物
US5794392A (en)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open office plans and the like
US3852928A (en) Elevated flooring system and panel therefor
WO1999022096A1 (en) Flooring system
CA1279968C (en) Flooring system
JPS6040472A (ja) 配線用の床材
KR960007953Y1 (ko) 건축용 바닥판재
US5943833A (en) In-floor utility outlet
US3624977A (en) Recessed conduit construction
US7010895B2 (en) Drop ceiling made of wood
JP2574298B2 (ja) 置敷式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配線処理方法及び装置
WO1998023824A1 (en) Serviceable open floor system
JPH0510100Y2 (ko)
JPH0412200Y2 (ko)
JPH0625443U (ja) 複合床下地構造
JP2971751B2 (ja) ケーブル配線用床材
KR19990013287A (ko) 퍼스널컴퓨터워크의 작업스테이션 및 그 센터패널
JPH0238977Y2 (ko)
JPH0932245A (ja) 床下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床下地材
JPH0540187Y2 (ko)
JPH0243454A (ja) 床構造自在システム
JPH01137061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