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947Y1 - 전원 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947Y1
KR960006947Y1 KR2019930022379U KR930022379U KR960006947Y1 KR 960006947 Y1 KR960006947 Y1 KR 960006947Y1 KR 2019930022379 U KR2019930022379 U KR 2019930022379U KR 930022379 U KR930022379 U KR 930022379U KR 960006947 Y1 KR960006947 Y1 KR 960006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voltage
unit
inrush curr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843U (ko
Inventor
안기혁
일 박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한국전기통신공사
이 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한국전기통신공사, 이 준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2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947Y1/ko
Publication of KR950012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원 안정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안정화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 안정화장치200 : 쉘프(Shelf)
10 : 돌입전류 방지부20 : 노이즈 필터부
30 : 퓨즈부R1-R3 : 저항
ZD : 제너 다이오드D : 다이오드
L1, L2 : 콘덴서C1 - C3 : 콘덴서
F1 : 퓨즈FET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B1 - Bn : 가입자 보드01 - On : 온보드 파워
본 고안은 교환기등의 내부 프로세서 보드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보드 파워를 사용하는 각 프로세서 보드로 파워 노이즈 및 과전압 등이 제거된 안정된 전원을 제공해주기 위한 전원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대형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내부 프로세서 보드를 일정갯수를 묶는 형식 즉, 쉘프(Shelf)단위로 구성하고서 파워용량이 큰 파워팩을 구비하여 각 쉘프로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방식과 각 내부 프로세서 보드내에 온보드 파워를 장착하고 시스템내부전원을 쉘프를 통해 각 온보드 파워에 연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내부프로세서 보드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방식중 파워팩에 의한 전원공급방식은 각 쉘프단위의 파워제어는 가능하였지만 파워팩의 구비에 따른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온보드파워에 의한 전원공급방식은 파워팩의 구비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은 절감되었으나 시스템 내부 전원이 각 프로세서 보드의 온보드 파워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작스런 전원의 변동이나 전원공급중에 발생하는 파워노이즈 등에 의한 불안정한 전원이 각 내부 프로세서로 유입될 수 있고, 각 쉘프단위의 파워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작스런 전원의 변동이나 전원공급중에 발생하는 파워노이즈 등에 의한 불안정한 전원을 제거하여 온보드 파워를 사용하는 일정수의 프로세서 보도로 이루어진 각 쉘프로 안정된 전원을 제공해주기 위한 전원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임의의 한 시스템내에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각 프로세서 보드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내부전원의 급격한 레벨변동시 발생하는 과전류를 방지해주는 돌입전류 방지부와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시스템의 내부 전원이나 상기 프로세서 보드에서 발생하는 일정 주파수 이상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필터부, 및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와 노이즈필터부를 거쳐 시스템의 내부전원으로 부터 인가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을 차단시켜주는 차단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안정화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온 보드 파워(O1∼On)를 사용하고 교환기 가입자의 통화상태 감시 및 가입자회선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등을 수행하는 가입자보드(B1∼Bn)와, 상기 가입자보드(B1∼Bn)가 실장되는 쉘프(200)와, 교환기 내부전원(Vs)의 온 오프시나 레벨변동시 발생하는 과전류유입을 방지해주는 돌입전류 방지부(10)와 상기 쉘프(200)에 장착된 가입자보드(B1∼Bn) 또는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10)를 통해 교환기 내부전원(Vs)으로 부터 발생되는 파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부(20) 및 일정수준이상의 과전류 및 과전압을 차단해주는 퓨즈부(30)로 구성된 전원 안정화장치(10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10)는 교환기 내부전원(Vs)의 전압을 분배해주는 저항(R1, R3)과, 항복현상에 의해 상기 저항(R1, R3)에서 분배된 전압중 A와 B점압을 일정하게 해주는 제너 다이오드(ZD)와 역전압을 방지해주는 다이오드(D)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양단의 전압을 축적하는 콘덴서(C1)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현상이후 콘덴서(C1)에서 제공한 전압을 게이트와 소스단자를 통해 인가받아 소스와 드레인단자 간의 전류를 도통시켜주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필터부(20)는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10)로 부터 또는 상기 쉘프(200)에 장착된 가입자보드(B1∼Bn)로 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C2, C3)와 상기 콘덴서(C2, C3)에서 고주파의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유입된 고주파의 노이즈를 상기 콘덴서(C2, C3)측으로 향하도록 해주는 코일(L1, L2)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부터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안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 내부전원(Vs)으로 부터 소정 음전압이 돌입전류 방지부(10)의 입력단에 인가되면 저항(R1, R3)에 의해 전압분배되어 소정 음전압중 일정 전압이 저항(R3)양단에 걸리고 나머지 전압은 저항(R1) 양단에 걸리게된다.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은 교환기 내부전원(Vs)이 정상일때 저항(R1) 양단에 걸리는 전압보다 낮게 설정되있고 C점과 B점간에는 소정 음전압, 즉 C점의 전위가 B점의 전위보다 높기때문에 제너 다이오드(ZD)는 항복현상을 일으킨다.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현상으로 콘덴서 (C1)에는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이 축적되고 콘덴서(C1)에서 축적된 전압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와 소스단자간에 걸리게 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소스와 드레인간이 도통된다.
이때, 만약 교환기 내부전원(Vs)에서 공급되는 전압레벨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변동하게 되면 제너 다이오드(ZD)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만이 증가될뿐 제너 다이오드(ZD) 양단의 전압은 항복전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돌입전류 방지부(10)의 출력단에는 전압레벨의 순간적인 변동에 따른 과전류는 나타나지 않는다.
노이즈 필터부(20)의 입력단은 돌입전류 방지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있고 출력단은 퓨즈부(30)를 통해 쉘프(200)에 장착된 가입자보드(B1∼Bn)의 온보드 파워(O1∼On)과 연결되었는데, 코일( L1,L2)은 그 특성상 높은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유입되면 큰 임피던스를 갖게 되고 낮은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유입되면 임피던스가 작아지므로 가입자보드(B1∼Bn)의 각 온보드 파워(O1∼On)로 정상적인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는 작은 임피던스를 갖는다.
또한, 콘덴서(C2, C3)는 그 특성상 높은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유입되면 작은 임피던스를 갖고, 낮은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유입되면 높은 임피던스를 갖게되므로 가입자보드(B1∼Bn)의 각 온보드 파워(O1∼On)로 정상적인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커져 노이즈 필터부(20)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두단자사이가 쇼트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교환기 내부전원(Vs)이나 쉘프(200)에 장착된 가입자보드(O1∼On)로 부터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에는, 노이즈 필터부(2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노이즈가 인가되는데, 이때 노이즈를 고주파의 전기신호로 본다면 콘덴서(C2, C3)는 고주파의 전기신호 인가에 의해 낮은 임피던스를 갖게되고, 코일(L1, L2)은 고주파의 전기신호 인가에 의해 높은 임피던스를 갖게된다.
그러므로 교환기 내부전원(Vs)으로 부터 노이즈 필터부(20)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노이즈 콘덴서(C2)에 의해 바이패스되어 소멸되고, 가입자보드(O1∼On)로 부터 노이즈 필터부(20)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노이즈는 콘덴서(C3)에 의해 바이패스되어 소멸된다.
퓨즈부(30)의 퓨즈(F1)는 최대정격전압 및 정격전류를 가지고 있어, 교환기 내부전원(Vs)에서 유입되는 전류와 전압이 정격이상이 되면 단락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급작스런 전원의 변동이나 전원공급중 발생하는 파워 노이즈등에 의한 불안정환 전원을 제거하여 온보드 파워를 사용하는 프로세서 보드가 장착된 각 쉘프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해 주기때문에 각 프로세서 보드의 성능과 신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임의의 한 시스템에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각 프로세서 보드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차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내부전원의 급격한 레벨변동시 발생하는 과전류를 방지해주는 돌입전류 방지부와 ;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시스템 내부전원이나 상기 프로세서 보드에서 발생하는 일정주파수이상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필터부 ; 및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와 노이즈필터부를 거쳐 시스템 내부전원으로 부터 인가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을 차단시켜주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는 교환기 내부전원의 인가받는 제1저항과 ;
    상기 제1 저항의 출력전압을 인가받는 제3 저항과 ;
    상기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저항에 인가하는 제너 다이오드와 ;
    상기 제너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인가받는 콘덴서와 ;
    상기 콘덴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단에 인가받고 출력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역전압을 방지해주는 다이오드와 ;
    상기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단에 인가받아 출력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저항 ;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현상이후 콘덴서에서 제공한 전압을 게이트와 소스단자를 통해 인가받아 소스와 드레인단자 간의 전류를 도통시켜주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를 거쳐 인가되는 상기 시스템의 내부전원과 상기 프로세서 보드에서 유입되는 일정주파수 이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소정갯수의 콘덴서와 ;
    상기 콘덴서 측으로 상기 일정주파수 이상의 노이즈가 유도되도록 해주는 소정갯수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정화장치.
KR2019930022379U 1993-10-29 1993-10-29 전원 안정화장치 KR960006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379U KR960006947Y1 (ko) 1993-10-29 1993-10-29 전원 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379U KR960006947Y1 (ko) 1993-10-29 1993-10-29 전원 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43U KR950012843U (ko) 1995-05-17
KR960006947Y1 true KR960006947Y1 (ko) 1996-08-12

Family

ID=193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379U KR960006947Y1 (ko) 1993-10-29 1993-10-29 전원 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9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43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5875B2 (ja) 電源制御回路及び電源制御回路を備えた電子制御装置
US7031130B2 (en)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a voltage source and a load supplied thereby
US5914545A (en) Switching device with power FET and short-circuit detection
US5087871A (en) Power supply with inrush current limiter
JPS63171119A (ja) 突入電流制限および過電圧保護回路装置
US5822166A (en) DC power bus voltage transient suppression circuit
US4914540A (en) Overvoltage-protective device
EP1456925B1 (en) A polarity protection implemented with a mosfet
US5333105A (en) Transient voltage protector
US20010012192A1 (en) Active current limiter
US8649145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limiting a voltage
KR19990023672A (ko) 컨버터 회로 장치
US7408396B2 (en)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US20120293903A1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inrush current prevention circuit
US5625518A (en) Clamping circuit with reverse polarity protection
US6819535B2 (en) Device for protecting loads supplied by an alternator
KR960006947Y1 (ko) 전원 안정화장치
US20040042135A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nd/or regulating supply voltages
JP2007306789A (ja) 保護回路、電子回路および制御装置
KR101996614B1 (ko) 역기전력 보호 회로
CN110474309B (zh) 抑制涌浪电流的电路
KR100462880B1 (ko) 돌입 전류 방지 회로
KR100202942B1 (ko) 모니터의 고압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JPH0847171A (ja) 過電圧保護方法および過電圧保護装置
KR0119997B1 (ko) 전력선로의 서지전압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