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346Y1 -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 Google Patents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46Y1
KR960006346Y1 KR2019940010095U KR19940010095U KR960006346Y1 KR 960006346 Y1 KR960006346 Y1 KR 960006346Y1 KR 2019940010095 U KR2019940010095 U KR 2019940010095U KR 19940010095 U KR19940010095 U KR 19940010095U KR 960006346 Y1 KR960006346 Y1 KR 960006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rod
supporting
support body
bit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544U (ko
Inventor
이춘봉
Original Assignee
이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봉 filed Critical 이춘봉
Priority to KR2019940010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346Y1/ko
Publication of KR950033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4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digg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동체 2, 2' : 안내편
3, 3', 3, 3' : 드릴로드 4 : 기어
5 : 피니언
본 고안은 건축 또는 토목 공사에서 지반을 굴삭하여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굴착기에 있어서, 흙막이 벽을 주열(柱列)공법으로 할 경우 복수개의 드릴로드를 배열시켜서 굴착기의 구동장치에 연동되게 하는데 이 복수개의 드릴로드 선단부를 정확히 지지해주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면에 안내편이 형성된 지지동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 드릴로드가 축 설치되고 기어 및 피니언으로 접속시켜서 구동장치에 의해 드릴로드의 각 빗트를 동일하게 회전되게한 구성으로서, 지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박아놓은 양측 H빔의 요입부에 상기 지지동체의 안내편이 결합되게한 후 굴착기의 구동장치를 가동시키면 각 비트가 회전되면서 지반을 굴삭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동체가 각 드릴로드의 선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안내편이 H빔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각 드릴로드의 비트가 항상 일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하강 하게 되어서 굴삭부가 뒤틀리거나 간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드릴로드와 동시에 지하로 몰입되는 지지장치가 없어서 주열식의 경우 각 드릴로드의 빗트가 지반을 굴삭하면서 하강되다가 암반 또는 경질층에 부딧칠경우 개별적으로 위치가 약간식 변경되면서 굴삭하강되기 때문에 깊이 내려갈 경우 각 드릴로드의 간격이 점차 넓게 벌어져서 콘크리트타설을 한 후에도 지지력이 약해져서 흙막이의 효과가 적고 누수가 되는 등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량하여서 굴삭부가 항상 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버랩되므로 연약지반등의 붕괴도 방지 할수 있으며, 설치 및 이동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적은 인원과 저렴한 공사비로 확실한 흙막이 공사를 할 수 있게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동체(1)에 각 드릴로드(3), (3'), (3), (3')의 선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축 설치되고 지지동체(1)내의 각 드릴로드(3), (3'), (3), (3')는 공지의 기어(4) 및 피니언(5)으로 접속되어서 연동되며 지지동체(1)의 양측면에는 안내편(2), (2')을 형성하여서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6은 구동장치, 7은 베벨기어, 8은 빗트, 9는 H빔 이다.
상기에서 구동장치(6)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드릴로드(3), (3)에 연동할수도 있고, 드릴로드(3), (3) 또는 1개의 드릴로드(3)에만 연결 할수도 있으며, 드릴로드의 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 할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지지동체(1)의 규격에 맞도록 미리 지반에 H빔(9), (9')을 압입설치하고 지지동체(1)의 안내편(2), (2')이 양측 H빔(9), (9')의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후 굴착기의 구동장치(6)를 가동시키면 드릴로드(3), (3)의 회전력이 기어(4)와 피니언(5)에 연동되어서 각 드릴로드(3), (3'), (3), (3')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빗트(8)가 지반을 굴삭하며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각 드릴로드(3), (3'), (3), (3')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동체(1)의 안내편(2), (2')이 양측에 고정된 H빔에 끼워져서 지하로 수직 안내되므로 각 빗트(8)가 항시 일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어느쪽의 빗트(8)가 암반이나 경질층에 위치되더라도 지지동체(1)에 의해 항상 지지된 상태가 되어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휘어지지 않고 경질층을 수직으로 굴삭할 수 있어서 굴삭부가 일직선상으로 오버랩되므로 여기에 콘크리트타설을 하게 되면 긴밀하고 견고한 흙막이 벽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지지동체에 각 드릴로드의 선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축 설치되고 지지동체내의 각 드릴로드는 공지된 기어장치로 접속연동되며 지지동체의 양측면에는 안내편을 형성하여서된 굴착기의 드릴로드 지지장치.
KR2019940010095U 1994-05-07 1994-05-07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KR960006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095U KR960006346Y1 (ko) 1994-05-07 1994-05-07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095U KR960006346Y1 (ko) 1994-05-07 1994-05-07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44U KR950033544U (ko) 1995-12-16
KR960006346Y1 true KR960006346Y1 (ko) 1996-07-23

Family

ID=1938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095U KR960006346Y1 (ko) 1994-05-07 1994-05-07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3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09B1 (ko) * 2006-05-24 2007-12-04 최일산 지하 구조물 축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44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deep vertical boreholes and underground cut-off walls
KR102070735B1 (ko) 주열식 벽체파일 조성용 홀을 연속 천공하기 위한 베어링가이드빔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한 흙막이벽체 및 차수벽 시공방법
KR960006346Y1 (ko) 굴착기의 드릴 로드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plural rops of earth drill)
US6925736B2 (en) In situ mix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reating underground wall
CN111042104A (zh) 在既有地下结构处施工地连墙的方法
EP1181418B1 (en) Method to build a waterproof, creep limit increasing cutoff
KR101388101B1 (ko) 다이아몬드 와이어링 해저지반 굴착을 이용한 해저앵커 시공방법
KR102325623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JPH0663239B2 (ja) 地すべり抑止用井筒およびその築造方法
JPH0448898B2 (ko)
JP3043501B2 (ja) 薄膜壁体造成用掘削孔形成方法と形成装置
CN220080921U (zh) 多头打孔设备
JP7408111B1 (ja) 地中障害物撤去方法
KR970065904A (ko) 강재지보에 의한 지하연속벽(steel box-d-wall)공법
JPH02178418A (ja) 連続地下壁の築造法
JPH10252080A (ja) 高架道路用橋脚の基礎の補強方法
JPH02282517A (ja) 地下連続壁掘削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180614A (ja) 地下構造物用土留壁の構築工法
JP3847284B2 (ja) 地中連続壁の造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SU7576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ходки узких траншей 1
JP3232196B2 (ja) 杭穴の掘削方法及び掘削機
KR200361242Y1 (ko) 굴착 방향의 수정이 용이한 강관압입 굴착 장치
JPH0571122A (ja) 多軸掘削機の傾斜管理方法
SU688631A1 (ru) Монолитна бетонна крепь
JPH06346699A (ja) 地下空間掘削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