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20Y1 -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20Y1
KR960004520Y1 KR2019940018807U KR19940018807U KR960004520Y1 KR 960004520 Y1 KR960004520 Y1 KR 960004520Y1 KR 2019940018807 U KR2019940018807 U KR 2019940018807U KR 19940018807 U KR19940018807 U KR 19940018807U KR 960004520 Y1 KR960004520 Y1 KR 960004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il
steering wheel
locking groove
coil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852U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8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20Y1/ko
Publication of KR960004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콘택트 코일이 록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콘택트 코일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콘택트 코일의 록킹상태를 보인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택트 코일 2 : 스티어링 휘일
3 : 스프링 4 : 고정구
10 : 외통 10a : 돌부
10b : 걸림홈 20 : 본체
본 고안은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택트 코일(contact coil)을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에 취부후 콘택트 코일 자체의 회전방지수단을 제거해도 스티어링휠의 고정구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코일은 코일이 감겨있는 내통과 외통이 상대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사용되나 차량에 스티어링휠과 함께 장착되기 전에는 내통과 외통이 상대 회전운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콘택트 코일에는 스티어링휠에 취부하기전에 내통과 외통이 상대 회전운동하지 못하게 하는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콘택트 코일은, 스티어링휠에 콘택트 코일을 취부하고 회전방지수단을 제거하게 되면 내통과 외통의 상대회전운동을 막아줄 수 없게 되어 콘택트 코일이 취부된 스티어링휠을 컬럼 샤프트에 장착하기 전까지 별도의 취부 수단으로 상기 콘택트 코일을 회전방지수단이 갖추어진 스트어링 컬럼에 취부시키고, 장착후에 콘택트 코일의 록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취부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저하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콘택트 코일의 외통에 걸림홈을 갖게 돌설된 돌부와, 스티어링휠 본체에 일측이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게 축착되며 타측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고정구로 구성된 록킹 장치를 제공하여 콘택트 코일을 스티어링휠에 취부하게 되면 고정구의 타측이 걸림홈에 끼워져, 콘택트 코일을 회전방지수단이 갖추어진 스티어링 컬럼에 별도로 취부시키지 않아도 외통과 내통이 상대 회전운동할 염려없이 스티어링휠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콘택트 코일의 취부잡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 코일이 취부된 스티어링휠을 컬럼샤프트에 끼우고 너트를 조여주게 되면 걸림홈에서 고정구의 타측이 저절로 이탈되어 별도의 록킹 해제 작업을 하지 않고도 콘택트 코일의 외통과 내통이 차량에 장착후 상대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휠(2)에 취부되는 콘택트 코일(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코일(1)의 외통(10) 내측에 돌설된 돌부(10a)와, 상기 돌부(10a)에 형성된 걸림홈(10b)과, 상기 스티어링휠(2)의 본체(20)에 일측이 스프링(3)으로 탄력 지지되고 타측이 걸림홈(10b)에 끼워지게 축착된 고정구(4)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콘택트 코일(1)은 코일(12)이 감겨 있는 내통(11)과, 코일(12)를 감싸고 있는 외통(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티어링휠(2)에 취부전까지 테이프로 외통(10)과 내통(11)을 감아주거나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사용하여 외통(10)과 내통(11)이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외통(10)과 내통(11)이 고정된 콘택트 코일(1)을 스티어링휠(2)의 본체(20)에 끼우고 돌부(10a)의 걸림홈(10b)이 고정구(4) 위치에 일치하도록 돌려주면 고정구(4)의 타측이 걸림홈(10b)에 끼워지게 된다.
고정구(4)의 타측이 걸림홈(10b)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5)로 본체(20)에 내통(11)을 체결한후 테이프나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제거하게 되면 콘택트 코일(1)을 스티어링휠(2)에 취부하는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제1도는 콘택트 코일(1)을 스티어링휠(2)에 취부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내통(11)은 체결구(5)로 본체(20)에 고정되고 외통(10)은 걸림홈(10b)에 끼워진 고정구(4)에 의해 본체(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10)과 내통(11)이 별도로 회전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콘택트 코일(1)이 상기와 같이 취부된 스티어링휠(2)을 컬럼 샤프트(7)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콘택트 코일(1)이 취부된 스티어링휠(2)을 컬럼 샤프트(7)에 끼우고 너트(70)를 조여주게 되면 너트(70)가 고정구(4)의 일측을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구(4)는 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고정구(4)의 타측이 돌부(10a)의 걸림홈(10b)으로 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콘택트 코일(1)을 컬럼 샤프트(7)에 장착한 후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콘택트 코일(1)의 록킹장치가 저절로 해제되어 스티어링휠(2)을 돌려주는데 따라 외통(10)과 내통(11)이 상대 회전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콘택트 코일(1)의 외통(10)에 걸림홈(10b)을 갖게 돌설된 돌부(10a)와, 스티어링휠(2)의 본체(2)에 일측이 스프링(3)으로 탄력지지 되게 축착된 고정구(4)로 구성된 록킹장치를 제공하여 콘택트 코일(1)을 스티어링휠(2)에 취부하게 되면 고정구(4)가 걸림홈(10b)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콘택트 코일(1)을 회전방지수단이 갖추어진 스티어링 컬럼(2)에 별도로 취부시키지 않아도 외통(10)과 내통(11)이 상대회전운동할 염려없이 설치되게 하고, 스티어링휠(2)을 컬럼샤프트(7)에 장착하게 되면 고정구(4)가 회동되어 콘택트 코일(1)의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스티어링휠(2)에 취부되는 콘택트 코일(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코일(1)의 외통(10) 내측에 돌설된 돌부(10a)와, 상기 돌부(10a)에 형성된 걸림홈(10b)과, 상기 스티어링휠(2)의 본체(20)에 일측이 스프링(3)으로 탈력 지지되고 타측이 걸림홈(10b)에 끼워지게 축착된 고정구(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KR2019940018807U 1994-07-27 1994-07-27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KR960004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07U KR960004520Y1 (ko) 1994-07-27 1994-07-27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07U KR960004520Y1 (ko) 1994-07-27 1994-07-27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52U KR960004852U (ko) 1996-02-16
KR960004520Y1 true KR960004520Y1 (ko) 1996-06-03

Family

ID=1938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807U KR960004520Y1 (ko) 1994-07-27 1994-07-27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52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812A (en) Bearing lock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US5848540A (en) Steering column lock for motor vehicles
JP2004510926A (ja) ホイールナット装置
EP0374453A3 (en) Steering wheel lock
US5913634A (en) Attachment device for connecting a vehicle steering wheel to a steering shaft
US4287735A (en) Key assembly for coded security system
EP0269616B1 (en) Device for securing automobile wheels against theft
JPH04106057U (ja) ケーブルリール
KR960004520Y1 (ko)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KR100349743B1 (ko) 도난방지용 트렁크 라이센스의 이중 잠금 구조
US5561255A (en) Tensioning device for the skins of percussion instruments
KR960004526Y1 (ko) 콘택트 코일의 록킹장치
US4749234A (en) Anti-rotation/retention clip for wheel trim
JPS6030561B2 (ja) 自動車のタイヤホイ−ルロツク
JPH11144829A (ja) ケーブルリールのストッパー構造
JPS6311002Y2 (ko)
KR200152997Y1 (ko) 자동차의 안테나 고정구조
JPH0653838U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のダストカバーブーツ
KR100235873B1 (ko) 풀림 방지용 너트 구조
JPH0218574Y2 (ko)
GB2220720A (en) Security device
JPH0516519U (ja) 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JPS5943048Y2 (ja) カツタ締結装置
KR970002270Y1 (ko) 차량의 연료여과기 고정구조
CA1270659A (en) Device for securing automobile wheels against the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