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233Y1 -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233Y1
KR960006233Y1 KR2019930007866U KR930007866U KR960006233Y1 KR 960006233 Y1 KR960006233 Y1 KR 960006233Y1 KR 2019930007866 U KR2019930007866 U KR 2019930007866U KR 930007866 U KR930007866 U KR 930007866U KR 960006233 Y1 KR960006233 Y1 KR 960006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keyboard musical
main body
musical instrument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425U (ko
Inventor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filed Critical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7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233Y1/ko
Publication of KR940027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동 정면도.
제4도는 동 사용상태도.
제5(a) 내지 5(d)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동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반악기본체 12 : 덮개
14 : 고정편 15 : 판스프링
16 : 회동편 18, 20 : 연결로드
38 : 핀
본 고안은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제 성형케이스의 전자건반악기의 덮개를 부드럽고 간편하게 개폐하기에 적합한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반악기의 본체와 덮개가 통상적인 간단한 구조의 경첩에 의해 부착되었는데, 이에 의하면 경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바람직스럽지 못하거나 경첩의 구조상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덮개를 열고자 할 때에는 덮개를 손으로 잡고 덮개가 완전히 젖혀질 때까지 힘을 가해야 하며, 덮개를 닫을 때도 덮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덮개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덮개가 급작스럽게 닫혀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악기의 파손우려도 있고 사용자가 다칠수도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 전자건반악기의 보급에 따라 건반악기의 케이스가 플라스틱성형품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 종래와 같은 나사등에 의한 경첩부착방식은 조립의 용이성이나 제품의 견고성 또는 내구성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첩의 접합부는 헐거워지기 쉽고, 이에 따라 악기연주시에 음의 파동에 의해 잡음에 발생시켜서 연주효과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경첩을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조립작업이나 A/S시에 2명이상이 건반덮개를 부착 또는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접합부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약간의 힘으로 개폐동작이 부드럽고 탄력있게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조의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서 미관상으로 수려하며 연주에 지장을 주지않는 새로운 구조의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반악기의 본체(10)에 장착되는 본체측 고정편(14), 건반악기의 덮개(12)에 장착되는 덮개측 회동편(16), 양단에서 상기 본체측 고정편(14)과 상기 덮개측 회동편(16)에 각각 핀접속되며, 서로 다른 길이의 회동반경을 갖도록 인접베치된 한쌍의 연결로드(18, 20), 일측이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 측 고정편(14)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인 자유단이 덮개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로드(18, 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제2도와 제3도는 각각 동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번호 14는 건반악기본체(10)(제4도 참조)에 장착되는 본체 고정편이고, 번호 16은 건반악기의 덮개(12)에 장착되는 덮개측 회동편이다. 상기 고정편(14)은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직립부(22)와 이들 직립부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뻗는 수평부(24)가 일체로 된 한 쌍의 앵글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앵글부재의 수평부(24)에는 도시안된 장착공이 본체에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고, 상기 직립부(22)의 상부에는 축공(28a, 28b)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편(16)은 상기 고정편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채널형상부(30)와, 상기 채널형상부의 돌출측벽부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외향하여 뻗는 수평장착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장착부(32)에는 덮개에의 장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형상부의 돌출측벽부에는 축공(36a, 36b)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28a)과 축공(36b)의 고정편(14)의 직립부(22)상단으로 부터의 위치 또는 상기 축공(36a)과 축공(36b)의 회동편(16)의 돌출측벽부 하단으로부터의 위치는 각각 서로 달라서 연결로드(18, 20)가 접힐 때 연결로드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서로 다른 길이의 회동반경을 갖도록 서로 다른 회동길이를 갖는 한쌍의 연결로드(18, 20)가 그 양단에서 고정편(14)의 축공(28a, 28b)과, 회동편(16)의 축공(36a, 36b)에서 핀(3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쌍의 연결로드(18, 20)의 단면형상을 채널형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회동편(16)이 원하는 회동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핀(38)들에 맞닿는 연결로드의 채널형상 단면의 측벽부에 적절한 위치와 크기에 절개부(40a, 40b, 40c, 40d)를 형성하였으나 연결로드의 단면형상이 반드시 채널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 절개부는 본 고안의 필수요소는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는 판스프링(15)이 구비되는데, 판스프링(15)의 일단은 악기본체 또는 고정편(14)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인 좌측단은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즉 연결로드(18, 20)가 접힌상태에서 하측에 놓이는 연결로드(20)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된다. 본 실시예의 판스프링(15)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2단 접힘형태이고, 그 자유단에서는 라운드가 형성된 것이지만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로서, 전자악기본체(10)과 덮개(12) 사이에 장착설치되어, 덮개(12)가 약간 열린상태를 도시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 개폐장치가 감추어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건반 악기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동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a)도는 덮개가 완전히 닫힌상태로서 고정편(14)과 회동편(16)은 서로 겹쳐지고 두개의 연결로드(18, 20)는 서로 접혀있으며 판스프링(15)은 하부의 연결로드(20)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다.
제5(b)도는 사용자가 덮개를 열기위해 약간 들어올린 상태도로서, 덮개(12)는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판스프링(15)에의 상승가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볍게 상승된다.
제5(c)도는 덮개(12)가 더욱 개방된 상태로서 판스프링(15)의 2단작용과 양 연결로드(18, 20)이 회동반경의 차이에 의해 덮개가 수직으로 세워지기 시작한다.
제5(d)도는 덮개(1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서 연결로드(18, 20)는 회동을 멈추고 덮개는 직립상태에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덮개를 닫을 때는 상기 개방순서에 역으로 진행하며, 특히 덮개가 거의 닫힌 상태에서는 판스프링(15)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서서히 부드럽게 본체에 닿게되어 소음이나 접촉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접합부가 견고하고, 약간의 힘으로 부드럽고 탄력있게 작동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연주에 더욱 적합한 전자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

  1. 건반악기의 본체(10)에 장착되는 본체측 고정편(14), 건반악기의 덮개(12)에 장착되는 덮개측 회동편(16), 양단에서 상기 본체측 고정편(14)과 상기 덮개측 회동편(16)에 각각 핀접속되며, 서로 다른 길이의 회동반경을 갖도록 인접배치된 한쌍의 연결로드(18, 20), 일측이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측 고정편(14)에 고정지지되고 타측인 자유단이 덮개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로드(18, 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KR2019930007866U 1993-05-12 1993-05-12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KR960006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866U KR960006233Y1 (ko) 1993-05-12 1993-05-12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866U KR960006233Y1 (ko) 1993-05-12 1993-05-12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425U KR940027425U (ko) 1994-12-10
KR960006233Y1 true KR960006233Y1 (ko) 1996-07-22

Family

ID=1935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866U KR960006233Y1 (ko) 1993-05-12 1993-05-12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425U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9399A3 (en) Dual function hinge assembly housing with an access door
KR960006233Y1 (ko) 건반악기의 덮개개폐장치
US4330692A (en) Telephone attachment for supporting a book or the like above the telephone
CA2149100A1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KR200161446Y1 (ko) 프론트도어 지지장치(upholding device of front door)
JP3628530B2 (ja) 指詰め防止機構付きドア
KR0137013Y1 (ko) 피아노의 상부덮개 지지구조
KR200190952Y1 (ko) 도어 클로우저용 자동 스토퍼
JP2539585Y2 (ja) 回動レバーのクリック機構
JPH09158589A (ja) ドアストッパ−
AU597440B2 (en) Improved handle
JP2671185B2 (ja) デスク天板等の配線通孔装置
JPS6331672Y2 (ko)
JP2548715Y2 (ja) 接続パネル
JP2592670Y2 (ja) ボックス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JPH06158950A (ja) 観音開き扉の召合せ装置
KR960013528B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 구조
KR19980064820U (ko) 디지탈 피아노용 건반덮개의 개폐장치
KR200340697Y1 (ko) 문 임시정지구
JPS6345210Y2 (ko)
KR960004189Y1 (ko) 각도조절식 경첩
KR900008950Y1 (ko) 여닫이문 틈 가림대용 경첩
KR200256739Y1 (ko) 문짝설치용 경첩의 힌지축 인출장치_
KR950007288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