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95Y1 -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95Y1
KR960001595Y1 KR2019930005173U KR930005173U KR960001595Y1 KR 960001595 Y1 KR960001595 Y1 KR 960001595Y1 KR 2019930005173 U KR2019930005173 U KR 2019930005173U KR 930005173 U KR930005173 U KR 930005173U KR 960001595 Y1 KR960001595 Y1 KR 960001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organic
deodorizing
cabinet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660U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2019930005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595Y1/ko
Publication of KR940022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탈취장치가 적용된 유기물 발효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물 발효기 11 : 발효기 캐비넷
14 : 배기구 20 : 탈취장치
21 : 탈취 캐비넷 22 : 격판
25 : 배기구 26 : 미생물 배양수
27 : 다공판 28 : 토양미생물 필렛
29 : 피토무스 30 : 송풍기
31 : 송풍관 32 : 확산판
33 : 결로수 배출관 35 : 드레인관
37 : 덮개 40 : 살수관
40 : 지렁이 배설물 41 : 통기성 케이스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물을 발효하여 사료로 사용하거나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원이나 동력을 상용하지 않고 유기물 발효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식물 찌꺼기 등 유기물의 폐기량은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이들의 처리는 심각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은 유기물 폐기물을 발효처리하여 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기물의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료를 얻을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유기물 발효장치를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87호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에 의한 유기물 발효장치는, 외부캐비넷의 내부에 다공판재로 성형된 발효조를 설치하여 그 주위에 형성되는 재킷에 발효촉진제를 충전하고, 발효조 내부에는 교반기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부에 설치된 투입구를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물을 투입하고 교반기를 회전시키면 투입된 유기물이 교반되면서 발효가 진행되며 발효된 유기물은 전면 하부에 설치된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발효조내의 배기가스를 탈취처리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효조에서의 배기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계통에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탈취한 후 배기함으로써 주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화학탈취방법과, 연소탈취방법이 적용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화학탈취방법을 이용한 것에 있어서는 주기적으로 탈취제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유지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연소탈취방법을 이용한 것에 있어서는 고온으로 연소시켜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이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유지비용이 절감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기물 발효기를 발효기 캐비넷의 일측 상면에 그 내부가 격판에 의하여 상, 하부실로 구획되고 상단에는 배기구가 설치된 탈취캐비넷을 설치하여 상부실내에는 미생물 배양수를 담수하고 그 위에는 간격을 두고 다공판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토양미생물 필렛과 피토무스를 순차 적층하며, 하부실에는 발효기 캐비넷의 상면에 천공된 배기구에 연결된 송풍기를 설치하여 이 송풍기의 토출구에는 송풍관을 연결하여 그 상단을 다공판의 직하부에 위치까지 연장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단측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물 발효기(10)의 발효기 캐비넷(11)의 일측 상면에 탈취장치(20)를 설치한 것이다.
즉, 유기물 발효기(10)의 발효기 캐비넷(11)의 일측 상면에 그 내부가 격판(22)에 의하여 상, 하부실(23)(24)로 구획되고 상단에는 배기구(25)가 설치된 탈취캐비넷(21)을 설치하여 상부실(23)내에는 미생물 배양수(26)를 담수하고 그 위에는 간격을 두고 다공판(27)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토양미생물 필렛(28)과 피토무스(29)를 순차 적층하며, 하부실(24)에는 발효기 캐비넷(10)의 상면에 천공된 배기구(14)에 연결된 송풍기(30)를 설치하여 이 송풍기(30)의 토출구에는 송풍관(31)을 연결하여 그 상단을 다공판(27)의 직하부에 위치까지 연장설치한 것이다.
상기 유기물 발효기(10)는 상면에 유기물 투입구 개폐문(12)이 정면에는 발효된 유기물 취출구 개폐문(13)이 설치된 발효기 캐비넷(11)과, 이 발효기 캐비넷(11)의 내부에 설치된 발효조(15)와, 발효기 캐비넷(11)과 발효조(15)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물 발효촉진제 충전실(16)과, 발효조(15)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기(17)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송풍관(31)의 상단에는 송풍되는 배기가스를 하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원추형 확산판(32)을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의 확산을 도모하여 미생물 배양수(26)와 배기가스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겋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22)에는 그 상단이 다공판(27)의 하부에 이르는 결로수 배출관(33)을 관통설치하여 그 하단에는 배수호스(34)를 연결하여 유기물 발효기(10)의 하부로 도출함으로써 미생물 배양수(26)의 수면과 다공판(27) 사이의 배기가스중에서 결로된 결로수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22)에는 드레인관(35)을 설치하고 그 중간에 드레인밸브(36)를 설치하여 하단에는 드레인호스(37)을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미생물 배양수(26)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기구(25)에는 덮개(38)를 힌지(39)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배기되는 배기량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캐비넷(20)의 상부공간내에는 살수수단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토양미생물 필렛(28)과 피토무스(29)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살수사단으로서 다수개의 살수공이 천공된 살수관(40)이 탈수캐비넷(20)에 횡으로 관통설치되며 수도꼭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호스(41)와 밸브(4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는 유기물 발효기(10)에서 유기물이 발효되는 과정에는 발생되는 40˚∼70℃의 배기가스가 배기구(14)를 통하여 배기되면 송풍기(30)에 의하여 흡입되어 그 토출구에 연결된 송풍관(31)을 통하여 상부실(23)에 설치된 다공판(27)과 미생물 배양수(26)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된다.
이때 송풍관(31)에서 송풍되는 배기가스는 그 상단에 설치된 원추형 확산판(32)에 의하여 하방으로 확산되어 미생물 배양수(26)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송풍관(31)에서 다공판(27)과 미생물 배양수(26)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된 배기가스는 미생물 배양수(26)과 접촉되어 1차 탈취가 이루어지며, 1차 탈수처리된 배기가스는 다공판(27)을 통하여 토양미생물 필렛(28)을 통과하면서 2차 탈취처리되며, 다시 피토무스(29)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3차 탈취처리되어 탈취캐비넷(21) 상단에 설치된 배기구(25)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생물 배양수(26)에는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며 배기가스와의 접촉에 의하여 미생물이 활발하게 번식하게 되는 한편, 상기 피토무스(29)는 토양미생물의 번식에 적합한 조직을 가지고 있는바, 이 피토무스(29)와 토양미생물 필렛(28)을 근접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토양미생물이 자체적으로 번식할 수 있게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탈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탈취과정에서 미생물 배양수(26)과 다공판(27) 사이에서 결로된 결로수는 결로수 배출관(33)과 배수호스(3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미생물 배양수(26)를 일부 모두 배출할 경우에는 드레인밸브(36)을 개방하여 드레인호스(3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탈취가 진행됨에 따라 토양미생물 필렛(28)가 피토무스(29)에는 많은 악취성분이 포집되어 탈취성능이 저하되면 살수밸브(42)를 열어 살수관(40)에서 살수되게 하여 세척하며, 이때 살수된 물은 피토무스(29)와 토양미생물 필렛(28)을 통과하여 격판(22)에 고이게 되므로 드레인밸브(36)을 열어 드레인관(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토무스(29)의 상부에 저렁이 배설물(43)을 적층함으로써 탈취효과를 더욱 상승시킨 것이며, 여타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양미생물 필렛(28)과 피토무스(29) 및/ 또는 지렁이 배설물(43)을 다공부재로 된 통체 또는 자루 등으로 된 다공성 케이스(44)로 감싸서 하나의 탈취부재유닛을 구성하여 이들의 교체시 일체로 교체함으로써 유지,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미생물 배양수와 토양미생물 필렛과 피토무스 및 지렁이 배설물의 탈취작용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이므로 화학탈취방법에서와 같이 주기적으로 탈취제를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온으로 연소시켜야 하는 연소탈취방법에서와 같은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면서도 효과적인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들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7)

  1. 유기물 발효기(10)의 발효기 캐비넷(11)의 일측 상면에 그 내부가 격판(22)에 의하여 상, 하부실(23)(24)로 구획되고 상단에는 배기구(25)가 설치된 탈취캐비넷(21)을 설치하여 상부실(23)내에는 미생물 배양수(26)를 담수하고 그 위에는 간격을 두고 다공판(27)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토양미생물 필렛(28)과 피토무스(29)를 순차적층하며, 하부실(24)에는 발효기 캐비넷(10)의 상면에 천공된 배기구(14)에 연결된 송풍기(30)를 설치하여 이 송풍기(30)의 토출구에는 송풍관(31)을 연결하여 그 상단을 다공판(27)의 직하부에 위치까지 연장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31)의 상단에는 송풍되는 배기가스를 하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원추형 확산판(32)을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의 확산을 도모하여 미생물 배양수(26)와 배기가스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22)에는 그 상단이 다공판(27)의 하부에 이르는 결로수 배출관(33)을 관통 설치하여 그 하단에는 배수호스(34)를 연결하여 유기물 발효기(10)의 하부로 도출함으로써 미생물 배양수(26)의 수면과 다공판(27) 사이의 배기가스중에서 결로된 결로수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22)에는 드레인관(35)을 설치하고 그 중간에 드레인밸브(36)를 설치하며 하단에는 드레인호스(37)을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미생물 배양수(26)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무스(29)의 상부에 지렁이 배설물(43)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캐비넷(21)의 상단 공간부에는 다수개의 살수공이 천공된 살수관(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미생물 필렛(28)과 피토무스(29) 및/또는 지렁이 배설물(43)을 다공성 케이스(44)로 감싸서 하나의 탈취부재유닛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KR2019930005173U 1993-03-31 1993-03-31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KR960001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173U KR960001595Y1 (ko) 1993-03-31 1993-03-31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173U KR960001595Y1 (ko) 1993-03-31 1993-03-31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60U KR940022660U (ko) 1994-10-20
KR960001595Y1 true KR960001595Y1 (ko) 1996-02-21

Family

ID=1935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173U KR960001595Y1 (ko) 1993-03-31 1993-03-31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5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06B1 (ko) * 2001-09-20 2005-07-12 양사헌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가스 탈취방법
KR20010107882A (ko) * 2001-11-06 2001-12-07 손희정 분변토와 우드칩을 이용한 서랍식 다단계형 악취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60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0196A1 (zh) 一种畜禽养殖场臭气烟气治理系统及方法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CN210506125U (zh) 餐厨垃圾处理装置
KR101870797B1 (ko) 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건조와 악취를 제거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
CN112806888A (zh) 生物降解装置、智能生态环保厕所及人体排泄物生态处理方法
CN101433802B (zh) 一体式折流生物反应器废气处理设备及废气处理方法
KR20080111356A (ko) 발효조의 공기 순환시스템
CN201073591Y (zh) 一种新型恶臭废气生物净化装置
KR960001595Y1 (ko)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CN208928829U (zh) 一种集合式生化仓
CN210473595U (zh) 一种高效生物除臭装置
CN1528689A (zh) 用微生物处理粪尿的免水冲厕所
KR1999003946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208928830U (zh) 一种集合式生化仓
CN113171683A (zh) 生物催化反应环保型除臭装置及其除臭方法
KR100653140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이중 밀폐구조
KR100302120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CN2360365Y (zh) 臭氧灭菌除臭垃圾箱
KR100263662B1 (ko) 유기물 발효기용 탈취장치
KR970025741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기 가동시 발생하는 악취 탈취장치
CN113287962B (zh) 一种集成生物膜尾气处理装置的粪尿分集堆肥厕所
CN217600613U (zh) 一种家用有机垃圾的沤肥堆肥两用生态处理装置
CN218795082U (zh) 一种节能型自适应生物除臭装置
KR960007032Y1 (ko) 탈취장치가 내장된 유기물발효장치
JPH09174027A (ja) 有機物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