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111Y1 - 고추 분쇄기 - Google Patents

고추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111Y1
KR960007111Y1 KR2019940006764U KR19940006764U KR960007111Y1 KR 960007111 Y1 KR960007111 Y1 KR 960007111Y1 KR 2019940006764 U KR2019940006764 U KR 2019940006764U KR 19940006764 U KR19940006764 U KR 19940006764U KR 960007111 Y1 KR960007111 Y1 KR 960007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screw
shaft
grinding blad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석
Original Assignee
강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석 filed Critical 강두석
Priority to KR2019940006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추분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쇄날 정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망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추분쇄기2,2' : 스크루
3 : 분쇄날4 : 축
5 : 통공6 : 회전축
7 : 망 8,8' : 풀리
9,9' : 벨트10 : 호퍼
71 : 유출공11 : 회전봉
본 고안은 고추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기 내부로 삽입되는 고추를 스크루가 신속히 분쇄날방향으로 이송시켜주면 보다 빨리 많은 양의 고추를 한번의 분쇄작용으로 고르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고추분쇄기는 내부에 장착된 스크루와 분쇄날이 하나의 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분쇄날과 스크루는 동일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고추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분쇄작용을 하였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호퍼로 주입된 많은 양의 고추는 스크루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날방향으로 신속히 이송시킨다 하여도 분쇄날은 스크루와 동일한 회전력을 갖고 회전하면서 분쇄를 하기 때문에 호퍼로 주입되는 고추를 미처 분쇄할 수가 없었으므로 분쇄되는 속도에 맞추어 고추를 호퍼로 주입시켜야만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고추를 분쇄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의 낭비를 가져옴은 물론 일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분쇄기 내부에서 고추를 분쇄하는 분쇄날만이 장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분쇄되는 고추는 분쇄가 일정하지 못해 분쇄된 고추를 두번, 세번 분쇄기에 넣어서 분쇄를 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함을 해결하고자 개량안출한 것으로서 스크루와 분쇄날의 회전력이 서로 다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분리하여 장착함으로써 호퍼로 주입되는 고추의 양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고추를 분쇄하는 분쇄날이 고추를 분쇄하면 분쇄된 고추만 망에 천공된 유출공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번에 고추를 고르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하나의 다른 목적은 분쇄날의 갯수를 달리한 분쇄날을 회전축선단에 2중에 3중으로 장착하여 고추를 분쇄함으로써 보다 더 섬세하게 고추를 고르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축(4)에 스크루(2)와 분쇄날(3)이 일체로 결합하여 내장된 고추분쇄기(1)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2)의 축(4) 내부로 통공(5)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회전축(6)을 삽입한 후 선단으로는 분쇄날(3)과 망(7)을 장착하고, 상기 망(7)은 각각 다수의 유출공(71)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축(6)과 스크루(2)의 축(4) 후단으로는 각각 풀리(8)(8')를 장착한 후 모우터의 회전축과 벨트(9)(9')를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스크루축(4)에 장착된 풀리(8)는 분쇄날(3)의 회전축(6)에 장착된 풀리((8') 보다 크게하여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추를 분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터(도시생략)에 전원을 공급하여서 모터축과 벨트(9)(9')로 연결된 회전축(6) 및 스크루축(4)을 작동시켜 놓는다. 그러면 스크루(2)의 회전속도와, 분쇄날(3)이 선단에 장착된 회전축(6)의 속도는 서로 다른 회전력 갖고 작동한다.
즉, 스크루의 축(4)에 장착된 풀리(8)는 크고 회전축(6)에 장착된 풀리(8')는 작기 때문에 모터의 동일회전속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6)은 스크루축(4)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분쇄기(1) 상단으로 형성된 호퍼(10)로 고추를 넣으면 스크루(2)의 회전에 의해서 고추분쇄기(1) 내부로 주입되는 고추는 분쇄날(3)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하게 된다. 고추가 분쇄날(3)에 도달하게 되면 고추는 분쇄날(3)에 의해서 분쇄가 되면서 전방의 망(7)에 형성된 유출공(71)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이때 분쇄가 잘 안된 고추는 유출공(71)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분쇄가 다된 후에야 망(7)에 형성된 유출공(71)을 통해 빠져나간다. 그러므로 고추는 고르게 분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출공(71)을 빠져나온 분쇄된 고추는 회전축(6) 첨단에 고착된 회전봉(11)이 회전하면서 고추를 배출구에 장착된 스크루(2')에 의해 배출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호퍼(10)내로 주입되는 고추는 계속해서 스크루(2)의 회전에 의해 분쇄날(3) 방향으로 이송되어도 이송되는 고추는 스크루(2)의 회전력보다 빠른 분쇄날(3)의 회전력에 의해서 신속히 고추를 분쇄하여 배출하게 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고추를 분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회전축(6) 선단으로 분쇄날(3)과 망(7)을 2중, 3중으로 장착하여 두면 고추는 상기의 작용과 같이 1차적으로 분쇄날(3)에 의해 분쇄된 고추가 망(7)에 형성된 유출공(71)을 통해 빠져나오면 다시 분쇄날에 의해서 2차분쇄가 되어 또다른 망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하여 빠져나가고 이와 같이 분쇄되어 나온 고추는 또다른 분쇄날에 의해서 3차분쇄가 이루어져 고추는 고르게 분쇄되어 또 다른 망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하여 빠져나가면서 분쇄된 고추는 배출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2중, 3중으로 회전축(6) 선단에 장착된 분쇄날(3)의 갯수는 분쇄작용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고 또 그 설치위치도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공의 크기에 따라 고추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루와 분쇄날의 회전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고추를 분쇄할 수 있어 일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나의 축(4)에 스크루(2)와 분쇄날(3)이 일체로 결합하여 내장된 고추분쇄기(1)에 있어서,
    상기 축(4) 내부에 통공(5)을 형성한 스크루(2)와,
    상기 통공(5)의 내부로 삽입된 회전축(6)과,
    상기 회전축(6)의 선단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분쇄날(3)과, 유출공(71)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망(7)과,
    상기 스크루축(4)과 회전축(6)의 후단으로 설치한 크기가 서로 다른 풀리(8)(8')에 벨트(9)(9')를 결합하여 스크루(2)와 분쇄날(3)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분쇄기.
KR2019940006764U 1994-03-31 1994-03-31 고추 분쇄기 KR960007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764U KR960007111Y1 (ko) 1994-03-31 1994-03-31 고추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764U KR960007111Y1 (ko) 1994-03-31 1994-03-31 고추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11Y1 true KR960007111Y1 (ko) 1996-08-22

Family

ID=1938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764U KR960007111Y1 (ko) 1994-03-31 1994-03-31 고추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1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110Y1 (ko) 고추분쇄기
CN100421802C (zh) 粉碎机
CN110252488B (zh) 一种石膏板废料粉碎分离装置
KR960007111Y1 (ko) 고추 분쇄기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20080107679A (ko) 폐비닐 분쇄기
KR200182514Y1 (ko) 분쇄기
KR950012298B1 (ko) 로우터리(rotary) 분쇄기
CN108705639A (zh) 树皮粉碎机
KR200252158Y1 (ko) 고추 분쇄 이송장치
CN208557853U (zh) 树皮粉碎机
KR100469759B1 (ko) 분쇄기
KR200303094Y1 (ko) 곡물용 분쇄기
KR200380605Y1 (ko) 분쇄이송부
CN218796225U (zh) 一种双旋转高效粉碎机
KR200204230Y1 (ko) 음식물 파쇄기
CN220371202U (zh) 粉碎机的粉碎装置
KR970005191Y1 (ko) 고추분쇄기
KR200167790Y1 (ko) 파쇄기의 파쇄판구조
CN211726029U (zh) 一种便于换刀的粉碎机
CN210303889U (zh) 一种锤式粉碎机
KR200248324Y1 (ko) 곡물분쇄기
KR200375515Y1 (ko) 목재파쇄기
CN207769973U (zh) 一种滚刀式粉碎机
KR200171106Y1 (ko) 고추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