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98Y1 -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98Y1
KR960004198Y1 KR2019930002851U KR930002851U KR960004198Y1 KR 960004198 Y1 KR960004198 Y1 KR 960004198Y1 KR 2019930002851 U KR2019930002851 U KR 2019930002851U KR 930002851 U KR930002851 U KR 930002851U KR 960004198 Y1 KR960004198 Y1 KR 960004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haft
door fram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865U (ko
Inventor
박희주
Original Assignee
박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주 filed Critical 박희주
Priority to KR2019930002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198Y1/ko
Publication of KR940020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제1도는 중접문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중접문 경첩을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2 : 좌측문
3 : 우측문 6 : 링
7 : 받침캡 20 : 좌측문틀부재
21, 31 : 중공부 22, 33 : 가로대 결합부
23, 33 : 완충부재삽입부 24 : 힌지파이프
30 : 우측문틀부재 40 : 경첩부재
41 : 힌지축 42 : 축파이프
43 : 고정편 50 : 보강편
51 : 나사구멍 52 : 나사
본 고안은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중접문의 좌측문과 우측문을 경첩으로 연결하되 보다 견고한 상태로 연결하면서 마찰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수명이 오래갈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이라 하면 문을 문틀에 달아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중접문의 경우에는 문틀이 아니라 좌,우측의 문짝을 서로 연결해주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접문은 문을 여닫는 식으로 하되 문이 열렸을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고자 문짝을 둘로 나눈 후, 이들 사이에 경첩을 연결해 서로 중첩되면서 열리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중접문용 경첩은 그 평단면도인 제6도에서 자세히 볼 수 있는데, 이는 좌,우 양측의 문짝틀(a)(b)이 전길이에 걸쳐 힌지축편(c)을 갖는 문틀부재(f)로 되어 있으며, 또 이들의 사이에는 상기의 힌지축편(c)들이 끼워질 한쌍의 힌지홈(d)을 보유하는 축부재(e)를 문짝틀과 같은 길이로 준비하여 된 것이며,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첫째, 축부재(e)와 문틀부재(f)가 다같이 문의 전체높이를 가지는 것이어서 조립이 번거롭다. 즉, 문틀부재(f)의 축편(c)을 축부재(e)의 힌지홈(d)에 끼우자면 길이방향으로 부터 끼워야 하는 바, 문짝의 두배 높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확보 되어야만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둘째, 위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끼워 조립했을때 이들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체결수단(특히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셋째, 축편(c)과 힌지홈(d)이 모두 알루미늄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마찰음이 발생하여 시끄러우며, 넷째, 장시간 사용하였을때 마모로 인해 길이방향이 아닌 측편으로의 체결력이 약해져 빠질 염려가 있는 것이다.
다섯째, 축점이 두곳이기 때문에 문이 조금이라도 처진다거나 어느 한쪽이라도 원활히 회동하지 못하면 문을 여닫을 수 없는 것이어서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여섯째, 문을 여닫을 때 충격흡수가 안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보완 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경첩의 체결을 보다 간편하도록 하는 한편, 서로 체결했을때 견고히 받쳐질 수 있으며,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일측의 문틀에는 고정편과 축봉파이프와 그 축봉파이프에 축봉을 끼워서된 경첩부재를 고정하고, 타측의 문틀에는 상기의 축봉이 삽입될 힌지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하며,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완충부재와 경첩부재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정편으로 구성하여, 준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사용된 중접문의 사시도로써 문틀(1)과 좌측문짝(2)과 우측문짝(3)을 볼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경첩부재(40)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로써 좌,우측 문짝(2)(3)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제3도는 상기한 요부의 평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좌측문(2)과 우측문(3)의 좌,우측변에 각각의 좌측 문틀부재(20)와 우측의 문틀부재(30)가 문짝을 구성하고 있다. 이때, 좌측 문틀부재(20)는 중앙에 사각중공부(21)가 있고, 왼편으로 문짝의 가로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2)가 있으며, 오른편에는 앞쪽으로 완충부재 삽입부(23)가 , 뒷쪽으로 힌지파이프(24)가 마련되어 있다. 또 우측 문틀부재(30) 역시 중앙에 사각중공부(31)가 있고, 오른편으로 가로대결합부(32)가 있으며, 왼편에는 앞쪽에 완충부재 삽입부(3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경첩부재(40)는 힌지축(41)이 끼워진 축파이프(42)와 이 축파이프(42)에서 일체로 연장된 고정편(43)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43)에는 나사공(44)이 세로로 다수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첩부재(40)를 상기의 우측 문틀부재(30)에 고정하고자 할때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고정편(43)을 우측문틀부재(30)의 완충부재 삽입부(33) 뒷쪽에 위치 시킨다음 나사(52)로 조립하되, 문틀부재(30)의 중공부(31)속에서 다수의 암나사공(51)을 가진 보강편(50)을 대고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한 후에는 상기의 경첩부재(40)의 힌지축(41)을 좌측문틀부재(20)의 힌지 파이프(24)에 끼워주면 힌지점이 되며, 이 힌지점은 제3도에서 보듯이 양측 문틀부재(20)(30)보다 외측에 위치하므로 회전가능한데 이들 사이에는 마찰이 생기므로 힌지축(41)쪽에는 링(6)이나 베어링의 슬라이딩부재를 끼우고, 힌지파이프(24)쪽에는 받침캡(7)을 끼워주며, 또 상기의 완충부재 삽입부(23)(33)에는 각각 완충부재(26)(36)를 끼워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축파이프(42)위에 꽂아 이물질의 난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이며, 41'은 힌지축의 너얼링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좌,우측 문짝(2)(3)을 서로 연결하되 좌측 문짝(2)의 힌지파이프(24)부분에 받침캡(7)을 끼우고, 우측 문짝(3)에 고정된 경첩부재(40)의 힌지축(41)에는 링(6)을 끼운다음 이 힌지축(41)을 상기의 힌지파이프(24)에 끼워주면 서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문짝의 상,하 2곳 이상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우측문틀부재(30)에 경첩부재(40)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문틀부재(30)에 경첩부재(40)의 고정편(43)을 직접 나사 고정하면 약하므로 그 중공부(31)내측에서 보강편(50)을 대주게 되는데 이때, 고정편(43)과 문틀부재(30)와 보강편(50)을 동시에 나사로 결속하기에는 작업이 번거로우므로 보강편(50)에 조립용 암나사공(51)을 하나더 뚫어준 후, 그중 최상측의 암나사공(51)을 이용해 그 보강편(50)을 먼저 문틀부재(30)에 고정해 주고 나서 경첩부재(40)의 고정편(43)과 보강편(50)을 나사로 조립하면 경첩부재의 고정작업이 손쉬웁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좌,우 양측 문짝을 경첩으로 연결할때 힌지축(41)의 길이 만큼만 문짝을 들어서 상대편 문짝의 힌지 파이프(24)에 끼우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지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것이고, 또 이들간에는 서로 링(6)과 받침캡(7)을 개입시켰기 때문에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보다 더 수명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고, 또 이는 경첩의 축이 종래의 중접문용 경첩과 달리 그 힌지점이 두곳이 아니라 한곳이므로 회동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문이 닫힐때에 완충부재(26)(36)의 만곡부가 오므라들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되고,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미관상 좋은 문짝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좌측문(2)과 우측문(3)을 중접하여 여닫도록 하되 경첩부재(40)를 일측문틀부재(30)의 중공부(31)내에 삽입되는 보강편(50)에 나사 조립하여 회동가능토록 한 중접문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40)의 고정편(43) 일측으로는 힌지축(41)이 끼워진 축파이프(42)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문틀부재(30)에는 상기 힌지축(41)을 수용하는 힌지파이프(24)가 일체로 돌출성형되며, 상기 축파이프(42)와 힌지파이프(24)에 대향되는 위치의 문틀부재(20)(30)에는 상기 중접문이 닫힐 때 완충 작용하는 완충부재(26)(36)가 조립되며, 상기 축파이프(42)는 상기 힌지파이프(24) 상부의 받침캡(7)에 회동을 위한 링(6)을 개재하여 지지되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50)에는 고정편(43)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문틀부재(30)에 미리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공(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KR2019930002851U 1993-02-27 1993-02-27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KR960004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51U KR960004198Y1 (ko) 1993-02-27 1993-02-27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51U KR960004198Y1 (ko) 1993-02-27 1993-02-27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65U KR940020865U (ko) 1994-09-17
KR960004198Y1 true KR960004198Y1 (ko) 1996-05-22

Family

ID=1935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851U KR960004198Y1 (ko) 1993-02-27 1993-02-27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1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65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7567A1 (en) Lockable hinge device
WO1999023337A1 (en) Covered pinned hinge
CA1301414C (en) Hinge assembly for shower stalls
US4864688A (en) Hinge having varied height offset leafs
EP1612356B1 (en)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US4821373A (en) Resilient hinge having S-shaped members and a releasable catch
KR960004198Y1 (ko)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US5887316A (en) One-pin furniture hinge with adjusting system
AU648828B2 (en) Mechanisms for openable/closeable means
JPH08210046A (ja) 建 具
KR20000021221A (ko) 도어용 경첩
PL179392B1 (pl) Skrzydlo bramy PL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JP3082909B2 (ja) 折戸用二軸蝶番
JPH0627731Y2 (ja) 折戸の連結部構造
EP1152115A2 (en) Hinge with locking means particularly for folding shutters
KR200190929Y1 (ko) 가구용 도어힌지
JP2831111B2 (ja) 蝶 番
KR200279152Y1 (ko) 붙박이장문 힌지
KR20030060205A (ko) 외부 노출 차단형 경첩
KR0127298Y1 (ko) 출입문용 안전커버
KR200157631Y1 (ko) 셔터비상문용 자동경첩
JP3654121B2 (ja) 折り戸のヒンジ部の構造
JPS63100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