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37Y1 -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 Google Patents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37Y1
KR960004737Y1 KR2019930016456U KR930016456U KR960004737Y1 KR 960004737 Y1 KR960004737 Y1 KR 960004737Y1 KR 2019930016456 U KR2019930016456 U KR 2019930016456U KR 930016456 U KR930016456 U KR 930016456U KR 960004737 Y1 KR960004737 Y1 KR 960004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l
tool
workpiece
collet memb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21U (ko
Inventor
안용호
Original Assignee
안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호 filed Critical 안용호
Priority to KR2019930016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737Y1/ko
Publication of KR950005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6Tool holders equipped with longitudinally-arranged grooves for setting the cut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절삭공구가 장착되어서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 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선반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절삭공구가 장착되어서 공작물의 구멍을 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선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내경선삭 가공용 절삭공구가 장착된 선박의 왕복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구멍 가공용 절삭공구가 장착된 선반의 왕복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주요부품을 분해 하여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 11 : 주축대
12 : 왕복대 13 : 심암대
20 : 홀더수단 21 : 수용부
22 : 고정구멍 23 : 셋팅구멍
24 : 몸체부 25 : 고정볼트
26 : 셋팅볼트 30, 30' : 콜렛부재
40 : 내경선삭용 절삭공구 40' : 구멍가공용 절삭공구
41 : 팁부 41' : 날부
42, 42' : 생크부 121 : 복식공구대
122 : 하부지지판 123 : 상부지지판
124 : 고정볼트
본 고안은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 가공하는 내경산삭용 절삭공구와 공작물의 구멍을 드릴가공하는 구멍가공용 절삭공구를 선반의 복식공구대에 고정시키는 선반의 절삭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선반의 복식공구대에 홀더수단을 장착하여서 절삭공구(구멍가공용 절삭공구 및 내경선삭용 절삭공구 등)를 용이하게 셋팅시켜 가공물을 용이하게 선삭가공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절삭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측대와 심압대 및 왕복대로 구성되어서 공작물을 선삭가공하는 선반은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가공할 경우에는 내경선삭용 절삭공구를 왕복대의 복식공구대에 셋팅시켜서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가공하고, 구멍을 공작물의 드릴가공할 경우에는 구멍가공용 절삭공구를 십암대에 셋팅시켜서 공작물의 구멍을 가공하였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선반에 있어서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가공할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대(11)에 공작물(A)을 척킹시킨 후 팁부(41)와 생크부(42)로 이루어진 내경선삭용 절삭공구(40)를 왕복대(12)의 복식공구대(121)에 고정시켰다.
즉,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를 복식공구대(121)의 하부지지판(122)의 상부에 재치시킨 후 상부지지판(123)에 배설된 복수개의 고정볼트(124)를 조여서 복수개의 고정트(124)의 단부가 생크부(42)를 압압하여서 절삭공구(40)가 복식공구대(121)에 고정되었다.
이때, 상기 절삭공구(40)의 팁부(41)가 공작물(A)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삭공구(40)를 셋팅해야 하므로 작업자는 얇은 심(SHIM)을 생크부(42)와 하부지지판(122)사이에 개재시켜야만 했다.
또한, 내경이 작은 공작물(A)을 선삭가공할 경우에는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가 가늘어 복식공구대(121)에 고정시키기가 곤란했다.
상기 절삭공구(40)는 상기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가 고정볼트(124)의 단부와 접촉되어 고정되므로써 공작물(A)의 내경을 선삭가공할 경우 절삭공구(40)가 과다하게 진동되어 강력절삭및 고정도의 가공을 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선반에 있어서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할 경우에는 내경선삭용 절삭공구를 세팅시키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므로써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경이 작은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절삭공구는 복식공구대에 셋팅시키지 못함은 물론, 공작물의 강력 절삭및 고정도의 가공을 하지 못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작물에 구멍을 드릴가공하기 위해서는 복식공구대에 드릴가공용 절삭공구를 셋팅시키지 못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가공용 절삭공구(40')를 심압대(13)에 셋팅 시켜야만 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복식공구대에 홀더수단을 고착시켜서 구멍가공용 절삭공구 및 내경선삭용 절삭공구를 용이하게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셋팅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선반의 절삭공구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절삭공구의 진동을 흡수감쇄시켜서 공작물의 강력절삭 및 고정도의 가공을 행하여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반의 절삭공구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절삭공구 홀더는,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가공하거나 공작물의 구멍을 드릴가공하는 절삭공구와, 상기 절삭공구를 지지하는 복식공구대로 이루어진 선반의 절삭공구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의 생크부를 수용하여 상기 절삭공구를 지지하는 콜렛부재와, 상기 복식공구대의 하부지지판에 재치되어 복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복식공구대의 고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콜렛부재를 수용지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개방된 부위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멍을 구비한 날개부와, 상기 콜렛부재에 수용된 절삭공구의 생크부를 압압하여서 상기 절삭공구의 팁부가 상기 동작물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 셋팅볼트와, 상기 콜렛부재가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죄어주는 복수개의 고정볼트를 구비한 홀더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절삭공구홀더에 의하면, 복식공구대에 홀더수단을 고착시켜서 절삭공구를 용이하게 셋팅시킬 수 있으므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고 절삭공구의 진동을 콜렛부재가 흡수감쇄시켜 공작물의 강력절삭 및 고정도의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내경선삭가공용 절삭공구가 장착된 선반의 왕복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선반의 도시를 생략하고 종래이 기술에서 도시한 선반의 주요부분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고부호 121은 후술하게 되는 홀더수단을 지지하는 복식공구대이다. 상기 복식공구대(121)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선반(10)의 왕복대(12)에 장착된다(종래 기술의 설명한 참조바람). 그리고, 상기 복식공구대(121)는 하부지지판(122)과, 상부지지판(123) 및 복수개의 고정볼트(124)로 구성된다.
한편, 제3도에서 참고부호 40은 선반(10)의 주축대(11)에 고정된 공작물(A)의 내경을 선삭가공하는 내경선삭용절삭공구(40)로써, 공작물(A)과 접촉하여 내경을 선삭가공하는 팁부(41)와, 상기 팁부(41)를 지지하는 생크부(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참고부호(30)은 상기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를 수용하여 상기 절삭공구(40)를 지지하는 콜렛부재로써, 상기 절삭공구(40)가 상기 공작물(A)의 내경을 선삭가공할 경우 발생되는 딘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절삭공구(40)의 팁부(41)가 용이하게 공작물(A)의 센터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참고부호(20)은 상기 콜렛부재(30)를 수용지지하며, 상기 복식공구대(121)에 고착되는 홀더수단으로써, 상기 복식공구대(121)의 하부지지판( 122)에 재치되어 복수개의 고정볼트(124)에 의해 상기 복식공구대(121)에 고착되는 몸체부(24)와, 상기 몸체부(24)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상기 콜렛부재(30)를 수용지지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상기 콜렛부재(30)가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죄어주는 복수개의 고정볼트(25)와, 상기 콜렛부재(30)에 수용된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를 압압하면서 절삭공구(40)의 팁부(41)가 공작물(A)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 셋팅볼트(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수단(20)의 평면부(24b)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셋팅볼트(26)가 죄어지조록 암나사가 형성된 셋팅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수단(20)의 날개부(24a)에는 상기 고정볼트(25)가 죄어지도록 복수개의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셋팅볼트(26)와 상기 고정볼트(25)에는 스프링와셔가 삽입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내경을 선삭가공하자고 하는 공작물(A)을 주축대(11)에 체결시키고, 홀더수단(20)의 몸체부(24)를 복식공구대(121)의 하부지지판(122)에 재치시킨 후 복수개의 고정볼트(124)를 죄면 상기 홀더수단(20)이 상기 복식공구대(121)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상기 홀더수단(20)을 상기 복식공구대(121)에 견고하게 고착시킨 후, 절삭공구(40)가 수용된 콜렛부재(30)를 상기 홀더수단(20)의 수용부(21)에 수용시킨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40)가 수용된 콜렛부재(30)를 상기 홀더수단(20)의 수용부(21)에 수용시킨 후에는 상기 홀더수단(20)의 셋팅볼트(26)를 죄면 상기 셋팅볼트(26)의 단부가 상기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의 평면을 압압하여서 상기 절삭공구가(40)의 팁부(41)가 공작물(A)의 중심에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수단(20)의 복수개의 고정볼트(25)를 죄면 상기 절삭공구(40)가 수용된 콜렛부재(30)가 상기 홀더수단(20)에 견고하게 수용지지되므로써 상기 절삭공구(40)가 유동됨에 없게된다. 즉, 상기 홀더수단(20)의 수용부(21)에 절삭공구(40)가 수용된 콜렛부재(30)를 수용시킨 후, 셋팅볼트(26)와 복수개의 고정볼트(25)를 죄면 상기 절삭공구(40)가 용이하게 공작물(A)을 가공할 수 있는 정위치에 셋팅되므로써 셋팅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코스트가 다운되는 것이다.
또, 상기 홀더수단(20)에 견고하게 수용지지된 절삭공구(40)로써 공작물(A)에 내경을 선삭가공할 경우, 공작물(A)의 선삭가공으로 인한 상기 절삭공구(40)의 진동이 상기 콜렛부재(30)에 전달되어 감쇄되므로써 공작물(A)을 강력절삭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도의 내경선삭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40)는 콜렛부재(30)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수단(20)에 의해 견고하게 셋팅되므로써, 절삭공구(40)의 생크부(41)에 적합한 콜렛부재(30)를 수용하면 어떠한 크기의 내경선삭용 절삭공구(40)도 호환성있게 셋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제2실시예에 따른 구멍가공용 절삭공구가 장착된 선반의 왕복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5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참고부호(40')는 공작물(A)에 구멍을 가공하는 구멍가공용 절삭공구로써, 날부(41')와 생크부(42')로 구성된다.
또한, 참고부호(30')는 상기 절삭공구(40')의 생크부(42')를 수용지지하는 콜렛부재로써,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점 상기 테이퍼형태의 생크부(42')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내부가 테이퍼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멍가공용 절삭공구(40')를 상기한 홀더수단(20)에 고착시킨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홀더수단(20)에 의하면 구멍가공용 절삭공구(40')를 왕복대(12)에 셋팅시켜서 공작물(A)의 구멍을 가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반의 절삭공구홀더에 의하면, 복식공구대에 홀더수단을 고착시켜서 절삭공구를 용이하게 셋팅시킬 수 있으므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고, 절삭공구의 진동을 콜렛부재가 흡수감쇄시켜 공작물의 강력절삭 및 고정도의 가공을 할수 있으며, 구멍가공용 절삭공구도 왕복대에 셋팅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공작물의 내경을 선삭가공하거나 공작물의 구멍을 드릴가공하는 절삭공구와, 상기 절삭공구를 지지하는 복식공구대로 이루어진 선반의 절삭공구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의 생크부를 수용하여 상기 절삭공구를 지지하는 콜렛부재와; 상기 복식공구대의 하부지지판에 재치되어 복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복식공구대에 고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콜렛부재를 수용지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개방된 부위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멍를 구비한 날개부와, 상기 콜렛부재에 수용된 절삭공구의 생크부를 압압하여서 상기 절삭공구의 팁부가 상기 공작물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 셋팅볼트와, 상기 콜렛부재가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죄어주는 복수개의 고정볼트를 구비함 홀더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절삭공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부재는 테이퍼 형태의 생크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가 테이퍼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절삭공구홀더.
KR2019930016456U 1993-08-24 1993-08-24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KR960004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56U KR960004737Y1 (ko) 1993-08-24 1993-08-24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56U KR960004737Y1 (ko) 1993-08-24 1993-08-24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21U KR950005821U (ko) 1995-03-20
KR960004737Y1 true KR960004737Y1 (ko) 1996-06-08

Family

ID=1936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456U KR960004737Y1 (ko) 1993-08-24 1993-08-24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7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21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26B1 (ko) 선반 진원 가공용 지그
CN216421836U (zh) 一种应用于机床的机械手和机床
JP2001018101A (ja) 主軸移動型自動旋盤、そのための支持ユニットそして位置決め治具
KR960004737Y1 (ko) 선반의 절삭 공구 홀더
JP4271402B2 (ja) 細物ワーク加工用の2主軸対向旋盤
CN210231553U (zh) 一种薄板镗铣圆弧面倒角装置
JP2001191253A (ja) 汎用加工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US6145420A (en) Turret lathe tool holder
US3761193A (en) Drill jig
JP3160232B2 (ja) 複合穴加工工具
JP2001025902A (ja) 旋盤加工用汎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US3471912A (en) Tool holder assembly for machine tools
JP4806472B1 (ja) チャック装置
CN214922586U (zh) 基于三爪自定心卡盘夹持的多功能夹具
KR200241484Y1 (ko) 길이조정이가능한공작기계용공구
CN217860014U (zh) 前推式定位夹具
CN217596705U (zh) 一种可定位加工的磨床
ES8702814A1 (es) Mandril de sujecion de mordazas para tornos destinados a me-canizar piezas de trabajo segun varios ejes de mecanizacion
US5310397A (en)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automatic complex lathe
CN218696389U (zh) 一种卡盘工装
KR900002254Y1 (ko) 모오스 테이퍼 홀더의 테이퍼홀 연삭용 고정구
KR200381708Y1 (ko) 회전이 가능한 가공 공구대를 구비한 씨엔씨 선반
JPH05345203A (ja) 対向主軸旋盤における主軸台クランプ装置
KR20230166299A (ko) 선반의 선반척용 소형 가공물 지지툴
RU1808502C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зенковани отверст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