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674Y1 -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674Y1
KR960007674Y1 KR2019930024708U KR930024708U KR960007674Y1 KR 960007674 Y1 KR960007674 Y1 KR 960007674Y1 KR 2019930024708 U KR2019930024708 U KR 2019930024708U KR 930024708 U KR930024708 U KR 930024708U KR 960007674 Y1 KR960007674 Y1 KR 960007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filter
water purific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439U (ko
Inventor
안원기
안진옥
Original Assignee
안원기
안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기, 안진옥 filed Critical 안원기
Priority to KR2019930024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674Y1/ko
Publication of KR950013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제1도는 제1단계 정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제2단계 정수과정을 보인 도면
제3도는 제1단계 정수구조의 필터 청소동작을 보인 도면
제4도는 제2단계 정수구조의 필터 청소 동작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단계 정수구조B : 제2단계 정수구조
1, 10 : 정수와류실2, 20 : 이물질배출구조
3~6, 30~60 : 제1~4차 필터7, 70 : 정수생성실
8, 80 : 정수배출콕
본 고안은 가정이나 대중업소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수돗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단계의 정수과정을 구비함으로써 제1단계에서 정화된 물은 일반생활 용수로 사용케하며 제2단계에서 정화된 물은 식음료로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며 또한 역방향으로 물을 이동케하며 정수필터를 청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가정이나 대중업소 및 공장등에서 식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돗물을 정화하는 다양한 구조의 정수기가 알려지고 있는 것으로 삼투압을 이용하여 다단계의 필터를 거치도록 된 것과 수도콕크에 착설시키는 착탈식정수기 또는 수돗물이 채워진 투명용기의 저면에 맥반석 및 정수필터를 설치하여 물이 이곳을 통과하여 정화되어 용기에 설치된 배출콕을 통하여 식음료로 공급되도록 한 것 등이 알려지고 있으나 대부분 공통적으로 정수단계가 단순하여 정수효과가 미흡하고 정수효율이 떨어져 정수량이 적으며 자주 필터를 청소 또는 교체 해주어야 되므로 매우 번거롭고 경제적인 부담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정수된 물은 양이적어 오로지 식음료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세면이나 목욕등의 일반용수는 정수되지 않은 물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사용효과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단계를 2단계로 구비하여 일반생활용수용과 식음료용으로 구분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효과를 향상시키며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방향을 정역으로 변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과정과 필터의 청소과정을 임의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관이 연결된 급수관(1')에 의해 수돗물이 공급되는 정수와류실(1)과; 상기 정수와류실(1)의 직하방에 연통상태로 이물질 집적실(2')이 구성되며 이물질배출콕(2) 역류방지캡(2')이 형성되는 이물질배출구조(2)와;
상기 정수와류실(1)의 중앙에 형성되며 정수와류실(1)내의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켜 주기 위한 제1차 필터(3)와;
상기 제1차 필터(3)에서 여과된 물을 순차적으로 재여과 시켜주기 위하여 각각 연통상태로 구성된 제2~4차 필터(4)(5)(6)와;
상기 제4차 필터(6)를 거친 정수가 위치되는 1단계 정수생성실(7)과;
상기 정수생성실(7)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정수관(9)에 연결되는 정수배출콕(8)을 각각 결합하여 제1단계 정수구조(A)를 형성하여 상기 제1단계 정수구조(A)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행하는 정수와류실(10), 이물질집적실(20'), 이물질배출콕(20) 역류방지캡(20')이 구비된 이물질배출구조(20) 및 제1~4차 필터(30)(40)(50)(60) 및 정수생성실(70), 정수배출콕(80), 정수관(9)이 구비된 제2단계 정수구조(B)와;
상기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생성실(70)과 정수와류실(10)에 각각 연결된 제1~2연결관(C)(C')을 제1단게 정수구조(A)의 정수관(9)에 연결접속시킨 상태에서 임의로 제1단계 정수구조(A)의 정수관(9)의 폐쇄 및 제1~2 연결관(C)(C')상호 상반되게 개폐시키기 위한 제1조건밸브(100)와,
상기 1단계 정수생성실(7)과 급수관(1')을 연결시키는 제3연결관(C)의 접속부위에 설치되며 급수관(1')과 제3연결관(C)을 상호 산반되게 개폐시켜 물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임의로 정수 또는 필터청소 기능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제2조절밸브(110)와,
상기 급수관(1')에 설치되며 수돗물의 공급속도를 2단계로 조절하여 주기 위한 압송모터(M)와, 상기 제1및 제2단계 정수구조(A)(B)의 이물질배출콕(2')(20') 및 정수배출콕(8)(80)에 설치되어 상기 압송모터(M)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 배출콕(2')20')(8)(8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동작시켜 주기 위한 개폐감지센서(S)를 각각 결합하여 본 고안의 정수장치를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203는 제1단계 정수구조(A) 및 제2단계 정수구조(B)의 각 필터(3)~(6), (30)~(60)의 삽착과 인출을 가능케 하기 위한 뚜껑부이다.
먼저 제1단계 정수과정 즉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조절밸브를 조작하여 제1단계의 정수구조(A)에서 생성된 정수가 제2단계 정수구조(B)로 진입될 수 없도록 제1단계 정수구조(A)의 정수배출콕(8)을 개방시키게 되면 이에 설치된 개폐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구동시켜 평상시 급수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수돗물을 급수관(1')을 통해 정수와류실(1)로 공급한다. 이때 물론 제2조절밸브(110)는 제3연결관(C)으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시킨다.
정수와류실(1)에 유입된 수돗물은 정수와류실(1)의 상광하협형 내벽에 의해 와류되면서 비교적 큰 이물질은 내벽면을 타고 이물질집적실(2')로 집적된다.
이때 이물질배출콕(2)은 폐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일차로 정수와류실(1)에서 큰 이물질을 걸러낸 뒤 제1차 필터(3)로 유입되어 정화된 뒤 다시 순차적으로 제2~4차 필터(4)(5)(6)를 연속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제1단계 정수생성실(7)에 1단계로 정화 완료된 정수가 위치되는 것으로 정수는 이에 연통된 정수관(9)과 접속된 정수배출콕(8)을 통해 배출되어 세면수, 목욕수등의 일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것이다.
제2단계 정수과정 즉 식음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좀더 정밀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의 정수과정이 그대로 행해지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단계 정수구조(A)의 정수관(9)이 정수가 제2연결관(C')쪽으로는 진입되지 못하고 제1연결관(C)을 통해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와류실(1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조절밸브(100)를 조절한뒤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배출콕(80)을 개방시키게 되면 정수배출콕(80)에 설치된 개폐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구동시켜 수돗물을 제1단계 정수구조(A)를 거치게 하여 1단계로 정화시킨 다음 이 정화된 물이 제1조절밸브(100)와 다시 제1연결관(C)을 통해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와류실(10)내로 공급시킨 뒤 제1단계 정수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고쳐 좀더 미세하게 여과된 다음 제2단계 정수배출콕(80)을 통해 식음료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제2단계 정수구조(B)에 사용되는 제1~4차 필터(30)(40)(50)(60)는 제1단계 정수구조(A)의 필터(3)(4)(5)(6))의 구조와는 다른 좀더 미세한 정화기능을 갖는 것을 설치함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이 수돗물의 정수과정을 행하다 장시간 사용에 의해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할 시기에 이르게 되면 정수과정과 같이 제1단계 정수구조(A)와 제2단계 정수과구조(B)를 각각 독립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제2단계 정수구조(A)의 제1~4차 필터(3)(4)(5)(6)의 청소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조절밸브(110)를 조절하여 수돗물이 정수와류실(1)쪽으로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제3연결관(C)쪽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1조절밸브(100)를 조절하여 정수관(9)을 폐쇄시킨뒤 이물질배출콕(2)을 개방시키면 이에 설치된 개폐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구동시켜 수돗물을 제1단계 정수생성실(7)로 공급시켜 수돗물이 제4차 필터(6)를 거쳐 제3차 및 제2차, 제1참 필터(5)(4)(3)로 역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으로 역으로 수돗물이 이송되는 도중 각 필터(6)(5)(4)(3)에 붙어 있는 이 물질은 세척분리시켜 최종적으로 정수와류실(1)을 거쳐 이물질집적실(2')로 유입시켜 개방된 이물질배출콕(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수돗물의 역류에 의해 각 필터의 청소가 가능한 이유는 제4차 필터(6)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정수과정에서 제3차 필터5)를 통과된 것인만큼 역류때에도 당연히 통과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각기 다음 단계의 필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그전 단계의 필터를 통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단계 정수구조(A)의 필터를 청소한 후 제2단계 정수구조(B)의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조절밸브(110)를 정수과정에서와 같이 급수관(1')을 개방시키고 제3연결관(C)을 폐쇄되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즉 제1단계 정수구조(A)는 정수과정으로 해놓고 제1조절밸브(100)를 이용하여 제1연결관(C)은 폐쇄시키고 제2연결관(C')이 개방되도록 조절한뒤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이물질배출콕(20)을 개방시키게 되면 이에 설치된 개폐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구동시키게 되어 수돗물은 정수과정으로 되어 있는 제1단계 정수구조(A)를 통과하여 정수한뒤 정수된 물은 정수관(90)을 통해 제2연결관(C')을 통해 역으로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생성실(70)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한 제1단계 정수구조(A)의 필터 청소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역으로 각 필터(60)(50)(40)(30)를 청소한뒤 이물질배출콕(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2단계 정수구조(B)에서 정수된 물을 이용하는 까닭은 미여과 상태의 수돗물이 공급되면 제4차 필터(60)에서 모든 이 물질이 여과되기 때문에 제4차 필터(60)가 막혀 청소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각 필터(3)~(6), (30)~(60)의 교체나 살균등을 목적으로 분리시키기를 원할때에는 뚜껑부(200)~(203)를 열어 간단히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2단계로 차별된 정수과정을 구비함으로써 정수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물은 역방향으로 이동가능케 함으로써 정수필터를 청소하게끔 함으로써 사용에 편리함은 물론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잇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수도관이 연결된 급수관(1')에 의해 수돗물이 공급되는 정수와류실(1)과;
    상기 정수와류실(1)의 직하방에 연통상태로 이물질 집적실(2')로 구성되며 이 물질배출콕(2) 역류방지캡(2')형성되는 이물질배출구조(2)와;
    상기 정수와류실(1)의 중앙에 형성되며 정수와류실(1)내의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켜 주기 위한 제1차 필터(3)와;
    상기 제1차 필터(3)에서 여과된 물을 순차적으로 재여과 시켜주기 위하여 각각 연통상태로 구성된 제2~4차 필터(4)(5)(6)와;
    상기 제4차 필터(6)를 거친 정수가 위치되는 1단계 정수생성실(7)과;
    상기 정수생성실(7)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정수관(9)에 연결된 정수배출콕(8)을 각각 결합하여 제1단계 정수구조(A)를 형성하여 상기 제1단계 정수구조(A)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행하는 정수와류실(10), 이물질집적실(20'), 이물질배출콕(20) 역류방지캡(20')이 구비된 이물질배출구조(20) 및 제1~4차 필터(30)(40)(50)(60) 및 정수생성실(70), 정수배출콕(80), 정수관(90)이 구비된 제2단계 정수구조(B)와;
    상기 제2단계 정수구조(B)의 정수생성실(70)과 정수와류실(10)에 각각 연결된 제1~2연결관(C)(C')을 제1단계 정수구조(A)의 정수관(9)에 연결접속시킨 상태에서 임의로 제1단계 정수구조(A)의 정수관(9)의 폐쇄 및 제1~2연견관(C )(C') 상호 상반되게 개폐시키기 위한 제1조건 밸브(100)와;
    상기 1단계 정수생성실(7)과 급수관(1')을 연결시키는 제3연결관(C)의 접속부위에 설치되며 급수관(1')과 제3연결관(C)을 상호 상반되게 개폐시켜 물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임의로 정수 또는 필터청소 기능을 행할수 있게 하는 제2조절밸브(110)와;
    상기 급수관(1')에 설치되며 수돗물의 공급속도를 2단계로 조절하여 주기 위한 압송모터(M)와;
    상기 제1 및 제2단계 정수구조(A)(B)의 이물질배출콕(2')(20') 및 정수배출콕(8)(80)에 설치되어 상기 압송모터(M)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 배출콕(2')(20')(8)(8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압송모터(M)를 동작시켜 주기 위한 개폐감지센서(S)를 각각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19930024708U 1993-11-23 1993-11-23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960007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708U KR960007674Y1 (ko) 1993-11-23 1993-11-23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708U KR960007674Y1 (ko) 1993-11-23 1993-11-23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39U KR950013439U (ko) 1995-06-15
KR960007674Y1 true KR960007674Y1 (ko) 1996-09-12

Family

ID=1936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708U KR960007674Y1 (ko) 1993-11-23 1993-11-23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39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9419B2 (en) Water management system
TW212762B (en) Water clarifier with first filtrate isolation, improved backwashing and improved bubble generation
JP2008100123A (ja) 水処理機器
JPH07508209A (ja) 純水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浄水装置
JP2001507276A (ja) 液体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960007674Y1 (ko) 필터의 청소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US606804A (en) Water-filter
US6077426A (en)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KR20070065247A (ko) 고형물 여과장치
JPH1119486A (ja) 給水装置
JPH10460A (ja) 浄水器の結露防止装置
KR0138141Y1 (ko) 정수처리장치
US20060043008A1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WO2024070864A1 (ja) 水処理装置
CN217431028U (zh) 一种自来水过滤器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200203570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재활용장치
JPH044875Y2 (ko)
KR960005658Y1 (ko) 물탱크용 정수장치
CN110316844A (zh) 一种小型集成化反渗透净水机
CN207973631U (zh) 一种新型电子净水器
CN2361368Y (zh) 便于冲洗的净水机
CN2247046Y (zh) 自动排污式家用自来水终端过滤器
RU94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JP2022153775A (ja) 水処理装置とその逆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