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456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56B1
KR960007456B1 KR1019940011599A KR19940011599A KR960007456B1 KR 960007456 B1 KR960007456 B1 KR 960007456B1 KR 1019940011599 A KR1019940011599 A KR 1019940011599A KR 19940011599 A KR19940011599 A KR 19940011599A KR 960007456 B1 KR960007456 B1 KR 96000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st collecting
foreign matter
vacuum cleaner
collec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963A (ko
Inventor
이진방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456B1/ko
Publication of KR95003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클러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부 22 : 내부케이스
24 : 집진실 25 : 내부격벽
26 : 배기실 27a,17b : 제1 및 제2배기통로
28 : 저장실 30 : 집진통
40 : 덮개부 41 : 흡입통로
51 : 흡입모터 53 : 호스
54 : 흡입노즐 60 : 모터
61a,61b : 클러치 62 : 회전축
63 : 분쇄칼날 65 : 모터
66 : 팬(FAN) 67 : 히터(Heater)
71 : 냄새제거장치 72 : 필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Vaccum Clea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모터구동으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기타 이물질 등을 집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는 내부격벽(2)에 의해 구획 되어지는 집진실(3)과 구동실(4)을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2)의 한쪽 측면에는 보조필터(5)가 장착된다.
또한, 집진실(3)과 구동실(4)은 흡입구(6)를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진실(3)내에는 종이필터(7)가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 집진실(3)은 본체부(1)와 자유롭게 착탈가능한 연결관(8)에 의해 먼지의 흡입구(9)를 갖게된다.
한편, 흡입력 조절스위치(10a)를 갖는 손잡이부(10)는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된 호스(Hose)(11)에 의해 연결관(8)과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0)는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장관(12)들에 의해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쉬헤드(Brush Head)(13)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는 본체부(1)내의 구동실(4)에 장착된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브러쉬헤드(13)를 통하여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들을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먼지나 이물질들은 연장관(12)들과 호스(11)를 경유하여 집진실(3)내의 종이필터(7)를 통과하면서 잔류하게 되며, 상기 종이필터(7) 및 보조필터(5)에 의해 정화된 공기만이 구동실(4)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수분이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 예를들면 식당이나 가장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청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집진할 경우에는, 집진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구동실(4)의 관련부품들에 악영향을 주어 고장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쓰레기용 봉투 등에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초래됨과 동시에, 음식물 스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분 및 악취가 발생되는 이물질의 청소에는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분쇄 및 건조하여 용이하게 집진시킴과 동시에 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갖추어 사용이 편리하며, 이물질의 청소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모터의 구동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물질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모터의 구동에 의해 열풍울 송풍시켜 건조하는 수단과; 상기 이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냄새가 제거되어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 20은 진공청소기의 본체부(20)로서, 이 본체부(20)는 외부 및 내부케이스(21,22)로 각각 분할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2)에 의해 상부가 트인 캐비티(Cavity)(23)를 가지는 집진실(24)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0)에는 집진실(24)과 내부격벽(25)에 의해 분리되는 배기실(26)이 형성되고, 이 배기실(26)은 공기 및 수분이 배출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배기통로(27a,27b)를 가진다. 상기 제2배기통로(27b)는 제1배기통로(27a)의 하부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연결되어 본체부(20)의 상부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는 저장실(28)이 형성되며, 이 저장실(28)은 수분이 저장되도록 제1배기통로(27a)와 연결되고, 저장실(28)에는 저장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콕(Drain Cock)(29)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실(28)내에는 카트릿지타입(Cartridge Type)의 저장통(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하여 서랍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가능한 것이다.
상기 집진실(24)의 캐비티(23)내에는 상부가 트인 집진통(3)이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 집진통(30)에는 다수의 관통공(31)이 소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된다. 상기 집진통(30)의 하부 중앙에는 조립공(32)이 형성되고, 집진통(30)은 내부케이스(22)의 테두리에 장착된 패킹(Packing)(33)에 의하여 지지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20)는 집진실(24)의 캐비티(23)를 자유롭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덮개부(40)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흡입통로(41)에 의해 집진실(24)의 캐비티(23)를 외부로 연결하며, 덮개부(40)는 외부케이스(21)와 힌지(42)의 결합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부(20)의 집진실(24)에는 그 하부 일측에 보조필터(50)가 장착되고, 이 보조필터(50)의 하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51)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모터(51)는 수분을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본체부(20)의 덮개부(40)에는 그 상부에 연결관(52)에 의해 호스(53)가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연결되고, 이 호스(53)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된다. 상기 호스(53)의 한쪽끝단에는 흡입노즐(54)이 장착되며, 이 흡입노즐(54)은 공기 및 수분을 함유하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이물질(W), 예를 들면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부터 유입한다. 상기 호스(53)와 흡입노즐(54)의 사이에는 통상의 손잡이부 및 연장관(도시하지 않음)들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부호 60은 본체부(20)의 집진실(24)로 유입되는 이물질(W)을 분쇄하기 위한 모터로서, 이 모터(60)는 내부케이스(22) 하부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60)의 회전력은 상호 대응하는 관계로 맞물림되는 한쌍의 클러치(61a,61b)를 갖는 회전축(62)에 전달되고, 이 회전축(62)의 끝단에는 분쇄칼날(63)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쇄칼날(63)은 집진통(3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며, 회전축(62)은 클러치(61a,61b)의 이격에 따라 집진통(30)과 함께 분리되고, 상기 클러치(61b)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측방향으로 탄력있게 작동된다.
부호 65는 이물질(W)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지 위한 모터이며, 이 모터(65)는 본체부(20)를 구성하는 덮개부(40)의 내부 상측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팬(Fan)(66)이 회전된다. 상기 팬(66)과 인접하여 히터(Heater)(67)가 설치되며, 이 히터(67)의 작동에 따라 팬(66)의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열이 전달된다.
한편, 본체부(20)의 집진실(24)내에는 가는관(70)의 한쪽끝단이 위치되도록 연결되고, 이 가는관(70)에는 흡입관 이물질(W)의 냄새가 정확되도록 냄새제거장치(71)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20)의 제2배기통로(27b)상에 필터(72)가 장착되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20)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73)가 감겨지는 코드릴(74)이 내장되고, 상기 본체부(20)의 하면에는 이동이 자유롭도록 바퀴(75)들이 설치되며, 본체부(20)는 통상의 조절스위치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기능 설정에 따라 흡입모터(51)가 구동되면, 상기 흡입모터(51)의 구동에 의해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같은 흡입모터(5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노즐(54)을 통하여 외부공기와 이물질(W)이 흡입되며, 이 이물질(W)은 호스(53) 및 덮개부(40)의 흡입통로(41)를 경유하여 집진실(24)에 설치된 집진통(30)내에 유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집진통(30)내에 일정량의 이물질(W)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W)의 중량에 의해 회전축(62)의 클러치(61a,61b)가 상호 맞물리고, 회전축(62)은 모터(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2)의 회전에 따라 분쇄칼날(63)이 회전되면서 유입된 이물질(W)을 분쇄하게 되며, 분쇄된 이물질(W)은 집진통(30)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W)에 함유된 수분은, 모터(65)의 구동에 따라 건조된다. 즉, 상기 모터(65)의 회전렉에 의한 팬(66)이 회전하여 공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팬(66)의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히터(67)로부터 열이 부여되면서 이물질(W)이 건조된다.
그리고, 이물질(W)이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는 집진통(30)의 관통공(31)을 통해 배기실(26)의 제1배기통로(27a)를 경유하게 되는 바, 상기 수증기는 제1배기통로(27a)를 경유하면서 냉각됨으로써, 다시 액화된 상태로 제1배기통로(27a)와 연결된 저장실(28)에 저장된다.
한편, 이물질(W)의 수분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분을 완전하게 건조시키지 못하게 되며, 상기 이물질(W)의 잔여수분은 집진통(30)의 관통공(31)을 통하여 흡입모터(51)에 흡입되고, 상기 흡입모터(51)는 수분을 배기실(26)의 제1배기통로(27a)로 바이패스시킨다.
이때, 내부케이스(22)의 보조필터(50)에 의해 공기 및 수분만이 통과되는 것이며, 이물질(W)의 수분은 제1배기통로(27a)를 경유하여 저장실(28)에 저장되며, 이와 같이 저장실(28)에 저장된 수분은 드레인콕(29)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이물질(W)의 건조는 분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분쇄가 완료된 후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분쇄 및 건조기능에 의해 이물질(W)의 집진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W)의 부패가 방지되며 후처리가 보다 간단해지는 것이다. 또한, 집진실(24)내로 유입된 공기는 가는관(70)을 통하여 냄새제거장치(71)에 유도되며, 상기 냄새제거장치(71)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W)로부터 발생하는 냄새가 제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배기통로(27a,27b)를 경유하면서 본체부(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배기통로(27b)상에 장착된 필터(72)에 의해 정화되어 냄새가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으로 청소가 완료된 다음에는 집진실(24)을 밀폐하고 있는 덮개부(40)를 열고, 상기 집진실(24)내에 설치된 집진통(30)을 분리시키면, 집진통(30)내의 이물질(W)은 분쇄 및 건조된 상태이므로 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분이 함유되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구조의 청소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화의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 이외에도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분쇄 및 건조하여 용이하게 집진시킴과 동시에, 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냄새가 완전하게 제거되어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의 청소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모터(51)의 구동에 따라 이물질(W)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수단과;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W)을 모터(6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분쇄칼날(63)에 의해 분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물질(W)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모터(65)의 구동에 의해 열품을 송풍시켜 건조하는 수단과; 상기 이물질(W)로부터 발생하는 냄새가 제거되어 본체부(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내부케이스(22)에 의해 상부가 트인 캐비티(23)를 가지는 집진실(24)과; 상기 집진실(24)과 내부격벽(25)에 의해 분리되어 공기 및 수분이 배출가능하도록 제1 및 제2배기통로(27a,27b)를 가지는 배기실(26)과; 상기 제1배기통로(27a)와 수분이 저장되도록 연결되며 저장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이콕(29)이 장착되는 저장실(28)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24)의 캐비티(23)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1)이 배열형성되는 집진통(30)이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집진실(24)의 캐비티(23)를 자유롭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덮개부(40)를 포함하고, 이 덮개부(40)는 집진실(24)의 캐비티(23)를 외부로 연결하는 흡입통로(41)를 가지도록 한 진공청소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집진실(24)에는 그 하부 일측에 보조필터(50)가 장착되며, 이 보조필터(50)의 하측에 흡입모터(51)가 설치되도록 한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본체부(20)의 상부와 연결관(52)에 의해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연결되며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는 호스(53)와, 이 호스(53)이 한쪽끝단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 및 이물질(W)을 유입시키는 흡입노즐(54)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본체부(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6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66)과, 상기 팬(66)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송풍되고 송풍되는 공기에 열을 부여하는 히터(67)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본체부(20)의 집진실(24)과 가는관(70)으로 연결되는 냄새제거장치(71)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W)의 냄새가 제거되도록 한 진공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본체부(20)의 제2배기통로(27b)에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72)가 장착되는 진공청소기.
KR1019940011599A 1994-05-27 1994-05-27 진공청소기 KR96000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599A KR960007456B1 (ko) 1994-05-27 1994-05-2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599A KR960007456B1 (ko) 1994-05-27 1994-05-2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963A KR950030963A (ko) 1995-12-18
KR960007456B1 true KR960007456B1 (ko) 1996-06-03

Family

ID=1938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599A KR960007456B1 (ko) 1994-05-27 1994-05-2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41B1 (ko) * 2005-08-13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963A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663B2 (ja) 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清掃システム
US20020129462A1 (en) Agitator drive configuration
US7188389B2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4833753A (en) Filter apparatus, in particular on vacuum cleaners
CA2427538C (en)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US7208024B2 (en) Floor care appliance with filter cleaning system
US20030024068A1 (en) Pivoting valve arrangement
US5727283A (en) Collection apparatus
KR20140036479A (ko) 진공청소기
CA1176411A (en) Debris collecting device
KR960007456B1 (ko) 진공청소기
GB2198930A (en) Suction cleaner
JP2000166826A (ja) 電気掃除機
JPH11253364A (ja) 電気掃除機
JP2007190234A (ja) 空気清浄機能付き塵埃収集装置
JPH1043096A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KR100662759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KR200473299Y1 (ko) 청소기 결합식 보풀 제거기
KR100219378B1 (ko) 공기 청정기를 갖는 청소기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KR20020064007A (ko) 진공청소기 보조필터장치
JPS592494B2 (ja) ア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KR20090017374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02156185A (ja) 厨芥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