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93B1 - 무선전화기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93B1
KR960004293B1 KR1019930005476A KR930005476A KR960004293B1 KR 960004293 B1 KR960004293 B1 KR 960004293B1 KR 1019930005476 A KR1019930005476 A KR 1019930005476A KR 930005476 A KR930005476 A KR 930005476A KR 960004293 B1 KR960004293 B1 KR 96000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ler
signal
buffer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109A (ko
Inventor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신광자동화스템주식회사
박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자동화스템주식회사, 박광배 filed Critical 신광자동화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293B1/ko
Publication of KR9400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전화기 핸드셋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셋 12 : 콘트롤러
14 : 데이터 입력부 16 : 전화벨 구동부
18 : 송수화기 20 : 제1버퍼
30 :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 40 : 제2버퍼
50 : 원격제어용 주파수 발생부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화기에 리모콘기능과 자동응답기능을 부가하여 리모콘제어가 가능한 제품을 외부에서 전화로 원격제어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은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다이얼톤에 해당된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주파수 발생부를 구동함과 동시에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호출음이 있을 때 소정의 멜로디음을 발생시키는 전화벨 구동부와, 송수화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전화기 핸드셋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전화번호에 해당된 주파수를 무선전화기의 본체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가입자의 전화기에 호출음을 발송하거나, 상기 무선전화기에 착신자의 음성을 무선으로 발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나, 무선전화기에서 원격제어용 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주파수를 사용자가 입력시킬 수 없어 외부에 있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용 제품을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 TV이나 조명등을 작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 전화기등을 이용하여 입력시킨 데이터에 따라 원격제어용 주파수를 출력하여 선택된 원격제어용 제품을 작동시키는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다이얼톤에 해당되는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전화벨구동부 및 송수화기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가입자가 외부전화기에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작동에 따라 출력되는 호출음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화벨 구동부와, 상기 전화벨 구동부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음을 완충하는 제1버퍼와, 상기 제1버퍼에서 출력된 호출음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와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를 송수화기에 전송하는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에 대한 다이얼톤을 완충하는 제2버퍼와, 상기 제2버퍼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자동응답기 및 원격제어용 제품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리모콘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원격제어용 주파수를 발생하는 원격제어용 주파수 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핸드셋(10)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동도면에서, 제1버퍼(20)는 전화벨 구동부(16)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콘트롤러(12)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음 신호를 완충하여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버퍼(40)는 상기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서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가 송수화기(18)에 전달되었을때 사용자가 외부전화기에서 입력시킨 다이얼톤을 완충하여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원격제어용 주파수 발생부(50)는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따라 원격제어용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12)는 데이터 입력부(14)에 원격제어용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스캔하여 제2버퍼(40)를 통해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부(3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서 가정에 있는 원격제어용 제품(100)을 원격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을 채용한 무선전화기를 설치한 가입자가 외부에 있는 전화기에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제1도에 도시된 무선전화기의 핸드셋(10)의 콘트롤러(12)가 작동되어 호출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화벨구동부(16)를 작동시키고, 이 호출음 제어신호를 제1버퍼(20)에서 완충시킨 후,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입력시킨다.
상기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완충된 호출음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는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를 송수화기(18)로 출력하여 호출음을 보낸 가입자에게 원격제어하고 싶은 제품에 해당된 데이터를 보낸다. 이때 가입자(사용자)가 원격제어용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제2버퍼(40)에서 원격제어용 데이터(다이얼톤)를 완충하여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원격제어용 데이터가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입력되면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는 원격제어용 데이터에 해당되는 구동데이터를 원격제어용 주파수 발생부(50)에 공급하여 원격제어용 제품(100)을 작동시키는 주파수를 발생하여 원격제어용 제품(100)을 작동시킨다.
한편, 가정내에서 원격제어용 제품(100)을 작동시키고자 사용자가 데이터 입력부(14)에 원격제어용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콘트롤러(12)는 이를 스캔하여 원격제어용 데이터를 제2버퍼(40)를 통해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30)에 공급하므로 전술한 바와같이 원격제어용 제품(100)이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는 외부에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정에 있는 원격제어용 제품인 TV이나 VTR 및 조명등의 작동을 가입자의 소망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제어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다이얼톤에 해당되는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전화벨구동부 및 송수화기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가입자가 외부전화기에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콘트롤러의 작동에 따라 출력되는 호출음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화벨 구동부와, 상기 전화벨 구동부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음을 완충하는 제1버퍼와, 상기 제1버퍼에서 출력된 호출음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와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를 송수화기에 전송하는 자동응답기 및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용 데이터 입력요구신호에 대한 다이얼톤을 완충하는 제2버퍼와, 상기 제2버퍼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자동응답기 및 원격제어용 제품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리모콘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원격제어용 주파수를 발생하는 원격제어용 주파수 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KR1019930005476A 1993-03-31 1993-03-31 무선전화기 KR96000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76A KR960004293B1 (ko) 1993-03-31 1993-03-31 무선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76A KR960004293B1 (ko) 1993-03-31 1993-03-31 무선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09A KR940023109A (ko) 1994-10-22
KR960004293B1 true KR960004293B1 (ko) 1996-03-30

Family

ID=1935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476A KR960004293B1 (ko) 1993-03-31 1993-03-31 무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2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09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293B1 (ko) 무선전화기
US7519377B2 (en) Calling system from accessory to portable device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JPS6010992A (ja) 電話装置
JP2896592B2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960003108B1 (ko) 전화기 호출음을 이용한 메세지 웨이트 방법 및 그 장치
JPH0585142U (ja) ワイヤレス電話機
KR960008773Y1 (ko) 호칭소리가 나오는 전화기
KR980013188A (ko) 전화기에 있어 시간 대역별 벨소리 변환장치 및 방법
KR200266227Y1 (ko) 음성 다이얼링 핸즈프리
JPH09252484A (ja) 携帯電話機
KR2004009334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JP3116433B2 (ja) 電話装置
KR840002905Y1 (ko) Tv에 내장한 리모콘 전화통화 장치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9980053595A (ko) 통화중 메모기능을 갖춘 키폰시스템
KR970072904A (ko)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기의 원격 송수화 제어장치
KR940023256A (ko) 무선 비디오 도어폰 장치
KR20040000904A (ko) 취침모드가 마련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9990026918A (ko) 무선전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세트
KR200198295Y1 (ko) 휴대 단말기의 가청신호 출력장치
JPS6291048A (ja) 電話機
KR20000008299U (ko) 휴대 이동 통신기의 자동 진동 또는 램프 변환시의 동작
KR200400187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자동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