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780Y1 -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780Y1
KR960007780Y1 KR2019940017237U KR19940017237U KR960007780Y1 KR 960007780 Y1 KR960007780 Y1 KR 960007780Y1 KR 2019940017237 U KR2019940017237 U KR 2019940017237U KR 19940017237 U KR19940017237 U KR 19940017237U KR 960007780 Y1 KR960007780 Y1 KR 960007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lifting
seat
guid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610U (ko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조래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조래승 filed Critical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7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780Y1/ko
Publication of KR960004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10 : 가이드
11 : 가이드홈12 : 관통공
20 : 승강뭉치21 : 누름돌기
30 : 승강스프링40 : 발판
41 : 연결봉50 : 누름노브
51 : 스프링60 : 파워실린더
61 : 조작로드
본 고안은 좌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편안하게 딛을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승객이 자신의 체형이나 기호에 맞게 발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차시간이 비교적 긴 관광버스나 고속버스등에 있어서는 승객용 좌석에 승객이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시설이 마련되는 바, 본 고안이 관계하는 발판은 승객이 발을 착지면에 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좌석의 다리 전방에 전방으로 회동되는 정강이 받침대를 장착하는 예가 있었으나 이는 정강이가 몸의 균형이나 중량을 지지해주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직전방 좌석의 등받이 후하단부에 프레임형의 발판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종래의 발판장치는 발판을 인출해내기가 힘들 뿐 아니라 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나 그밖의 다리가 짧은 사람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각 승객이 체형에 관계없이 발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석의 하부 전방 양측에 가이드를 설치하고 그에 발판을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는 내측에 가이드홈(11)이 마련된 가이드(10)가 좌석(1)의 하부 전방 양측에 설치되고, 각 가이드(10)의 내부에 승강스프링(30)으로 탄성지지되는 승강뭉치(20)가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 연결봉(41)이 마련된 발판(40)이 각 승강뭉치(20)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각 승강뭉치(20)의 전방에 형성된 누름돌기(21)를 각 가이드(10)의 전방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의 전방에 스프링(51)으로 탄성지지된 다수의 누름노브(50)중 각 누름돌기(21)에 대응되는 것을 눌러 승강뭉치(20)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함으로써 발판(40)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와 같이 승강뭉치(20)의 누름돌기(21)가 최하단의 관통공(12)에 걸려있을 때에 최하단의 누름노브(50)를 눌러 그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관통공(12)으로부터 이탈되는 승강뭉치(20)와 그에 결합된 발판(4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 때에 발판(40)의 상승은 승강뭉치(20)의 누름돌기(21)가 상부의 다음 관통공(12)에 걸릴 때까지만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상승상태의 발판(40)을 하강시킬 때에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발판(40)을 하부로 누르게 되면 승강스프링(30)을 통해 탄성지지되는 승강뭉치(20) 및 발판(40)이 하강하게 되며, 발판(40)을 충분히 하강시킨 후 작용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부의 관통공(12)에 승강뭉치(20)의 누름돌기(21)가 걸려 승강뭉치(20) 및 발판(40)이 고정된다.
한편 제3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좌석(1)의 바닥판(1a)에 파워실린더(60)를 설치하고, 그의 상강로드(61)를 발판(40)에 연결하여 파워실린더(60)를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간편하게 발판(40)을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3은 신축패드, 64는 연결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좌석(1)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는 발판(40)의 높이를 각 승객이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어린이나 그밖의 다리가 짧은 승객의 경우에도 발판(40)을 알맞게 상승시켜 고정한 후 발을 딛을 수 있게 되므로 더욱 편안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정거리를 여행하는 경우에는 승차피로감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내측에 가이드홈(11)이 마련된 가이드(10)를 좌석(1)의 하부 전방 양측에 설치하고, 양 가이드(10)의 사이에 발판(40)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판(40)의 승강 및 고정을 위해 가이드(10)의 내부에 승강스프링(30)으로 탄성지지되는 승강뭉치(20)를 설치하고, 발판(40)의 후방 양측에 마련한 연결봉(41)을 각 승강뭉치(20)에 연결하며, 각 승강뭉치(20)의 전방에 형성된 누름돌기(21)를 각 가이드(10)의 전방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의 전방에 스프링(51)으로 탄성지지된 다수의 누름노브(50)중 각 누름돌기(21)에 대응되는 것을 눌러 승강뭉치(20)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함으로써 발판(40)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판(40)의 승강을 위해 좌석(1)의 바닥판(1a)에 파워실린더(60)를 설치하고, 그의 승강로드(61)를 발판(4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KR2019940017237U 1994-07-12 1994-07-12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KR960007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37U KR960007780Y1 (ko) 1994-07-12 1994-07-12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37U KR960007780Y1 (ko) 1994-07-12 1994-07-12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610U KR960004610U (ko) 1996-02-16
KR960007780Y1 true KR960007780Y1 (ko) 1996-09-18

Family

ID=1938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237U KR960007780Y1 (ko) 1994-07-12 1994-07-12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7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905A1 (ko) * 2013-10-31 2015-05-07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
KR101704281B1 (ko) * 2015-11-06 2017-02-07 강민성 유아시트용 발 받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88A (ko) * 2002-01-17 2003-07-28 김은해 의자용 발판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905A1 (ko) * 2013-10-31 2015-05-07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
KR101704281B1 (ko) * 2015-11-06 2017-02-07 강민성 유아시트용 발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610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6660A (en) Movable backrest for tandem seat motorcycles
KR960007780Y1 (ko) 버스용 좌석의 발판장치
KR200482088Y1 (ko) 유아용 발받침기구
CN213993410U (zh) 可调节儿童辅助坐便梯
US2743766A (en) Auxiliary seat for barber chairs
KR20230076640A (ko) 실내 이동식 의자
KR101042841B1 (ko) 발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
CN112656596B (zh) 多功能轮椅
JPH0324109Y2 (ko)
KR200225043Y1 (ko) 대형버스의시트쿠션높이조절장치
CN216059891U (zh) 一种便携式多功能防跌倒凳
CN209499582U (zh) 一种复合儿童坐便器
CN215271607U (zh) 一种一体式二阶脚踏凳
KR200333281Y1 (ko) 카시트
KR20040024426A (ko)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KR20019986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299154Y1 (ko)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JP3100233U (ja) 段差座席付自転車サドル
CN112535425A (zh) 一种多功能扶手凳
KR0124640Y1 (ko) 풋 레스트
KR0159211B1 (ko) 자동차 시트용 어린이 보호장치
KR200351571Y1 (ko) 자전거
KR910005652Y1 (ko) 유아용 의자
JPH1052331A (ja) 椅 子
KR101393068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