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82B1 -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82B1
KR960007882B1 KR1019930016022A KR930016022A KR960007882B1 KR 960007882 B1 KR960007882 B1 KR 960007882B1 KR 1019930016022 A KR1019930016022 A KR 1019930016022A KR 930016022 A KR930016022 A KR 930016022A KR 960007882 B1 KR960007882 B1 KR 96000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color filter
domai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479A (ko
Inventor
이정대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82B1/ko
Publication of KR95000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1Photosensitive materials providing an etching agent upon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칼라필터 공정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칼라필터 공정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칼라필터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경화성수지 2 : 포토다이오드영역
3 : 필드 4, 5, 6, 7 : 염색층
8 : 탑층 9 : 고착층
본 발명은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라필터(Color Filter)층 (Cy, Ye, Ng)의 패턴(Patterning) 형성시에 발생하기 쉬운 물얼룰번짐(시미)을 억제하기 위한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체촬상의 칼라필터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칼라필터 공정단면도로써, 제1도(a)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영역(2)과 전하전송영역(CCD)등을 구비하고 패드(3)가 형성된 흑백 CCD웨이퍼 위에 투명한 열경화성수지(1)을 도포하여 평탄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제2도(b)와 같이 염색층을 감광수지를 1.05μm 정도 도포하고 포토에칭공정으로 일 포토다이오드(2) 상측에 패터닝하고 염색장치를 이용하여 딥(dip)방식으로 염색(Mg)을 시행하고 방염충 역할이 가능하도록 염색(Mg)된 층자체에 고착액을 사용해서 고착층을 형성하여 제1염색층(Mg)(4)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염색(Ye,Cy,Gr)만 바꾸어서 제1도(C)와 같이 제2염색층(Ye)(5), 제3염색층(Cy)(6), 제4염색층(Gr)(7) 등을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한 열경화성수지로 탑층(8)을 형성하고, 제1도(d)와 같이 패드(3) 오픈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드(3)를 오픈시킨다.
이와같인 완성된 종래의 칼라필터층은 2색에 해당하는 빛만 투과시켜 포토다이오드(2)에서 빛의 칼라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즉, 제1염색층(Mg)은 B(Blue)와 R(Red)를 투과시키고, 제2염색층(Ye), G(Green)과 R(Red)를 투과시키고, 제3염색층(Cy)는 G(Green)과, B를 투과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칼라필터층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평탄층 형성후 염색층용 감광수지의 도포, 노광 그리고 패터닝시(현상,린스시)에 칩(Chip)의 부위에 수십 μm에서 수백 μm에 이르는 얼룩반점이 발생하여 수율(Yield)을 상당히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평탄층용 열결화형 수지와 수 CCD로 패터닝되는 염색층을 감광수지의 경제면에서 탈이온수(D,I)나 알코올들이 불규칙적으로 화학반응을 하면서 데미지(damage)을 입힌다.
얼룰무늬는 칩의 모서리에 특히 발생하기 쉽고, 메인(Main)화소의 중앙부위에도 많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 현상은 화상으로 그대로 제현되어 불량 칩으로 처리되어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되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칼라필터 공정단면도로써, 제2도(a)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영역(2)과 전하전송영역(CCD)을 구비하고 패드(3)가 형성된 흑백 CCD웨어퍼 위에 투명한 열경화성수지(1)를 도포하여 평탄화를 실시한 뒤 제3도와 같이 메인화소 영역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정도로 염색층용 감광수지(키제인, 젤라던)등을 열경화성수지(1)위에 μm전후의 두께로 증착, 현상하고 다른 염색시 염색이 안되도록 고착액을 고착하여 고착층(9)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b)와 같이 염색층을 감광수지(카제인 또는 젤라틴)을 1.0μm정도로 도포하고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여 제1염색용 마스크를 개입해서 노광을 0.2-0.6Sec 사이에서 실시하고 적정온도의 초순수물(탈이온수)를 사용해서 현상 및 린스한 후 백수십 ℃의 클린 오븐(Clean oven)이나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수분간 베이킹(baking)을 실시한다.
그리고나서, 딥(dip)방식으로 온도, 농도 PH등을 관리하면서 염색(Mg액)을 실시하고, 곧바로 혼색방지용으로 중간층 투명한 포토레지스트 대신에 고착층을 형성하도록 고착액에 넣어 염색층내에 고착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염색층(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염색(Ye, Cy, Gr)만 바꾸어서 제2염색층(Ye)(5), 제3염색층(Cy)(6), 제4염색층(Gr)(7)등을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한 열경화성수지로 탑층(8)을 증착하고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위해서 패드(3) 부분을 노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칼라필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칼라필터 층 밑에서 사전에 투명고착층(9)을 형성하므로서, 이전에 이층이 없을대 평탄층과 Color filter층의 수 μm×수 μm 패터닝함으로서 픽셀과 픽셀 사이에서의 현상액(D,I)과 린스액이 남아있으므로서 열경화 수지층에 대해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데미지를 줌으로써 얼룩무늬와 같은 시미를 방지하여 얼룩무늬(시미)로 인해서 발생한 불량현상들이 없어지므로서 수십% 이상의 시율상승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현상이나 린스시의 약액이 이전의 까다로운 조건이 아니더라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율성이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포토다이오드영역(2), 전하전송영역, 패드(3)영역을 구비한 흑백 CCD웨이퍼 위에 평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평탄층위의 메인화송영역에 투명고착층(9)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포토다이오드영역(2)에 상응하는 토명고착층(9)위에 칼라필터층인, 제1, 제2, 제3, 제4염색층(4,5,6,7)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면에 탑층(8)을 형성하고 패드(3)부분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2. 제2항에 있어서, 투명고착층(9)를 카제인 또는 젤라틴을 도포한 후 포토/에치하고 고착액을 이용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KR1019930016022A 1993-08-18 1993-08-18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KR960007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022A KR960007882B1 (ko) 1993-08-18 1993-08-18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022A KR960007882B1 (ko) 1993-08-18 1993-08-18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479A KR950006479A (ko) 1995-03-21
KR960007882B1 true KR960007882B1 (ko) 1996-06-15

Family

ID=1936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022A KR960007882B1 (ko) 1993-08-18 1993-08-18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86B1 (ko) * 1997-12-29 2005-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광감지소자의칼라필터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479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8183B2 (ja) Cmos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EP0124025B1 (en) Solid-state color imaging devic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JP2609339B2 (ja) カラ−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526466B1 (ko) 시모스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US62517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photosensitive device
US5350490A (en) Forming a color filter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KR960007882B1 (ko)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KR20020052713A (ko) 칼라필터어레이 형성 방법
JP2001021715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0166807B1 (ko) 고체촬상 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KR920008073B1 (ko)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JPH10341012A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H05299625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06203B1 (ko) 고체 촬상 소자 제조방법
JPS63143504A (ja) カラ−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0236080B1 (ko)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JPS623203A (ja) カラ−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2455B1 (ko) 고체촬상소자및그제조방법
KR930003614B1 (ko)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KR100688482B1 (ko) 평탄화층 및 보호막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고체 촬상소자제조방법
JPS63155002A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920008072B1 (ko)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JPS62150203A (ja) カラ−固体撮像装置
KR0166781B1 (ko) 고체촬상소자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JPS61144869A (ja) カラ−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