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32Y1 -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32Y1
KR960007032Y1 KR2019940007602U KR19940007602U KR960007032Y1 KR 960007032 Y1 KR960007032 Y1 KR 960007032Y1 KR 2019940007602 U KR2019940007602 U KR 2019940007602U KR 19940007602 U KR19940007602 U KR 19940007602U KR 960007032 Y1 KR960007032 Y1 KR 960007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exhaust
layer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392U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2019940007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32Y1/ko
Publication of KR95003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A-A종 단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B-B종 단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A-A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물발효기11 : 발효기 캐비넷
12 : 발효조13 : 교반기
14 : 흡입구15 : 배기구
16 : 송풍기17 : 연결호스
18 : 투입구19 : 취출구
20 : 급수깔대기21 : 연결호스
22 : 밸브23 : 연결호스
25 : 급수구30 : 탈취장치
31 : 탈취캐비넷32 : 피토무스
33 : 다공격판34 : 유입구
35 : 물유입구36 : 배기, 배수구
37 : 배기배수호스38 : 물
40 : 분진필터세트41 : 필터통
42 : 필터43 : 배기연결관
44 : 결로수배수관45 : 수중펌프
46 : 급수호스47 : 살수파이프
48 : 필터스폰지49 : 고형토양미생물
50 : 배기구51 : 배기호스
52 : 결로수 배수구53 : 결로수 배수관
54 : 배기가스 누출방지장치
본 고안은 음식찌꺼기등의 유기물을 발효하여 비료, 사료로 사용하거나 처리할수 있도록한 유기물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원이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 발효시 발생되는 악치를 탈취할 수 있도록 한 탈취장치를 내장한 유기물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식찌꺼기등 유기물의 폐기물은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유기폐기물들은 최근에 심각하게 대두되고있는 식수오염의 주범이 되어 심각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4년 9월부터는 음식찌꺼기를 사료화, 퇴비화하여 재활용하도록 의무화까지 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유기폐기물을 발효처리하여 비료, 사료로 사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기물의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기물의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료, 사료를 얻을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유기물발효장치를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483호로 출원한바 있으며 또한 이러한 유기물발효장치의 발효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유기물발효기용 탈취장치를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173호로 출원한바 있으며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에 대해서도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771로 출원한 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선출원한 탈취장치를 더욱 개량하여 탈취효과를 높이도록한 탈치장치를 내장한 유기물발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정면 중앙부에 취출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유기물 투입구와 급수구가 설치된 발효기 캐비넷 내부의 발효조 하부에 그 내부에는 그 종단면적을 막아주는 피토무스층과 필터층을 다공격판 사이에 다층 설치하여 그 필터층의 최상부에는 수중펌프로 품어 올리는 물을 필터층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는 살수파이프를 설치하여, 그 하부에는 항상 물이 고여있어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물과 그 물속에 고형토양미생물을 설치하고, 일측면 하단에서 약간 상부에 배기배수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분진필터세트. 결로수배수관이 하부에 설치된 배기연결관. 발효가스 배기송풍기와 배기호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구와 급수깔대기와 밸브가 순차적으로 연결호스로 연결된 물유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물발효가스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발효기용 탈취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단측면도이고, 제3도는 종단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바와 같이 정면중앙부에 취출구(19)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투입구(18)와 급수구(25)가 설치된 유기물발효기(10)의 발효기캐비넷(11) 내부의 발효조(12)하부에 탈취장치(30)를 설치한 것이다.
즉, 정면 중앙부에 취출구(19)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투입구(18)가 급수구(25)가 설치된 유기물발효기(10)의 발효기캐비넷(11) 내부의 발효조(12)하부에 그 내부가 그 내부 종단면적을 막아주는 탈취토양미생물이 공급된 피토무스(32)층과 필터스폰지(48)층이 ㄷ자형 다공격판(33)의 사이에 다층 설치되고 그 필터스폰지(48)층의 최상부에는 수중펌프(45)로부터 품어올리는 물(38)을 필터스폰지(48)층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는 살수파이프(47)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항상 물(38)이 고여 있을 수 있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물(38)과 그 물(38)속에 고형토양미생물(49)이 설치되고 그 일측면하단에서 약간 상부에 배기. 배수구(36)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필터(42)와 필터통(41)으로 구성된 분진필터세트(40). 결로수배수관(44)이 하부에 설치된 배기연결관(43), 발효가스 배기송풍기(16)와 배기연결호스(17)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구(34)와 급수깔대기(20)와 밸브(22)가 순차적으로 연결호스(21, 23)로 연결된 물 유입구(35)가 설치된 탈취장치(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기물발효기(10)의 발효조(12)에는 교반기(13)흡입구(14)배기구(15) 송풍기(16)와 가열히타, 구동모타, 단열재 조작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데 본 출원인이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483호로 출원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의 탈취과정을 설명한다.
유기물발효기(10)의 발효조(12)내부에서 유기물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40℃~70℃정도의 고온다습한 악취발효가스가 송풍기(16)의 구동에의해 분진필터세트(40)의 배기구(15) 배기연결관(43) 배기호스(17) 유입구(34)를 통해 탈취장치(30)의 일측 내부로 압송되어 다층의 다공격판(33)의 내부에 설치된 탈취토양미생물이 공급된 피토무스(32)와 토양미생물이 녹아있는 물(38)이 수중펌프(45)에 의해 살수되고 있는 필터스폰지(48)층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탈취장치(30)의 반대편 일측단으로 압송되어 배기배수구(36)와 배기배수호스(37)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고온다습한 악취발효가스중 냄새성분은 피토무스(32)와 필터스폰지(48)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탈취가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다습한 수증기중 많은 량이 물로되어 탈취장치(30)의 하부로 내려가서 배기배수구(36)를 통해 배수가 된다.
발효가 완료되어 건조공정의 마지막 고정에 들어가게 되면 발효가스가 고온건조하게 되어 피토무스(32)와 필터스폰지(48)로 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어 물(38)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 물을 보충해주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급수구(25)에 물을 급수하여야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종단측면도이다.
상기 고안의 발효조(12) 하부에 그 내부가 그 횡단면적을 막아주는 다공격판(33)이 다층 설치하고 그 제일 하단의 다공격판(33)의 상부에는 필터스폰지(48)와 그 위에 수중펌프(45)로 부터 품어 올리는 물(38)을 필터스폰지(48)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는 살수파이프(47)가 설치되고 그 상단의 다공격판(33)들의 상부에는 탈취토양미생물이 공급된 피토무스(32)층이 다층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항상 물(38)이 고여있을 수 있어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물(38)과 그 물(38)속에 고형토양미생물(49)이 설치되고 그 일측면 하단에서 약간 상부에 결로수 오버후로우배수구인 수압에 의한 배기가스 누출방지장치가 설치된 결로수배수구(52)와 배기 가스 유입구(34)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배기구(50)와 물 유입구(3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의 탈취과정은 <제2도> <제3도>의 고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피토무스에 공급된 탈취토양미생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토양탈취미생물의 탈취작용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이므로 화학탈취방법에서와 같이 주기적으로 탈취제를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발효기의 상부에 탈취장치를 설치하였을 때의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관도 좋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발효기의 외관상 탈취장치를 내장하였으나 발효기가 커지게 되면 본 고안의 탈취장치를 발효기의 상부나 별도로 독립시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정면 중앙부에 취출구(19)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투입구(18)와 급수구(25)가 설치된 유기물발효기(10)의 발효기캐비넷(11) 내부의 발효조(12)하부에 그 내부가 그 내부 종단면적을 막아주는 탈취토양미생물이 공급된 피토무스(32)층과 필터스폰지(48)층이 ㄷ자형 다공격판(33)의 사이에 다층 설치되고 그 필터스폰지(48)층의 최상부에는 수중펌프(45)로부터 품어올리는 물(38)을 필터스폰지(48)층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는 살수파이프(47)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항상 물(38)이 고여있을 수 있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물(38)과 그 물(38)속에 고형토양미생물(49)이 설치되고 그 일측면하단에서 약간상부에 배기 배수구(36)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필터(42)와 필터통(41)으로 구성된 분진필터세트(40) 결로수배수관(44)이 하부에 설치된 배기연결관(43), 발효가스 배기송풍기(16)와 배기연결호스(17)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구(34)와 급수깔대기(20)와 밸브(22)가 순차적으로 연결호스(21, 23)로 연결된 유입구(35)가 설치된 탈취장치(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효조(12) 하부에 그 내부가 그 횡단면적을 막아주는 다공격판(33)이 다층 설치되고 그 제일하단의 다공격판(330의 상부에는 필터스폰지(48)와 그 위에 수중펌프(45)로 부터 품어올리는 물(38)을 필터스폰지(48)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는 살수파이프(47)가 설치되고 그 상단의 다공격판(33)들의 상부에는 탈취토양미생물이 공급된 피토무스(32)층이 다층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항상물(38)이 고여있을 수 있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물(38)과 그 물(38)속에 고형토양미생물(49)이 설치되고 그 일측면 하단에서 약간 상부에 결로수 오버후로우 배수구인 수압에 의한 배기가스 누출방지장치가 설치된 결로수 배수구(52)와 배기가스 유입구(34)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배기구(50)와 물유입구(35)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30)의 상부에 급수 깔대기(20)와 밸브(22)가 순차적으로 연결호스(21, 23)로 연결된 물유입구(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물발효가스 탈취장치.
KR2019940007602U 1994-04-13 1994-04-13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KR960007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602U KR960007032Y1 (ko) 1994-04-13 1994-04-13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602U KR960007032Y1 (ko) 1994-04-13 1994-04-13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92U KR950030392U (ko) 1995-11-20
KR960007032Y1 true KR960007032Y1 (ko) 1996-08-16

Family

ID=1938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602U KR960007032Y1 (ko) 1994-04-13 1994-04-13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92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616B1 (ko)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CN207533053U (zh) 一种恶臭废气生物净化装置
KR100224502B1 (ko) 하수 및 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JP4418886B2 (ja) 吸引通気式堆肥製造施設の排気処理装置及び排気処理方法
KR20020073971A (ko)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960007032Y1 (ko)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CN210473595U (zh) 一种高效生物除臭装置
KR970010844B1 (ko)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CN210125294U (zh) 一种污水站生物除臭系统
CN2710779Y (zh) 厨余有机垃圾生物处理机
CN110893317A (zh) 一种生物法处理臭气的净化设备
KR960001595Y1 (ko)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KR10023164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기 가동시 발생하는 악취 탈취 장치
CN208177236U (zh) 一体式生物除臭装置
KR10083996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0070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가스 탈취방법
KR100302120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CN211159280U (zh) 一种组合式生物除臭装置
CN211987999U (zh) 一种生物法处理臭气的净化设备
CN220834938U (zh) 一种污水处理厂生物除臭设备
CN109647178A (zh) 一种有机肥厂发酵车间除臭工艺
CN220878328U (zh) 一种错层式生物滤床除臭装置
KR20000053888A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CN1149865A (zh) 用于将有机物质,特别是废弃物制成堆肥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