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41B1 -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41B1
KR960004841B1 KR1019930026230A KR930026230A KR960004841B1 KR 960004841 B1 KR960004841 B1 KR 960004841B1 KR 1019930026230 A KR1019930026230 A KR 1019930026230A KR 930026230 A KR930026230 A KR 930026230A KR 960004841 B1 KR960004841 B1 KR 96000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output
voltage conversion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391A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841B1/ko
Publication of KR94001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01G19/56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combined with handles of tools or household imp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제 1 도는 전자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조리물 하중 계측 회로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회로에 따른 하중-전압 특성 그래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조리물 하중 계측 회로 구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압 특성 그래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조리물 하중 계측 회로 구성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조리물 하중 계측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압전센서 20 : 필터부
21-1, 21-2, 27 : 증폭부 22 : 정류부
23-2, 23-2 : 버퍼부
본 발명은 전자레인즈이 조리 자동 모드에 적용하기 위한 조리물 중량 센싱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물의 실중량을 정확히 계측하여 중량 변화에 따른 제어 전압을 세밀하게 출력시킬 수 있는 전자 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전자레인지내의 조리물 하중을 측정할때 압전 센서가 이용된다.
압전센서는 기계적 에너지와 전기적 에너지를 상호 변환시킬 수 있는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지며, 하중센서에서는 압력의 변화에 비례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특성(Q=ΔP×d)을 이용한다.
여기서 ΔP는 압력변화, d는 압전상수, Q는 전하량이다.
제 1 도는 압전센서로써 전자레인지내의 조리물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구조로써, 전자레인지(10) 내부의 바닦면(11)위로 모터(12)의 사각 구동축(13)이 돌출하게 모터(12)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 구동축(13)에는 조리물 트레이(17) 중앙에 마련된 사각홈(18)을 끼워 얹어 트레이(17)를 설치한다.
이때 트레이(17)와 바닦면(11) 사이에는 바퀴(16)를 가지는 환형 서포터(15)를 설치하고, 상기 환형 서포터(15)의 바퀴(16)가 지나가는 트랙 상에는 압전센서(14)를 설치한다.
따라서 트레이(17)상에 음식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조리 또는 해동 모드등을 선택하여 전자레인지(10)를 작동시키면 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트레이(17)가 회전하게 되는데, 모터축(13)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트레이(17)에 따라 환형 서포터(15)의 바퀴(16)가 굴러가면서 압전센서(14)가 눌러지므로 이 압전센서(14)로부터 조리물 하중이 전하 성분으로 감지된다.
이때 압력의 변화로 발생되는 전하(Q)를 구하는 식은 트레이의 질량을 m, 조리물의 질량을 M, 중력가속도를 g라 하면,
ΔP=k×(m+M)×g×SINθ이고, (k는 상수)
따라서 발생되는 전하량은
Q=k'×(m+M)×g×SINθ×d(k'은 상수)
가 되어 M-Q의 관계가 비례식으로 성립되며, 전하량의 감지로서 하중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전자렌지에서 사용되는 마이콤의 A/D변환기는 측정가능 전압에 한계가 있으므로 하중센서 회로에서는 압전체에서 발생한 전하량을 마이콤이 인식할 수 있는 전압의 변화로 전환시키는 기능과, 과부하시 과전압 발생을 저지하여 마이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제 2 도는 하중센싱 신호 처리 회로로서, 압전센서(14)에서 검지된 전하량은 저항(R1-R2)과 콘덴서(C1)로 구성된 필터부(20)에 입력된다.
압전체에서 발생된 사인파는, 구조적 진동에 의하여 일그러진 파형이 되기 쉬우며, 압전체의 정전용량에 따라 Q=V×C(C는 정전용량)의 관계로 수십 V 이상의 높은 전압치가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20)는 일그러진 파형을 정상적인 사인파로 변조시키고, 전압의 변화치를 회로에서 제어하기 쉽도록 수 V이내로 낮추는 역활을 한다.
상기 필터부(20)를 거친 하중 센싱 신호는 연신증폭기(OP1)와 저항(R3,R4)으로 구성된 증폭부(21)에 입력된다.
상기 증폭부(21)는 앞단에서 필터링되고 전압 강하된 신호를 다시 원하는 크기로 증폭하며, 또한 조리물 질량과 출력전압(마이콤의 입력전압) 사이의 비례관계에서 기울기의 조절 기능을 갖는다. 이때 최대 측정하중에서 마이콤의 최대 인식 전압이 출력되게 조절한다.
상기 증폭부(21)의 출력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를 포함하는 정류부(22)에 입력된다.
증폭단을 통과한 신호는 롤러의 회전속도에 의존하는 주기의 사인파가 된다. 따라서 마이콤에서 이 사인파의 크기를 인식하여 하중치로 환산할 수 있다면 더 이상의 신호 처리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사인파의 전압을 직접 마이콤에서 인식시키기에는 기술적 어려움과 처리회로의 복잡성을 요구한다.
상기 정류부(22)는 사인파를 그라운드(OV)를 기점으로 반파로 분활하고, 이를 다시 충전(전하량 적분)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홀드회로를 채택함으로서 마이콤의 A/D 변환기에서는 사인파가 아닌 직류전압을 인식하게 하여 이를 하중치로 환산하게 하였다.
여기에서 아이오드(D1)는 사인파를 반파로 분활하는 역활과 함께 콘덴서(C2)에 적분된 전하량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정류부(22)의 출력은 연산증폭기(OP2)와 제너다이오드(ZD1)를 포함하는 버퍼부(23)에 입력된다.
앞단에서 충전된 전하는 V=Q/C의 관계로 직류전압이 되며,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사인파가 충전되는 시간동안은 전압이 안정되지 못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하중의 측정을 위해서는 전압발생(사이파 발생)후 충전시간을 고려하여 일정한 시간후(약 0.1초 이후)에 전압을 읽어 하중치로 변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여기서 발생하는 또 하나의 문제는 충전된 전하가 콘덴서(C2) 양단간의 임피던스에 의하여 방전되는 현상으로, 시간에 대하여 로그 스케일(Log Scale)의 전압감소가 일어나는 점이다.
상기 버퍼부(23)는 마이콤의 입력단의 낮은 임피던스에 의한 전하손실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버퍼부(23)의 입력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콘덴서(C2) 양단간의 임피던스가 크게 되므로 전압감소가 적게 발생하여 하중 측정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1)는 조리물의 질량이 허용치 이상일때 발생하는 과전압이 마이콤으로 입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마이콤 보호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리세트부(24)는 상기 정류부(22)에 리세트 신호를 제공하게 구성된다.
전자레인지의 롤러는 기구적인 안정성을 갖기 위하여 복수개(일반적으로 3개)로 되어 있으며, 조리물의 하중은 각 롤러에 분산되어 가해지는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롤러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횟수로 측정을 실시하고, 측정된 전압의 평균치로 하중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세트부(24)는 여러번의 측정을 실시함에 있어, 1회 측정후 다음의 측정을 위하여 정류부(22)의 콘덴서(C2)에 충전된 전하늘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치 역활을 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기존의 회로는 조리물의 질량과 출력전압간의 비례관계에서 트레이 질량값의 존재에 따라 제 3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마이콤의 인식가능 전압범위를 최대한 활용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트레이 질량에 의한 영향으로, 전압(V)과 조리물 질량(g)의 원점(0, 0)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례로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마이콤의 A/D 변환기가 8비트에 의한 255(281) 계를 인식하고 또한 이러한 255 단계로서 0V-5V를 인식하는 비례형 데시멀 범위를 갖는다고 할때, 트레이 질량에 관련된 조리물 하중-전압과의 관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있다.
[표 1]
종래의 조리물 하중 대 전압간의 실험예
따라서 조리물 하중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g당 전압차를 향상시켜 마이콤이 적은 중량변화까지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전압-하중간 비례관계에서 나타나는 트레이 질량값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론적으로, 종래의 회로에서 계산된 트레이질량 값은 트레이의 중량을 0g으로 하면 그에 따른 영향이 완전히 제거(0에 대한 상수곱은 0)되어 증폭부(21)의 증폭도 조절도 g당 전압차를 키울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전자렌지에서 용기가 없는 조리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므로 기구적인 개선은 기대할 수가 없다. 또한 트레이 질량값의 영향은 트레이의 용적이 커질 수록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전자레인지의 대용량화에 큰 장애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자렌인지에서의 조리물 하중 계측에 따른 자동조리모드에서 A/D 콘버터에서 허용하는 입력 전압대를 전부 이용함으로써, 음식물 자동 조리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로써, 압전센서(14)에서 검지된 조리물 하중 변환 전하량이 필터부(20)를 거쳐 고율 증폭부(21-1)에서 증폭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율 증폭부(21-1)의 출력은 정류부(22)를 거쳐 버퍼부(23-1)로 제공되게 구성하고, 상기 정류부(22)에는 리세트부(24)의 리세트 신호가 제공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리물 하중 센싱 회로의 압전센서(14), 필터부(20), 정류부(22), 리세트부(24)는 앞에서 설명한 제 2 도의 종래 회로의 참조부호와 동일하며 그들의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버퍼부(23-1)는 기존의 버퍼부와는 달리 연산증폭부(OP2)에 저항(R6, R7)을 통한 애더(adder) 전압(-Vi)이 걸려있다.
상기 고율 증폭부(21-1)는 그 구성이 기존의 증폭부와 동일하지만 조물물의 g당 전압차(기울기)를 키워주기 위해 높은 증폭도로 조정된다. 이러한 고율 증폭부(21-1)는 하중센서의 규격에 따라 최대하중에서 최대인식 전압이 출력되도록 조절되며, 기구적 오차 및 회로적 오차등의 모든 편차요인까지 보정하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조절이 완료된 회로는 증폭율이 고정되어 상수로 간주할 수 있게 되며 전압대 하중간의 1차 방정식이 아래와 같이 성립된다.
Vo=a×M+b 여기서 a는 g당 전압차이고 b는 초기 Vmin 제거용 상수이다. g당 전압차(기울기)를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는 증폭율을 크게하고, 이때 발생하는 비활용 전압(나머지)은 회로적인 전압보정으로 -b만큼의 전압을 평행이동시키면, 이상치에 가까운 전압대 하중간의 관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4 도에서 고율 증폭부(21-1)의 가변저항(R4)을 이용하여 증폭율을 높여, 제 5 도의 A와 같은 전압대 하중간의 기울기로부터 B와 같은 기울기로 올려 준 다음, 버퍼부(23-1)에서 트레이와 증폭부(21-1)의 증폭율에 의한 나머지 전압(Vrem)을 제거하기 위해 버퍼부(23-1)의 출력 전압 기울기를 평행이동시키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상기 나머지 전압(Vrem)을 강제이동시키기 위해 연산증폭기(OP2)에 저항(R6,R7)을 통하여 애더 전압(-12V)을 걸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전압대 하중간의 기울기는 제 5 도의 C와 같이 보정되므로 하중센싱 전압 활용 범위가 이상적인 가용전압 범위로 확대된다. 즉, 트레이의 질량에 따른 하중센싱 전압 활용범위 축소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마이콤의 A/D변환기가 8비트에 의한 255(28-1)의 단계를 인식하고 또한 이러한 255 단계로서 0V~-5V를 인식하는 비례형 네시멀 범위를 갖는다고 할때, 본 발명에 기초한 조리물 하중대 전압간 실험예를 하기 [표 2]에 보이고 있다.
[표 2]
본 발명에 따른 조리물 하중 대 전압간의 실험예
단 상기예에서는 하중-전압 기울기의 이동값을 결정함에 있어, 그 기울기의 충분한 평행 이동을 통하여 제 5 도와 같은 이상적인 관계를 구현하지 않고, 실제 소비자가 전자레인지의 사용시 트레이 없음이나 전자레인지 생산지의 에러 감지를 고려해서, Vmin을 그라운드에 접근시키되 완전한 그라운드(OV)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본 발명 실험예인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하중-전압 변환에서의 g당 전압차는 기존의 하중-전압 변환에서의 g당 전압차 [표 1]보다 큰 폭으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하중센서의 감도향상과 측정오차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고율증폭에 따른 Vmax를 초과한 Vrem을 평행 이동시키기 위해서 버퍼부(23-1)에 애더 전압을 걸어 주고 있는데, 이때 전압 애더 방식에는 전압 차감 방식과 전압 합산 방식이 있다.
앞에서 기술한 제 4 도는 전압차감 방식이며 전압 합산 방식의 예를 제 6 도에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버퍼부(23-2)의 연산 증폭기(OP2)에 가해지는 애더전압(-Vi)은 정류부(22)의 출력과 공통으로 되어 입력된다.
저항(R10, R11)은 전하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출력 임피던스를 커워주게 되며 저항(R8, R9)는 정류부 출력전압 및 애더전압 입력저항이다.
상기 전압 차감 방식은 전압 이동시의 기준전압(애더전압)을 -12V의 비정전압으로 사용할때 적용되고, 전압합산 방식은 상기 비정전압 방식으로부터 +5의 정전압으로 변경하게 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가령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 전압을 V1, -입력단 전압을 V2라고 할때
전압차감방식 : Vo=(V1-V2)×k
전압합산방식 : Vo=(V1+V2)×k
이다. 여기에서 k는 상수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부터 필터부(20)와 정류부(22) 사이에 연산증폭기(OP2)의 버퍼부(25)를 마련하고, 전압 합산방식의 애도로 구성된 버퍼부(23-2)의 전단에 증폭부(27)를 마련하고 상기 정류부(22)와 증폭부(27) 사이에 버퍼부(26)를 마련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고율증폭부(27)를 정류부(22) 후단에 설치하고 정류부(22) 전단에 마련되고 있던 증폭부에 대신하여 버퍼부(25)를 설치한다는데 있다.
필터부(20)를 거친 압전센서(14)의 하중 검지전하량을 직접 전압 증폭하는 경우, 증폭부의 입력전압은 롤러와 압전센서 누름판과의 충돌시 발생하는 사인파이다. 이는 롤러의 회전주기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저항을 이용해서 증폭률을 조절한다 해도 정지된 전압을 증폭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절과 동시에 전압증폭율의 확인이 불가능하며, 다음번 신호의 입력(다음 롤러와 압전센서 누름판과의 충돌)시에야 증폭치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는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이다.
그러나 제 7 도의 경우에서는 감지전하량의 증폭율의 조절을 정류부(22) 다음에서 실행하게 된다. 이는 시간에 대한 함수인 사인파를 증폭하는 것이 아니므로 시간개념이 사라진 절대치의 직류전압(리세트전가지 계속 유지됨)을 증폭하는 것이다. 따라서 증폭부(27)의 증폭률 조절과 동시에 버퍼부(23-2)의 출력단(Vo)단의 전압 확인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압전센서에 의한 조리물 하중 검지 전압의 실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정확한 조리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이를 위한 전압기울기의 평행이동 조절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롤러가 센서의 누름판을 지날때마다 사인파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센서와 ; 상기 압전센서에 의한 하중-전압 변환 사인파 출력을 정형하는 필터부와 ; 상기 필터부의 하중-전압 변환 사인파 출력을 마이콤의 최대 인식 전압(Vmax) 이상으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 상기 증폭부의 하중-전압 변환 사인파 출력을 충방전하는 정류부와 ; 상기 정류부의 하중-전압 변환 기울기에 마이콤의 최소 인식전압(Vmin)만큼의 애더 전압(-Vi)을 더하여 보정된 기울기의 하중-전압 변환 출력을 마이콤에 제공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증폭율 조정용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정밀 계측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정류부의 출력전압과 하중-전압 변환 기울기 이동용 애더 전압을 차감하는 전압차감 연산 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정류부의 출력전압과 하중-전압 변환 기울기 이동용 애더 전압을 합산하는 전압 합산 연산 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정밀계측회로.
  5. 롤러가 센서의 누름판을 지날때마다 사인파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센서와 ; 상기 압전센서에 의한 하중-전압 변환 사인파 출력을 정형하는 필터부와 ; 상기 필터부의 하중-전압 변환 사인파 출력을 충방전하는 정류부와 ; 상기 정류부의 하중-전압 변환 출력을 마이콤의 최대 인식전압(Vmax) 이상으로 증폭하는 조절가능한 증폭부와 ; 상기 증폭부의 하중-전압 변환 기울기에 마이콤의 최소 인식전압(Vmin) 만큼의 애더 전압(-Vi)을 더하여 보정된 기울기의 하중-전압 변환 출력을 마이콤에 제공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KR1019930026230A 1992-12-09 1993-12-02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KR96000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230A KR960004841B1 (ko) 1992-12-09 1993-12-02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3696 1992-12-09
KR920023696 1992-12-09
KR1019930026230A KR960004841B1 (ko) 1992-12-09 1993-12-02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91A KR940015391A (ko) 1994-07-20
KR960004841B1 true KR960004841B1 (ko) 1996-04-16

Family

ID=1934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230A KR960004841B1 (ko) 1992-12-09 1993-12-02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4261A (ko)
JP (1) JPH075025A (ko)
KR (1) KR960004841B1 (ko)
SE (1) SE930408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693A (ko) * 1996-05-02 1997-12-10 이영서 전자렌지의 조리대상물 중량판정방법
JP2003260937A (ja) 2002-03-08 2003-09-16 Nishikawa Rubber Co Ltd 自動車ドアのドア部品組付け方法および一体化部品
DE102012217350A1 (de) * 2012-09-26 2014-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7898A (en) * 1977-07-29 1978-10-03 Ventron Corporation Electronic tare system for electrical balance
JPS5733311A (en) * 1980-08-06 1982-02-23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Ranging system of converter for process
JPS60203810A (ja) * 1984-03-29 1985-10-15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物理量変換装置
KR900002322B1 (ko) * 1984-11-27 1990-04-1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JPS61208441A (ja) * 1985-03-13 1986-09-16 Sharp Corp 電子レンジ
JPS63135723A (ja) * 1986-11-26 1988-06-08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2690824B2 (ja) * 1991-06-24 1997-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5300736A (en) * 1992-03-12 1994-04-05 Hi-Speed Checkweigher Co., Inc. Adaptive timing in-motion checkweig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304081D0 (sv) 1993-12-08
KR940015391A (ko) 1994-07-20
SE9304081L (sv) 1994-06-10
JPH075025A (ja) 1995-01-10
US5574261A (en) 199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2298B (zh) 电子电度表
US6700392B2 (en) Digital measurement circuit and system using a grounded capacitive sensor
CN100394202C (zh) 高压交流激励法微小电容测量电路
US6957173B2 (en) Sensor with frequency selectable operating modes
CA217490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values in dual capacitors
KR960004841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하중 정밀 계측회로
US4158396A (en) Electronic weight measuring device
JPH11500218A (ja) 圧力変換器例えば自動車における側面衝突を検出するための圧力変換器
CN113489466A (zh) 一种用于消除电荷放大器信号偏移量的电路
EP0520662B1 (e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 increased resolution
US479318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compensation of temperature-dependent and temperature-independent drift and for the compensation of the sensitivity of a capacitive sensor
EP0184769A2 (en) Rotational information output device
JP3236297B2 (ja) 粒子電流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回路
JPH0754823Y2 (ja) 光強度測定装置
JP3765915B2 (ja) 増幅器の温度零点補正装置
US5805090A (en) Displacement amoun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SU1767451A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 емкостным датчиком
JPS6329212A (ja) 圧電式力学量センサ
JP3356029B2 (ja) 電気量検出回路
JP3161716B2 (ja) 容量検出回路
US20230123365A1 (en) Sensor and sensor processing device
JP2626352B2 (ja) A/d変換装置
KR0113182Y1 (ko)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장치
KR950002482B1 (ko) 전자레인지 음식물 중량 감지방법
JPH06258127A (ja) 静電容量式レベル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