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94Y1 -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94Y1
KR960005894Y1 KR2019930002061U KR930002061U KR960005894Y1 KR 960005894 Y1 KR960005894 Y1 KR 960005894Y1 KR 2019930002061 U KR2019930002061 U KR 2019930002061U KR 930002061 U KR930002061 U KR 930002061U KR 960005894 Y1 KR960005894 Y1 KR 960005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iece
support
piece
im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311U (ko
Inventor
안희일
Original Assignee
Lg산전 주식회사
성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g산전 주식회사, 성기설 filed Critical Lg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2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894Y1/ko
Publication of KR940021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제1도는 종래 수입측 접촉자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수입측 접촉자의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수입측 접촉자의 조립 상태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수입측 접촉자의 조립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2 : 접촉편 삽입공
6 : 접촉편 7 : 유동방지편
10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차단기, 특히 인출형 차단기의 배후에 설치되는 수입측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도체와 접촉자 사이의 접촉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적은 면적으로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수입측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고압선로상에 설치되어 선로를 차단하거나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는 개폐기기이며, 선로 상에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를 차단시킴으로서 차단기와 연결된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또 상기한 차단기의 배후에 설치되는 수입측 접촉자는 부하기기의 삽입측 접촉자와 상호 조립되어 선로를 안정적으로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선로의 보수나 점검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도 하게된다.
제1도와 제2도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수입측 접촉자의 정면도와 평면도로서, 종래의 수입측 접촉자는 상, 하로 대향배치된 복수개의 접촉편(13)과, 상기 각 접촉편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편을 지지해주는 지지도체(11)와, 상기 접촉편과 지지도체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편의 선단 접촉부위의 간격(b)을 조절해주는 스페이서(14)와, 상기 접촉편과 스페이서 및 지지도체 사이로 관통되어 이들을 일체형으로 체결해주는 볼트(15) 및 너트(16)와,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과 접촉자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자에 입력을 가해주는 코일스프링(17)과, 상기 지지도체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편의 장공(13a) 부분으로 끼워져 접촉편의 좌, 우 흔들림을 방지하여주는 스프링핀(1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 하 접촉편(13)의 선단 접촉부위로 접촉도체(12)를 삽입하면 접속도체의 두께(t)와 접촉부위의 간격(b) 차이만큼 코일스프링(17)이 압축되고 압축된 코일스프링의 힘은 상, 하 접촉편(13)에 압력으로 작용하여 접촉편을 접속도체(12)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입측 접촉자는 접촉핀(13)의 가공을 위해 블랭킹, 피어싱, 밴딩등 여러공정의 프레스 작업을 하여야 하고 접촉편에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코일스프링(17)을 사용하는 구조이어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불편하며, 코일스프링의 힘이 일측 접촉편에만 작용하여 전기적 접촉이 불안정하다.
또한 상, 하 접촉편(13)의 선단부 사이의 폭(G)이 접속도체(12)의 두께(t) 보다 약간 큰 정도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도체의 높이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 접촉편의 선단부분이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속도체가 잘 삽입되지 않게 될 우려가 많으며, 차단기의 용량이 증가하면 코일스프링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늘어나 볼트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절연거리 확보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입측 접촉자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수입측 접촉자는 상, 하 접촉자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된 복수개의 접촉편 삽입공(2)이 상, 하로 형성되고 대략 ㄷ자 단면형상으로 절곡된 지지체(1)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면 상, 하부에 형성된 구멍(3) 사이로 결합된 핀(5)과, 상기 지지체의 구멍으로 삽입되고 후단부가 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 하 접촉편(6)과, 상기 지지체의 상, 하부에 형성된 홈(4)으로 끼워져 상기 상, 하 접촉편의 유동을 막아주는 유동방지편(7)과, 상기 지지체의 양측내벽면에 고정된 서포터(8)와, 상기 지지체(1)의 상, 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스크류(9)에 의해 서포터와 고정되어 있는 지지도체(11)와, 상기 접촉편과 함께 지지체의 구멍으로 끼워져 상, 하 접촉편에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1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의 접촉편 삽입공(2)은 상, 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첨부도면에는 5쌍이 형성된 일예를 나타내었으나 구멍의 수는 차단기의 종류에 따라 가변된다.
접촉편(6)의 선단부에는 만곡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이 부분이 접속도체(12)와 접속하게 되며, 후단부에는 홈(6a)이 형성되어 이 홈부분에 핀(5)이 결합된다.
또 제4도와 같이 상, 하 접촉편(6) 사이의 폭(G)은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유동방지편(7)에는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 하 접촉편은 상기 유동방지편의 홈부분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조립시 지지체(1)에 형성된 각 접촉편 삽입공(2)에 접촉편(6)과 판스프링(10)을 삽입하고 지지체(1)의 내측면에 서포터(8)를 접속시킨 후 핀(5)을 지지체(1)의 구멍(3)과 서포터의 구멍을 통해 각 접촉편(6)의 홈(6a)에 끼워지도록 관통시킨 다음, 지지체(1)의 홈(4)으로 유동방지편(7)을 끼워 결합해주기만하면 접촉자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던 종래 접촉자에 비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상, 하 접촉편(6) 사이로 접속도체(12)를 삽입하면 상, 하 접촉편(6)간의 간격(b)과 접속도체(12)의 두께(t) 차이에 의해 상, 하 접촉편(6)의 핀(5)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면서 벌어짐과 동시에 판스프링(10)은 유동 방지편(7)의 홈부 상단과 접촉편 삽입공(2)의 상단부에 닿으면서 압축되고 압축된 판스프링의 힘은 접촉편에 압력으로 작용하여 접촉편의 만곡된 접촉부위를 접속도체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 하 접촉편에 각각 판스프링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 하 접촉편 중 어느 일측에만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종래 구조에 비해, 접속도체의 삽입시 접속도체와 접속편간의 전기적 접속이 양호해지고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해지며, 접촉편 전단부 사이의 간격(G)이 넓어져 접속도체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판스프링의 사용에 따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종래 구조에 비해 접촉자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보다 적은 면적으로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차단기의 용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판스프링을 추가로 삽입하는 수단에 의해 증가된 용량에 맞는 접촉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상, 하로 배열된 복수개의 접촉편 삽입공(2)을 가진 지지체(1)와,
    상기 지지체의 접촉편 삽입공으로 삽입된 상, 하 접촉편(6)과,
    상기 상, 하 접촉편과 함께 접촉편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접촉편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10)과,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요철면의 홈부에 접촉편과 판스프링이 끼워져 접촉편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7)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KR2019930002061U 1993-02-16 1993-02-16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KR960005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061U KR960005894Y1 (ko) 1993-02-16 1993-02-16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061U KR960005894Y1 (ko) 1993-02-16 1993-02-16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311U KR940021311U (ko) 1994-09-24
KR960005894Y1 true KR960005894Y1 (ko) 1996-07-18

Family

ID=1935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061U KR960005894Y1 (ko) 1993-02-16 1993-02-16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311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2596A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CA2125798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EP0063703B1 (en)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pulling-type breaker
US4542953A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KR960005894Y1 (ko) 차단기의 수입측 접촉자
JPH11262142A (ja) プラグイン接触子
KR101425225B1 (ko) 중계 커넥터
CA1178996A (en) Fuse holder block
US4768968A (en) Fuse holder block
US4310210A (en) Plug-in type connector
US6361340B1 (en) Adjustable contact jaw spacing for circuit breaker plug-in base
CN214068946U (zh) 一种充电插座
US2988726A (en) Electric terminal construction
JP6858639B2 (ja) 差し込み端子装置および開閉器
CA1074380A (en) Stationary contact combination
US5588857A (en) Centering spring support for panel mount connectors
JPS6017794Y2 (ja) 導電接触装置
JPH1169528A (ja) 回路遮断器の接続構造
JPH04126383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23036981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230036024A1 (en) Contact module
CN2454931Y (zh) 电连接器
JP3380438B2 (ja) 分電盤
JPH0676866A (ja) 電気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素子
JP3221600B2 (ja) 遮断器の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