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25B1 -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25B1
KR960005125B1 KR1019930018678A KR930018678A KR960005125B1 KR 960005125 B1 KR960005125 B1 KR 960005125B1 KR 1019930018678 A KR1019930018678 A KR 1019930018678A KR 930018678 A KR930018678 A KR 930018678A KR 960005125 B1 KR960005125 B1 KR 96000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
tape
audio
so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685A (ko
Inventor
김규종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25B1/ko
Publication of KR95000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템프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를 예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OSD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본 발명에 따라 지정된 템포의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템포 검출기를 상세하게 예시한 블럭도.
제4(a)도,제4(b)도,제4(d)도 및 제4(e)도는 제3도에 도시된 각 부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4(c)도는 제3도에 도시된 베이스부스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템포지정에 의한 선곡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템포 검출기 120 :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
130 : OSD 140 : 콘트롤러
150 : 리모콘
본 발명은 가라오케 브이 씨 알(KARAOKE VCR, 이하 가라오케 VCR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정한 템포(tempo)의 곡을 고속으로 선곡하는 가라오케 브이 씨 알 선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를 이용하는 리모콘 VCR로 원하는 분위기(또는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할 경우, 가라오케 VCR의 특성으로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나 기타 다른 장치 등에 비해 곡을 선곡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용이하고 빠르게 선곡하기 위한 가라오케 브이 씨 알 선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오디오헤드와 콘트롤헤드를 이용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곡을 원하는 곡의 템포를 비롯한 다수의 기능제어를 위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입력수단; 명령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선곡을 원하는 템포를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수단; 명령입력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명령에 의하여 빨리감기(FF)와 빨리되감기(REW)모드중 설정된 하나의 동작모드에 의하여 운용되는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오디오신호의 템포를 검출하기 위한 템포 검출수단; 오디오헤드 및 콘트롤헤드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프상의 오디오 인터벌을 검출하는 오디오 인터벌 검출수단; 및 선곡을 원하는 템포와 템포 검출기에서 검출되는 템포를 비교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곡중 선곡을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곡중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곡하기를 원하는 템포 및 곡 탐색을 위한 상기 템포의 구동모드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구동모드에 의해 테이프를 구동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오디오신호의 성분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단계에서 테이프 끝이 검출되면 종료하고, 테이프 끝이 아니면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템포를 검출하는 단계; 템포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템포가 입력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템포에 해당되면 해당되는 오디오신호의 스타트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스타트지점이 검출되면, 재생처리를 하는 단계; 재생처리단계에서 재생처리된 곡이 끝나면 오디오신호 탐색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VCR 선곡장치의 블록도로서,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곡의 템포를 검출하기 위한 템포 검출기(Tempo Detector)(110),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곡간의 간격(Interval)을 검출하기 위한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Audio Interval Detector)(120), 가라오케 VCR의 처리내역중 자막정보로 표현될 수 있는 정보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템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고 함) 및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명령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리모콘(150), 리모콘(150)으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가라오케 VCR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140)로 구성된다.
제2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템포가 OSD(1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템포 검출기(110)의 상세 블럭도로서, 오디오헤드로부터 픽업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등화(이하, EQ)증폭기(111), 등화증폭기(1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역필터링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112), 등화증폭기(11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저역부분 강조 및 고역부분 감쇠처리를 하는 베이스 부스트(Bass Boost)(113), 베이스 부스트(1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역필터링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114) 및 저역통과필터(112,1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15)로 구성된다.
제4도의 제4(a)도,제4(b)도,제4(d)도 및 제4(e)는 제3도에 도시된 템포 검출기(110)내의 각 기능블럭의 출력파형도이고, 제4도의 제4(c)도는 제3도에 도시된 베이스 부스트(113)의 주파수특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템포지정에 의한 선곡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4도의 제S30단계를 통해 선곡을 위해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한다. 즉, 제S31단계에서 사용자가 리모콘(150)를 통해 선곡을 원하는 곡의 템포로 지정한다. 템포지정을 위하여 리모콘(150)상에는 템포지정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구비된 템포지정키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템포를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템포지정키는 기존의 볼륨이나 채널제어키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150)상에 구비되어 있는 템포지정키를 이용하여 선곡을 원하는 템포가 지정되면, 콘트롤러(140)는 제S32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설정된 템포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13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템포의 빠르기가 중간정도에 해당되면 OSD(1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Bar)가 ③의 위치까지 디스플레이되고, 중간정도보다 느리게 설정되면, 설정된 템포에 따라 ① 또는 ②의 위치까지 바가 디스플레이되고, 상술한 중간정도보다 빠르게 설정되면, 설정된 템포에 따라 ④ 또는 ⑤이 위치까지 바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바는 좀더 세분화될 수 있고, 표현방법은 바외에 다른 표현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제S33단계로 진행되어 테이프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150)을 이용하여 빨리감기(Fast Forword:이하 FF라고 약함) 또는 빨리되감기(Rewind:이하 REW라고 약함)모드를 제어한다.
제S33단계에서 FF모드 또는 REW모드가 설정되면, 콘트롤러(140)는 제S40단계로 진행되어 설정된 구동모드에 따라 테이프에 구동시켜 수록된 오디오신호(또는 곡)에 대한 탐색을 시작한다. 테이프탐색에 의하여 오디오헤드로부터 픽업된 테이프는 제1도에 도시된 템포 검출기(110)와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120)로 전송되고, 콘트롤헤드로부터 픽업된 데이타는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120)로 전송된다.
템포 검출기(11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오디오헤드로부터 데이타가 전송되면, EQ 증폭기(111)에서 원하는 이득(제4(a)도의 참조)만큼 증폭한 후, 저역통과필터(112)를 통해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정형하여 비교기(115)의 일측 입력단으로 전송한다. 또한 전술한 EQ 증폭기(111)를 통과한 신호는 제4(c)도와 같은 주파수특성을 갖는 베이스 부스트 회로(113)를 거쳐 제4(b)도와 같은 파형을 출력하고, 베이스 부스트 회로(113)에서 출력된 신호는 LPF(114)를 통해 제4(e)도와 같이 출력된다. LPF(114)에서 출력된 신호는 비교기(115)의 다른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비교기(115)는 제4(d)도와 같이 인가되는 LPF(112)의 출력신호와 제4(e)도와 같이 인가되는 LPF(114)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오디오헤드가 판독한 오디오신호의 템포를 검출하여 콘트롤러(140)로 전송한다. 즉, LPF(11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LPF(112)에서 출력되는 신호보다 높게 나타나는 파형을 템포의 기준펄스로 검출하는데 빠른 템포인 경우에는 기준펄스의 수가 많이 발생되고, 느린 템포인 경우에는 기준펄스의 수가 적게 발생된다.
한편, 제1도에 도시된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120)는 오디오헤드와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에 의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곡사이의 빈공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콘트롤러(140)로 전송한다.
콘트롤러(140)는 제S40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테이프탐색처리시 템포 검출기(110)와 오디오 인터벌 검출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에 의하여 제S50단계에서 오디오신호의 성분을 탐색한다. 즉, 제S51단계에서 테이프 끝이 검출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테이프 끝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S52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테이프 끝이 아니면 제S51단계에서 제S53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템포 검출기(110)로부터 전송된 템포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S60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검출된 템포와 제S31단계에서 설정된 템포와 비교한다. 여기서 비교과정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템포 검출기(110)로부터 초당 출력되는 펄스수에 의할 경우, 설정된 템포의 범위내의 펄스수가 검출되면 지정된 템포의 곡이라고 판단하고, 검출된 펄스수가 범위외인 경우에는 지정된 템포의 곡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된 ① 레벨의 템포는 초당 5∼10펄스수가 발생되는 경우이고, ② 레벨의 템포는 초당 11∼15펄스수가, ③ 레벨의 템포는 초당 16∼20, ④ 레벨의 템포는 초당 21∼25, ⑤ 레벨의 템포는 초당 26∼30의 펄스수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술한 제S31단계에서 설정된 템포가 ③ 레벨인 경우에 콘트롤러(140)는 초당 16∼20개의 펄스수를 기준펄스수로 하여 템포 검출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펄스수를 카운트한 값과 기준펄스수를 비교하고, 기준펄스수 범위내에 있으면 지정 템포의 곡으로 판단하고, 범위외인 경우에는 지정 템포외의 곡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과정에 의하여 템포 검출기(110)로부터 전송된 펄스수에 의하여 현재 판독된 오디오신호의 템포가 지정된 템포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S60단계를 거쳐 제S40단계로 진행되어 계속해서 테이프 탐색처리를 하고, 판독된 오디오신호의 템포가 지정된 템포와 동일할 경우에는 제S70단계로 진행되어 REW모드를 수행한다. REW모드는 오디오 인터벌이 검출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REW모드수행에 의하여 오디오 인터벌이 검출되면, 현재 오디오신호의 스타트지점이 검출된 것이므로 제S80단계를 거쳐 제S90단계로 진행되어 재생(PLAY)처리를 한다.
제S90단계의 재생처리는 오디오 인터벌이 검출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제S90단계의 재생처리에 의하여 오디오 인터벌이 검출되면, 제S100단계를 거쳐 제S40단계로 진행되어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테이프 탐색처리를 한다. 즉, REW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REW모드에 의한 테이프탐색작업을 하고, F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FF모드에 의한 테이프 탐색작업을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템포 지정 선곡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선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오디오헤드와 콘트롤헤드를 이용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곡을 원하는 곡의 템포를 비롯한 다수의 기능제어를 위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입력수단(150); 상기 명령입력수단(150)을 통해 입력된 선곡을 원하는 템포를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수단(130); 상기 명령입력수단(150)을 통해 인가되는 명령에 의하여 빨리감기(FF)와 빨리되감기(REW)모드중 설정된 하나의 동작모드에 의하여 구동되는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오디오신호의 템포를 검출하기 위한 템포 검출수단(110); 오디오헤드 및 콘트롤헤드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프상의 오디오 인터벌을 검출하는 오디오 인터벌 검출수단(120); 및 선곡을 원하는 템포와 상기 템포 검출기(110)에서 검출되는 템포를 비교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곡중 선곡을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포 검출수단(110)은, 상기 오디오헤드에서 판독된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는 이퀄라이저 증폭수단(111); 상기 이퀄라이저 증폭수단(111)의 출력 파형을 평활하는 제1저역 통과 필터 수단(112); 상기 이퀄라이저 증폭수단(111)의 출력 파형에서 저역 부분은 강조하고, 고역 부분은 감쇠하는 베이스 부스터(Base Boost) 수단(113); 상기 베이스 부스터 수단(113)의 출력 파형을 평활하는 제2저역 통과 필터 수단(114); 상기 제1저역 통과 필터 수단(112)의 출력 파형과 상기 제2저역 통과 필터 수단(114)의 출력 파형을 비교하여 상기 제1저역 통과 필터 수단(112)의 파형보다 높게 나타나는 파형을 템포의 기준펄스로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러(140)로 발생하는 비교수단(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장치.
  3.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곡중 사용자가 원하는 템포의 곡을 선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곡하기를 원하는 템포 및 곡 탐색을 위한 상기 템포의 구동모드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S30); 상기 입력단계(S30)에서 입력된 구동모드에 의해 테이프를 구동하여 테이프상에 수록되어 있는 오디오신호의 성분을 탐색하는 단계(S40); 상기 탐색단계(S40)에서 테이프 끝이 검출되면 종료하고, 테이프 끝이 아니면 상기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의 템포를 검출하는 단계(S50); 상기 템포 검출단계(S50)에서 검출된 템포가 상기 입력단계(S3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템포에 해당되면 해당되는 오디오신호의 스타트지점을 검출하는 단계(S60,S70,S80); 상기 스타트지점이 검출되면, 재생처리를 하는 단계(S90); 상기 재생처리단계(S90)에서 재생처리된 곡이 끝나면 오디오신호 탐색단계로 진행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라오케 템포 지정 선곡방법은, 상기 템포 검출단계(S50)에서 검출된 템포가 상기 입력단계(S30)에서 입력된 템포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신호 탐색단계(S40)로 복귀하여 다시 오디오 성분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방법.
KR1019930018678A 1993-09-16 1993-09-16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KR96000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678A KR960005125B1 (ko) 1993-09-16 1993-09-16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678A KR960005125B1 (ko) 1993-09-16 1993-09-16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85A KR950009685A (ko) 1995-04-24
KR960005125B1 true KR960005125B1 (ko) 1996-04-20

Family

ID=1936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678A KR960005125B1 (ko) 1993-09-16 1993-09-16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85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100B1 (en)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EP0476723A2 (en)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KR960005125B1 (ko) 가라오케 템포 지정에 의한 선곡 장치 및 그 방법
JP3138168B2 (ja) 話速変換機能付磁気記録再生装置
US5481416A (en) Search method and circuit utilizing an audio signal
KR0128055B1 (ko)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의 자동선곡 장치 및 방법
KR100211255B1 (ko) 브이시알의 오디오 무신호 녹음구간 탐색회로 및방법
KR920001208Y1 (ko) 음향기기의 자동 더빙 회로
KR100217369B1 (ko)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의 알람 제어 방법
KR970008610B1 (ko) 카세트의 연주곡 순서 제어장치 제어방법
KR0147351B1 (ko) 노래반주 비디오 테이프의 자동 선곡 장치와 방법
JPH08180507A (ja) テープ内容の高速確認装置
KR100413411B1 (ko) 디브이씨알의 인덱스 기록 및 서치방법
KR0157521B1 (ko) 선형 시간카운터를 이용한 색인 기록방법
KR940008874B1 (ko) 브이씨알의 트윈시스템 녹화편집수행방법 및 그 장치
JPH06363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927989B1 (ko) 디지털 복합 시스템의 구간 녹화 장치 및 방법
KR19990019445A (ko) 자동인덱스표기 방법 및 장치
KR1999002432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반복재생 제어방법
KR950025678A (ko) 브이씨알(vcr) 노래 반주 시스템의 곡 서치 장치와 방법
KR19990059553A (ko) 사용자 정의키가 추가된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0410A (ko) 자기테이프의 기록신호 끝부분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JPH10208450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6309775A (ja) 記録再生装置
KR19990002964A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