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937B1 -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 Google Patents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937B1
KR960006937B1 KR1019930028343A KR930028343A KR960006937B1 KR 960006937 B1 KR960006937 B1 KR 960006937B1 KR 1019930028343 A KR1019930028343 A KR 1019930028343A KR 930028343 A KR930028343 A KR 930028343A KR 960006937 B1 KR960006937 B1 KR 96000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base
substrate
rotating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736A (ko
Inventor
장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937B1/ko
Publication of KR95001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제1도는 일반적인 로터리 엔코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슬라이드 콘텍트를 나타낸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결합 구성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01 : 구획벽
102 : 격벽 103 : 삽입구멍
104,203,305,305A : 고정구멍 200 : 회전부재A
200A : 회전부재B 202,202A : 축고정보스
204,204A,500,504A : 요철부 300 : 기판A
300A : 기판B 301,301A : 축통과공
400 : 습동자A 400A : 습동자B
500 : 클릭부 501 : 리프스프링
본 발명은 로터리 엔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축에 복수개의 구동물이 설치 될 경우 내외측의 구동물 각각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엔코더는 모터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해서 그 모터의 구동에 따른 구동물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로 개방되어지고 속이빈 중앙부에에 축이 유설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공(1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진 축봉(11)이 구비된 케이싱부(1)와, 상기 케이싱부(1)이 삽입공(10)에 삽입되어져 모터축(미도시됨)과 축이음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회전축(2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3)상부에는 중심축(22)을 중심으로 코드패턴(Code pattern)형상을 이루도록 금속을 몰딩하여 세레이션(20)과 슬라이드 접촉면(21)으로 분리되어 갖추어진 작동부(2)와, 상기 작동부(2)상면의 중심축(2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2)의 구동시 세레이션(20)과의 접촉에 의한 클릭(Click)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외곽에 다수의 돌기(30)가 갖추어진 클릭부(3)와, 상기 클릭부(3)상부에 위치되어지고, 단자(40),(40A),(40B)및 슬라이드 콘텍트(Slide Contact)(41)가 몰딩되어 상기 작동부(2)의 구동에 의한 슬라이드 접촉면(21)과의 접촉으로 소정의 코드(Code)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 기판부(4)와, 상기 기판부(4)상부로 씌워져 상기 부품등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덮개부(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터리 엔코더는 모터의 구동에 따른 작동부(2)의 구동시 코드패턴 형상의 금속으로 몰딩된 슬라이드 접촉면(21)을 상기 기판부(4)의 슬라이드 콘텍트(41)가 슬라이딩 하므로서 코드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즉, 모터축(미도시됨)에 축이음된 작동부(2)의 회전축(23)이 회전되면 상기 코드 패턴 형상의 금속으로 몰딩된 슬라이드 접촉면(21)이 회전되면서 기판부(4)의 슬라이드 콘텍트(41)의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A단자(40)와 B단자(40B)에 코드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기판부(4)의 공통단자(40A)는 전원공급단자이다.
또한 클릭발생수단으로서 클릭부(3)의 돌기(30)가 작동부(2)의 세레이션(20)에 접촉되어 모터축(미도시됨)의 구동에 의한 작동부(2)의 회전시 클림음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로터리 엔코더는 단축구조로 되어 있어 내,외측에 복수개의 구동물이 설치될 경우 일축 구동물의 이동거리 및 방향만을 판단할 수 있어 실질적인 적용이 불가능하고, 비록 설치된다 하더라도 복수개의 로터리 엔코더를 적용시켜야 되므로 생산단가의 상승 및 작업에 비효율성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로터리 엔코더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그 크기에 따른 공간확보가 불가피하므로 불필요한 공간점유로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고, 외관 다자인상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외측에 복수개의 구동물이 설치될 경우 하나의 로터리 엔코더만으로도 내,외측 구동물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성결합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구획벽(101)을 중심으로 상,하부로 분리형성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하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외측 구동물의 축에 축설되고 축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 A(200)및 회전부재 B(2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상면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축통과공(301)(301A)과 코드패턴(302)(302A)이 형성되고 일축에는 수개의 단자(303)(303A)가 구비되는 기판A(300)및 기판B(3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와 기판(300)(300A)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회전부재(200)(200A)에 고정되고 회전부재(200)(200A)의 회전에 의해 기판(300)(300A)의 코드패턴(302)(302A)에 미끄럼 접촉되는 습동자A(400)및 습동자 B(400A)와, 상기 회전부재(400)(400A)의 회전시 클릭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클릭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일축이 개방되게 구획벽(101)단부축 상,하부면을 따라 소정높이의 격벽(10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회전부재B(200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0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103)외곽의 구획벽(101)상,하부에는 수개의 고정돌기(10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A(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정직경을 갖는 원형의 회전판체(201) 상면 일축에는 일직선상으로 수개의 고정돌기(203)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재B(200A)는 상기 회전부재A(20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회전판체(201A)에 내축이 축결합되는 축고정보스B(202A)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축고정보스B(202A)는 회전부재A(202)의 축고정보스A(202)의 내축벽과 소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소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A(300)는 베이스(100)의 격벽(102)내축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판체로서, 중앙부에는 구동물의 외축이 통과되는 축통과공(3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외곽에 코드패턴(302)이 형성되고, 일축단부축에는 수개의 고정구멍(304)이 형성되어 단자(303)의 고정돌기(305)가 삽입 코킹되도록 하며, 상기 축통과공(301)외곽에는 베이스(100)의 고정돌기(104)외축에 삽입 코킹되는 수 개의 결합구멍(30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B(300A)는 상기 기판A(30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100)의 격벽(102)내축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판체로서, 중앙부에는 구동물의 내축이 통과되는 축통과공(301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외곽에 코드패턴(302A)이 형성되고, 일축단부축에는 수개의 고정구멍(304A)이 형성되어 단자(303A)의 고정돌기(305A)가 삽입 코킹되도록 하며, 상기 축통과공(301A)외곽에는 베이스(100)의 고정돌기(104)외축에 삽입 코킹되는 수 개의 결합구멍(306A)이 형성된다.
상기 습동자A(400)및 습동자B(400A)는 상기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의 원형판체(201)(201A)에 형성된 고정돌기(203)(203A)에 삽입 코킹될 수 있도록 수개의 고정구멍(401)(401A)이 형성된다.
상기 클릭부(500)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의 원형판체(201)(201A)외주연부에 원호형의 요철부(204)(204A)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200)(200A)가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하부 격벽(102)에는 상기회전부재(200)(200A)의 요철부(204)(204A)에 미끄럼 접촉되어 클릭(Click)음을 발생시키는 리프스프링(501)(501A)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스프링(501)(501A)은 격벽(102)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구획벽(101)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플레이트(502)의 중간부에 리프스프링(501)의 돌출부(503)가 위치되게 가이드 플레이트(502)를 양축에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2)와 격벽사이에 삽입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축 고정물의 외축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재A(20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A(200)에 고정된 습동자A(400)가 기판A(300)의 코드패턴(302)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므로서 코드신호가 단자(30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내축의 고정물의 내축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재B(200A)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B(200A)에 고정된 습동자B(400A)가 기판B(300A)의 코드패턴(302A)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므로서 코드신호가 단자(303A)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구성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구획벽(101)을 중심으로 상,하부로 분리 형성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하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외축 구동물의 축에 축설되고, 축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상면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축통과공(301)(301A)과 코드패턴(302)(302A)이 형성되고 일축에는 수개의 단자(303)(303A)가 구비되는 기판A(300)및 기판B(3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와 기판(300)(300A)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회전부재(200)(200A)에 고정되고 회전부재(200)(200A)의 회전에 의해 기판(300)(300A)의 코드패턴(302)(302A)에 미끄럼 접촉되는 습동자A(400)및 습동자B(4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회전시 클릭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클릭부(500)를 구성되고, 상기 클릭부(500)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의 대응면에 원형의 요철부(504)(504A)를 형성하고, 베이스(100)의 구획벽(101)에는 상기 요철부(504)(504A)와 상응하는 위치에 탄지공(505)을 형성하여 스프링(506)의 상,하부에 구체(507)(507A)가 상기 요철부(504)(504A)에 탄력성으로 접촉되게 설치하여 회전부재A(200)또는 회전부재B(200A)의 회전시 구체(507)(507A)의 요철부(504)(504A)접촉에 의한 클릭음이 발생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내,외축에 설치된 복수개의 구동물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하나의 엔코더 장치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공수 및 생산단가의 절감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가져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3)

  1. 구획벽(101)을 중심으로, 상,하부로 분리 형성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하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외축 구동물의 축에 축설되고 축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상면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축통과공(301)(301A)과 코드패턴(302)(302A)이 형성되고 일축에는 수개의 단자(303)(303A)가 구비되는 기판A(300)및 기판B(3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와 기판(300)(300A)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회전부재(200)(200A)에 고정되고 회전부재(200)(200A)의 회전에 의해 기판(300)(300A)의 코드패턴(302)(302A)에 미끄럼 접촉되는 습동자A(400)및 습동자B(400A)와,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회전시 클릭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클릭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부 (500)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의 원형판체(201)외주연부에 원호형의 요철부(204)(204A)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200)(200A)가 설치되는 베이스(100)의 상,하부 일축 격벽(102)에는 상기 회전부재(200)(200A)의 요철부(204)(204A)에 미끄럼이 접촉되어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리프스프링(501)(50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부 (500)는 회전부재A(200)및 회전부재B(200A)의 상호 대응면에 원형의 요철부(504(504A)를 형성하고, 베이스(100)의 구획벽(101)에는 상기 요철부(504)(504A)를 형성하고, 베이스(100)의 구획벽(101)에는 상기 요철부(504)(504A)와 상응하는 위치에 탄지공(505)를 형성하여 스프링(5060의 상,하부에 구체(507)(507A)가 상기 요철부(504)(504A)에 탄성 접촉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KR1019930028343A 1993-12-18 1993-12-18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KR96000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43A KR960006937B1 (ko) 1993-12-18 1993-12-18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43A KR960006937B1 (ko) 1993-12-18 1993-12-18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36A KR950019736A (ko) 1995-07-24
KR960006937B1 true KR960006937B1 (ko) 1996-05-25

Family

ID=1937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343A KR960006937B1 (ko) 1993-12-18 1993-12-18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9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36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5778A (en) Rotary and pushbutton switch operating mechanism including flexible connection arrangement located between rotor and shaft
KR100237554B1 (ko)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
KR100210227B1 (ko) 푸쉬 스위치를 갖는 회전동작된 전자소자
KR900003066Y1 (ko) 광학식 로타리 인코더
KR960006937B1 (ko) 복합식 로터리 엔코더
JP6420687B2 (ja) 位置検出装置
EP3657042B1 (en) Rotating device
JPH0115134Y2 (ko)
JPH02114122A (ja) 光反射式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
JP200034856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H11305307A (ja) カメラの設定ダイヤル
KR100340480B1 (ko) 회전조작형 전기부품의 클릭기구
CN218332743U (zh) 微动开关定位装置及具有其的自动售货机
JP3285782B2 (ja) 飾り体駆動装置
JPH08310350A (ja) ワイパモータ
KR200167982Y1 (ko) 작동완구
KR100517692B1 (ko) 다이얼 스위치의 디텐트부 구조
JPH0143286Y2 (ko)
JP2000348567A (ja) 回転型電気部品
JPS59183235A (ja) 空気調和装置用の空気吹出装置
JPH0749705Y2 (ja) カムスイッチの切替装置
JP3004577B2 (ja) スイッチ
JPH0631625Y2 (ja) スイツチ装置
KR0131441Y1 (ko) 롤러 콘트롤러의 볼 체결구조
JPH01177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