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59Y1 -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 Google Patents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59Y1
KR960007859Y1 KR2019940000408U KR19940000408U KR960007859Y1 KR 960007859 Y1 KR960007859 Y1 KR 960007859Y1 KR 2019940000408 U KR2019940000408 U KR 2019940000408U KR 19940000408 U KR19940000408 U KR 19940000408U KR 960007859 Y1 KR960007859 Y1 KR 960007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
lead cabl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999U (ko
Inventor
최봉섭
Original Assignee
최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섭 filed Critical 최봉섭
Priority to KR201994000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59Y1/ko
Publication of KR950023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제1도는 일반적인 리드케이블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 이탈방지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단자 이탈 방지구10 : 접속구
30 : 신호선31 : 단자
41 : 압입편42 : 걸림편
9 : 인쇄회로기판
본 고안은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인쇄회로 기판에 삽입되는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단자의 절단 및 납점 작업이 용이하며 숏트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하는 리드케이블의 단자이탈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케이블은 각종 전자제품내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전자신호를 접속할때 인쇄회로기판에 기구적으로 접속 사용하거나 또는 납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드케이블은 그 기능과 사용처등에 따라 각각 다른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중인 실용신안 등록출원 번호 92-20134호의 리드케이블 조립식 접속구를 들수있다.
즉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와 같은 것으로, 리드케이블의 본체를 이루는 접속구(10)와, 상기 접속구(10)일측에 등간격을 두고 내곡 설치되어 각각 다른 신호선(30)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내곡홈(11)과, 상기 내곡홈(11)의 내면 적소에 돌출 설치되어 내곡홈(11)에 삽입고정된 신호선(30)을 압지하여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돌기(11a)와, 상기 내곡홈(11)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곡홈(11)에 삽입 고정된 신호선(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편(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시 접속구(10)에 설치된 다수의 내곡홈(11)에 각각 다른 신호선(30)을 삽입 고정하면 삽입된 신호선(30)은 내곡홈(11)의 돌기(11a)와 돌출편(12)의 걸림턱(12a) 사이에서 압지되므로 삽입된 신호선(30)이 전, 후 또는 좌, 우로 이탈이나 유동됨을 방지한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접속구(10)에 고정된 다수의 신호선 단자(31)를 삽입한후 불필요하게 돌출된 단자는 절단한 뒤 인쇄회로기판 저면에서 납땜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리드케이블에서는 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단자(31)를 삽입한후 절단 그리고 납땜하는 과정에서 신호선(30)의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서 자주 이탈되어 단자의 납땜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뒤따랐다.
또한 신호선은 하나의 비교적 굵은 주선 주위에 여러가닥의 가는선이 권취된 구조로 말미암아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신호선의 절단작업시 주선 주위의 가는 선들이 절단되지않고 상호 접촉됨에 따라 숏트가 발생되어 제품의 불량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기술결점에 감안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신호선이 이탈됨을 방지하여 단자의 납땜작업이 용이한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방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선 주위에 여러가닥의 가는선이 권취된 신호선의 절단이 용이하여 숏트에 따른 제품불량의 방지를 방지할수 있는 리드케이블의 단자이탈방지구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각각 다른 전자신호를 접속하는 수개의 신호선으로 구성된 리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일단부에 탈피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단자에 압입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서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단자 이탈 방지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케이블의 단자이탈방지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리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드케이블은 각각 다른 전자신호를 접속하는 수개의 신호선(30)을 가지며 이들은 통상적인 접속구(10)의 내곡홈(11)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신호선(30)들은 전부 일단부가 탈피되어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는 신호선 단자(31)를 갖는데 이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리드케이블의 신호선(30) 일단부에 탈피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 납땜되는 단자(31)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단자이탈 방지구(4)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 이탈 방지구를 구체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즉 단자이탈방지구(4)는 금속재로 구성된 박편(40)과, 상기 박편(40)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장 설치되며 단자(31)가 삽입된후 압입고정되는 반원상의 압입편(41)과, 상기 압입편(41)의 하측에 일부 절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걸림지지되는 탄성체인 걸림편(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편(40)과 일체로 연장되는 압입편(41)의 연결부위는 압입편(41)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구성하여 후술하는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 제3도와 같이 수개의 리드케이블 신호선(30) 중 어느 한개의 신호선 단자(31), 혹은 양단부에 설치된 신호선 단자나 또는 여러가닥의 신호선단자(31) 모두에 단자이탈방지구(4)를 설치할수 있다.
즉 상기 단자이탈방지구(4)의 반원형으로 내곡된 압입편(41) 내측에 신호선(30)의 신호선 단자(31)를 삽입한후 펀칭기나 또는 수작업에 의한 벤치등으로서 신호선 단자(31)가 삽입된 압입편(41)을 눌러 조이면 상기 박편(40)과 압입편(41)의 연결부위가 절단 분리되며 단자가 압입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단자를 압입고정한 분리된 단자이탈방지구 즉 압입편(41)을 제4도와 같이 인쇄회로기판(9)의 삽입부에 끼우면 상기 압입편(41) 하측의 걸림편(42)은 인쇄회로기판(9)의 저면에 걸림지지되어 상향이탈이 방지된다.
이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9)의 저면으로 돌출된 불필요한 부분은 종래와 동일하게 커팅(C) 처리한후 납땜고정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단자에 단자이탈방지구의 압입편 부위를 압입고정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9)의 삽입홀에 삽입고정하면 상기 압입편(41)의 걸림편(42)은 인쇄회로기판(9)의 저면에 걸림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신호선이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주선과 주선에 권취된 구성의 신호선이 압입편에 압입된 상태에서 절단하므로 종래와 같이 여러가닥의 절단되지 않은 가는선이 서로 접촉되며 그에 따른 숏트에 의한 제품 불량을 가져오던 문제점 또한 해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단자의 절단 및 납땜작업이 용이하며 숏트에 의한 제품 불량이 방지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각각 다른 전자신호를 접속하는 수개의 신호선으로 구성된 리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리드케이블의 신호선 일단부에 탈피되며 인쇄회기판에 삽입되는 단자에 압입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서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단자이탈 방지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케이블의 단자이탈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이탈방지구는 금속재로 구성된 박편과, 상기 박편에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장설치되며 단자가 삽입된후 압입고정되는 반원상의 압입편과, 상기 압입편의 하측에 일부절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걸림지지되는 탄성체인 걸림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케이블의 단자이탈 방지구.
KR2019940000408U 1994-01-12 1994-01-12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KR960007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408U KR960007859Y1 (ko) 1994-01-12 1994-01-12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408U KR960007859Y1 (ko) 1994-01-12 1994-01-12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99U KR950023999U (ko) 1995-08-23
KR960007859Y1 true KR960007859Y1 (ko) 1996-09-18

Family

ID=1937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408U KR960007859Y1 (ko) 1994-01-12 1994-01-12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99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637B1 (ko) 인쇄 회로 기판 장착용 전기 커넥터
JP2934829B2 (ja) 改良された導線保持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H0424612Y2 (ko)
US437122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flat multiconductor cable
US429943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52643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JP2011060770A (ja) 蓋付き絶縁圧接端子コネクタ
US20070254521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KR960006149A (ko) 전기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4946408A (en) Male circuit board terminal
US6283793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3654594A (en) Crimp type terminal
EP0921612A3 (en) Cap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KR940001444Y1 (ko) 코넥터
KR960007859Y1 (ko) 리드케이블의 단자 이탈 방지구
JP3676608B2 (ja) 基板用端子の製造方法
IE53758B1 (en) Connection device for coaxial cables
US611694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discrete electrical wires
US5980307A (en) Strain relief system for holding cables to circuit boards
US4681391A (en) Electric connector
EP0346104B1 (en) Board mount type contact-connectors
JP2000036344A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JPS633092Y2 (ko)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4236416A (ja) 分岐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