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05Y1 -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 Google Patents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7505Y1 KR960007505Y1 KR2019930031937U KR930031937U KR960007505Y1 KR 960007505 Y1 KR960007505 Y1 KR 960007505Y1 KR 2019930031937 U KR2019930031937 U KR 2019930031937U KR 930031937 U KR930031937 U KR 930031937U KR 960007505 Y1 KR960007505 Y1 KR 9600075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er
- main
- branch
- feed part
- power fee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사용의 배전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급전부2 : 분기 급전부
3 : 급전측4 : 꺽임부
본 고안은 배전함에 있어서 주스위치와 분기 스위치들간에 급전용으로 사용되는 급전선(피더 : 이 경우 대부분 바상태의 동띠이다)에 관한 것으로 전기저항이 0인 상태의 급전선을 제공코저 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배전함의 주스위치와 분기 스위치들간에 사용되는 급전선주 급전선에 분기 급전선을 볼트 너트등으로 결합한 방법들로서 이러한 종래의 급전선을 그 접합점의 접합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저항으로 인하여 발열되어 스위치(브리커)를 소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때때로 배전함 전체를 소손하며 건물의 화재를 유발하기도 하였었다.
이러한 위험성을 주 급전선과 분기 급전선간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과실로 느슨하게 결합되는 경우가 있게 되고, 또 완전히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배전반의 이송으로 인한 진도(충격)으로 결합부분이 이완될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사용시 관전류 등으로 인한 접합부분의 온도상승으로 급전선이 팽창되었다가 수축되는 과정의 반복으로 인한 접합점의 전기저항의 증가에 의하는 등 항상 불안정이 예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안정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평판상의 동판으로 중앙부에 주 급전부(1)를 형성하고 그 좌우에 분기 급전부(2)를 형성하되 임의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여 주 급전부(1)와 분기 급전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주 급전부(1)의 급전측(3)에 주 급전부(1)의 두께정도의 꺽임부(4)를 형성하여 끝부분에 주 스위치연결공(5)을 형성하여 배전함을 완성하는 것으로, 도면중 11은 주 급전선에 계속하여 급전선을 연결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필요로 하는 보조급전선(12)을 연결키 위한 결합공을, 13은 스위치(14)의 터미널에 연결키 위한 천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 급전선은 주 급전부(1)와 분기 급전부(2)가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 전기저항은 0라 할 수 있음은 종래와 같이 접합점이 없이 접함점의 전기저항이 없는 것이므로 발열의 위험이 없고 또 종래와 같이 주 급전선과 분기 급전선을 결합할 필요가 없음으로 배전함의 제작이 손쉬우면서 간편한 이점이 있게 되는 것으로 사용시 전기저항으로 인한 소손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급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이유로 어느 한 분기 급전선에 과전류가 흘러 분기 급전부(2)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주 급전부(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승된 분기 급전부(2)의 상승열은 쉽게 주 급전부(1)로 전달되어 분기 급전부(2)의 온도상승이 매우 더디게 되므로 결국 과전류에 의한 소손의 위험이 그만큼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 급전부(1)와 분기 급전부(2)간을 임의의 각도로 절곡하므로서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간의 높이차를 조정하고 또 급전선간의 간격을 유지키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신속한 제작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게 된다. 그리고 주 급전부(1)에 계속하여 급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보조급전선(12)을 사용상태 예시도와 같이 연결합으로서 가능하고 꺽임부(4)에 의해 주급전부와 보조급전선(12)이 일직선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주 급전부(1)와 분기 급전부(2)가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형등이 제작되어 이러한 금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주 급전부(1)에 연결된 주스위치(브리커)와 분기 급전부(2)에 연결되는 분기스위치(브리커)간의 위치나 거리등 기하학적 구조가 반드시 정형화 되어야 하는 것으로 표준 배전함의 출현을 유도하게 되고, 본 고안과 부합되는 표준 배전판에 의해 신속하고 간결하게 그리고 깨끗하고 모양좋은 배전함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사용에 있어서는 분기 배전수의 증가에 따라 분기 급전부(2)의 숫자를 증가하면 되고 또 급전 전기용양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므로서 손쉽게 수요에 충당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및 3상 3선식의 배전함에 범용성있게 사용되며 배전용량에 따라 몇개의 종류로 제작되므로서 안전성, 대량생산 및 표준화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것으로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평판상의 동판으로 중앙부에 주 급전부(1)를 형성하고 그 좌우에 분기 급전부(2)를 형성하되 임의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여 주 급전부(1)와 분기 급전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주 급전부(1)의 급전측(3)에 주 급전부(1)의 두께정도의 꺽임부(4)를 형성하여 끝부분에 주스위치 연결공(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31937U KR960007505Y1 (ko) | 1993-12-31 | 1993-12-31 |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31937U KR960007505Y1 (ko) | 1993-12-31 | 1993-12-31 |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1624U KR950021624U (ko) | 1995-07-28 |
KR960007505Y1 true KR960007505Y1 (ko) | 1996-08-29 |
Family
ID=1937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31937U KR960007505Y1 (ko) | 1993-12-31 | 1993-12-31 |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7505Y1 (ko) |
-
1993
- 1993-12-31 KR KR2019930031937U patent/KR96000750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1624U (ko) | 1995-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50302B1 (en) | Connection base | |
EP1054461B1 (en) | Battery connection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CN101940078B (zh) | 电路基板的热应对结构 | |
DE112010001694T5 (de) | Thermischer Schmelzwiderstand | |
JP2018116891A (ja) | 配線モジュール | |
JP4338809B2 (ja) | 電気キュービクルの給電装置。 | |
JP4550114B2 (ja) | 高性能負荷抵抗体 | |
US6616465B1 (en) | Bus bar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 |
KR960007505Y1 (ko) | 배전함의 무접점 급전선(피더) | |
KR100543964B1 (ko) |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 |
US5053918A (en) | Three phase bus bar apparatus having selectively positioned interexchangeable links | |
KR100875268B1 (ko) | 분전반용 부스바 | |
EP3408905B1 (en) | Tap-off element for an encased busbar system | |
US4423475A (en) | Multi-chamber lamp for vehicles | |
US7473101B2 (en) | Connector for mezzanine mounting of a printed wiring board | |
JPH087777Y2 (ja) | 電気接続箱 | |
KR102498767B1 (ko) | 분전반 | |
KR100518791B1 (ko) | 분배전반 | |
JP4667970B2 (ja) | ノーヒューズ遮断器の取付け装置 | |
CN218997088U (zh) | 一种高压电机定子引线连接装置 | |
CN215343009U (zh) | 连接铜排及铜排搭接结构 | |
JP2011125156A (ja) | 回路構成体 | |
KR102350376B1 (ko) | 분전반 | |
EP1131867B1 (en) | Device for connecting bus bars | |
CN110355965B (zh) | 一种加热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