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23Y1 - 자동차의 핸들카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핸들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23Y1
KR960004523Y1 KR2019940001144U KR19940001144U KR960004523Y1 KR 960004523 Y1 KR960004523 Y1 KR 960004523Y1 KR 2019940001144 U KR2019940001144 U KR 2019940001144U KR 19940001144 U KR19940001144 U KR 19940001144U KR 960004523 Y1 KR960004523 Y1 KR 960004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le
steering wheel
handle cov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44U (ko
Inventor
최덕신
Original Assignee
최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신 filed Critical 최덕신
Priority to KR2019940001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23Y1/ko
Publication of KR950023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핸들카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핸들카바를 나타내는 전체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된 핸들카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치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된 핸들카바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카바 10 : 기재
20 : 완충부재 30 : 외피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설치되는 핸들카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손바닥과 밀착력을 극대화시킴과 아울러 땀과 같은 수분을 흡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장시간 주행시에도 차체에서 전달된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된 자동차의 핸들카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핸들의 조종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항상 핸들을 파지하고 긴장된 상태에서 주행을 행함으로써 손바닥과 핸들표면과의 사이에 땀으로 인하여 미끄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운전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진동이 핸들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장시간 주행시에는 극히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킨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도 이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카바(50)에 다수의 천공부(50a)를 형성시키고 합단추(50b)에 의해 핸들의 외측에 결합되도록한 핸들카바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85-2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수의 천공부에 의해 운전시의 미끄럼은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손바닥과의 감촉이 불쾌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주행시에는 차체의 진동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됨으로서 피로감으로 인한 사고의 유발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조각(60a)들을 재봉사(60b)로 재봉시킨 핸들카바(60)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88-562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수의 조각을 재봉하는 작업에 숙련을 요하게 되어 제조코스트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후 재봉사가 손상될 경우에는 외관이 흉하고 땀등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장시간 주행시에는 차체의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피로감이 증대된다고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주행중의 땀등의 수분을 흡수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진동이 운전자에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하여 주행중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들카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핸들카바는 핸들의 외측표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는 기재와, 기재의 외주연을 따라서 외측에 그 가장자리가 일체로 재봉되며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부직포로 형성된 완충부재와, 완충부재의 외측표면에 일체로 도포형성된 외피로 이루어진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1)은 자동차의 핸들표면에 긴밀하게 피복되는 핸들카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핸들카바(1)는 탄력성을 갖는 연질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10)와, 상기 기재(10)의 외주면을 따라서 그 가장자리가 일체로 재봉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게 되는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의 외측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형성된 외피(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10)는 핸들의 외측표면에 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며, 그 내측면에는 핸들표면과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수의 미세돌기(미도시)를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는 차체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키게 되는데, 이는 탄력성을 가지고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신축되는 부직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20)의 표면에 도포형성된 외피(30)는 땀등 수분의 흡수성이 양호하고 손바닥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 예컨대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약 0.4mm 정도로 도포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30)를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하면 장기간 사용하여도 그 표면이 한층 부드러워질 뿐만 아니라 기모포와 같이 용모가 형성되어 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는 핸들카바(1)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3은 핸들카바(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재봉부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핸들카바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단면이 대략 C자형을 갖는 핸들카바(1)를 핸들에 설치할 때에는 개구부(2)를 개구시키면서 핸들의 외측에 씌우면 되는데, 이때 기재(10) 및 완충부재(20)가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핸들의 외측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가 그 표면에 도포형성된 외피(30)와 일체적으로 폭방향보다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양호함에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핸들의 외측에 용이하게 피복된 후 다시 핸들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사용중 핸들의 표면과 기재(10)의 내측면과의 미끄럼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주행중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은 상기 완충부재(20)에서 흡수 및 차단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중 땀등의 수분은 즉시 외피(30) 및 완충부재(20)에서 흡수함으로써 운전자의 손바닥과 핸들카바(1)와의 미끄럼이 방지되어 안전한 운전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핸들카바에 의하면, 기재의 외측에 외피가 도포형성된 완충부재를 위치시키고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것으로 제조가 완료되어 제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완충부재에 의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설치후에는 핸들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며, 특히 운전시 손바닥과의 밀착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흡수 및 차단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외피의 표면에 융모가 형성되면서 더욱 부드러워짐으로써 더욱 수명이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핸들에 설치되는 핸들카바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외측표면에 탄성적인 긴밀하게 밀착되는 기재(10)와, 상기 기재(10)의 외주연을 따라서 그 가장자리가 일체로 재봉되며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부직포로 형성된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의 외측 표면에 일체로 도포형성된 외피(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들카바.
KR2019940001144U 1994-01-21 1994-01-21 자동차의 핸들카바 KR960004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144U KR960004523Y1 (ko) 1994-01-21 1994-01-21 자동차의 핸들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144U KR960004523Y1 (ko) 1994-01-21 1994-01-21 자동차의 핸들카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44U KR950023144U (ko) 1995-08-21
KR960004523Y1 true KR960004523Y1 (ko) 1996-06-03

Family

ID=1937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144U KR960004523Y1 (ko) 1994-01-21 1994-01-21 자동차의 핸들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07A (ko) * 1999-07-01 1999-10-05 김병두 에프알피전기집진판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07A (ko) * 1999-07-01 1999-10-05 김병두 에프알피전기집진판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44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163A (en) Cyclist gloves
US4319781A (en) Bicycle seat cover
US5752279A (en) Goalkeeper's glove with finger tip cap(s)
KR960004523Y1 (ko) 자동차의 핸들카바
JPH0754256Y2 (ja) サンバイザー
JPS6487938A (en) Belt with tooth
JPH0124101Y2 (ko)
KR101683370B1 (ko) 차량용 핸들커버
KR200404980Y1 (ko) 핸들
KR200189562Y1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JPH0529943Y2 (ko)
KR200316899Y1 (ko) 자동차 핸들 커버
US7409888B2 (en) Cover for parking brake control valve button
CA2066889C (en) Finger-pressure device for car steering wheel
JPS5848185Y2 (ja) 自動車の運転者用ひざ当て
JP3006776U (ja) シ−トベルト用緩衝体
KR960006457Y1 (ko) 자동차용 핸들카바
KR950009021Y1 (ko) 자동차 핸들 커버
JPH0130210Y2 (ko)
JPH0529143Y2 (ko)
KR970001470Y1 (ko) 자동차용 지압 시트커버
JPH02291389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KR960004524Y1 (ko) 자동차 핸들용 위생커버
KR900008362Y1 (ko) 수동 와이퍼 (手動 Wiper)
KR200269605Y1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