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75Y1 -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75Y1
KR960004075Y1 KR2019930026313U KR930026313U KR960004075Y1 KR 960004075 Y1 KR960004075 Y1 KR 960004075Y1 KR 2019930026313 U KR2019930026313 U KR 2019930026313U KR 930026313 U KR930026313 U KR 930026313U KR 960004075 Y1 KR960004075 Y1 KR 960004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valve
hopp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613U (ko
Inventor
설상준
Original Assignee
설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상준 filed Critical 설상준
Priority to KR2019930026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75Y1/ko
Publication of KR950016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중 쌀을 순환시켜 세척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중 쌀을 배출시키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상부체
3 : 급수관 4 : 밸브
5 : 투사관 6 : 쌀배출구
7 : 순환관 11 : 집수통
21 : 호퍼 22 : 수공
31 : 엘보 33 : 분사노즐
41 : 밸브스플 41a : 유도로
42 : 밸브핸들 71 : 나팔관
본 고안은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수압펌프를 이용하거나, 수압이 높은 수도관과 직접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주입되는 물이 호퍼에 투입된 쌀과 혼합되면서 마찰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에 위치한 순환관과 밸브스플, 투사관을 통해 호퍼내로 투사되어 순환시키고, 이러한 반복순환과정에서 세척된 쌀은 밸브스플의 선택여부에 따라 외부로 통해 있는 쌀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의 업소에서 쌀을 세척할때에는 일정크기의 용기에 쌀과 물을 함께 넣고 조리자가 힘을 가해 손으로 문지르고, 여러번 물로 헹구어 내는 형태로 세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조리자가 힘을 가해 문지르게 되기 때문에 쌀과 쌀이 마찰되어 그 표면이 많이 깎이고 이때 쌀이 갖는 고유의 영양가가 손실된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일 뿐만 아니라 그 만큼 물의 낭비도 많아지고 위생상으로도 문제가 되어 개설해야될 과제로 대두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3-2429호, 동제85-17호 등의 쌀 세척장치가 제공되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그 구조가 복잡하고 난해하여 제작비가 과중되고, 따라서 공급단가가 높아져 구매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하였으며, 특히 상기 제85-17호에서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익으로 쌀을 문지르게 하고 그와 동시에 물이 계속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기계적인 힘으로 문질러지게 하기 때문에 쌀의 알맹이가 의깨지거나 파괴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물의 소비가 과다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종래의 양자고안 모두 전기적인 힘으로 내부의 장치를 가동시켜 세척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량이 과중된다는 폐단이 내재되어 있어 개선해야될 문제로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고안의 첫째목적은 수압이 높은 수도관과 직접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주입되는 물이 호퍼에 투입된 쌀과 혼합되면서 수압으로 마찰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에 위치한 순환관과 밸브스플, 투사관을 통해 물과 혼합된 쌀이 호퍼내로 투사되어 반복순환시키고 이러한 반복순환과정에서 세척된 쌀은 밸브스플의 선택여부에 따라 외부로 통해 있는 쌀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둘째목적은 상기한 세척장치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세척하고 고압의 물과 혼합되면서 마찰되므로 쌀 알맹이가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며, 문지르지 않고 순수한 부유물만을 제거하게 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쌀의 영양가 손실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셋째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그 제작비가 낮아져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넷째목적은 순수한 수압만으로 쌀을 세척하게 되므로, 전기의 소모를 배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집수통(11)이 형성된 본체(1)의 상부로 부터 그 내부에 끼워 설치된 호퍼(21)에는 다수의 수공(22)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분사노즐(32)과 엘브(31)가 결합된 급수관(3)이 상기 본체(1)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설치되며 상기 호퍼(21)가 하부에 일체로된 상부체(2)의 내부일측에는 상부에 밸브핸들(42)이 결합되고 그 내측에 유도로(41a)가 형성된 밸브스플(41)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밸브(4)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밸브(4)의 중간부 일측에는 투사관(5)의 한단이 격판(2a)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외부로 관통된 쌀배출구(6)가 고정결합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호퍼(21)의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내부로 연통된 노즐(32)의 분사구(33)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체로 순환관(7)이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써 12는 집수통(11)을 이루고 있는 본체(1)내부의 경사판, 13은 배출구, 34, 46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 2b는 호퍼뚜껑, 45는 밸브넛트, 44는 밸브뚜껑, 51은 투사관(5)의 투사구, 43은 밸브스플(41)과 밸브핸들(42)을 고정하고 있는 피스볼트, 10은 수도관과 연결된 호스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제 본체(1)의 일측에 관통설치된 급수관(3)에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된 호스(10)을 끼우고, 호퍼뚜겅(2b)을 열어 상부로부터 일정량의 쌀을 투입시킨 다음 수도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급수관(3)에 물을 주입시켜 준다.
이때 고압의 물이 급수관(3)과 엘보(31)을 통과하면서 점차적으로 압이 상승되어 분사노즐(32)의 분사구(33)을 통해 분사되어 투입된 쌀과 혼합되면서 수압에 의해 쌀이 순환관(7)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밸브스플(41)의 유도로(41a)를 따라 투사관(5)으로 유도투사 되어 상부체(2)의 내벽과 호퍼(21)의 일측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린다.
이때, 쌀의 입자표면에 묻어 있던 부유물은 수압에 의한 물이 마찰로 세척되고 한번순환된물 즉 세척하여 부유물이 포함된 물은 호퍼(21)에 다수개 형성된 수공(22)을 통해 집수통(11)으로 흘러 내려 배출구(13)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집수통(11)의 밑면을 경사판(12)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순환되어 흘러 내린 쌀은 분사노즐(32)을 통해 계속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순환관(7)으로 재유도되어 반복순환시켜 주므로써 쌀이 완전히 세척되게 된다.
한편, 세척된 쌀은 상부일측의 밸브핸들(42)을 돌려 그와 결합된 밸브스플(41)의 유도로(41a)를 쌀배출구(6)측으로 회전시켜 순환되고 있던 쌀을 쌀배출구(6)으로 유도배출하면 되는데, 이때, 투사관(5)의 투사구(51)는 밸브스플(41)의 회전에 의해 밀폐되고, 쌀배출구(6)가 밸브스플(41)의 유도로(41a)에 의해 개방되어 그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세척된 쌀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고 나면 밸브핸들(42)을 다시 원위치시켜 밸브스플(41)의 유도로(41a)를 투사관(5)의 투사구(51)에 맞추어 분사되는 물이 호퍼(21)의 내부에 순환되도록 하여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는 상기 순환관(7)의 하부를 나팔관(71)형상으로 확개시키고 상기 투사관(5)의 끝단을 상,하부에서 가압하여 수축시킴과 동시에 좌, 우로 확장시켜 순환관(7)으로 유입상승되는 쌀과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게 하고 또한 순환되어 투사관(5)을 통해 투사되는 쌀과 물의 압력, 즉 속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 밖에 다른 구성부분은 본 고안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압이 높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주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그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쌀 알맹이가 으깨지거나 파괴될 염려가 없고, 문지르지 않고 수압에 의한 물의 마찰로 쌀 표면에 묻어 있던 부유물만을 제거케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가 손실이 최소화되며 신속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저렴한 가격에 공급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압이 낮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순수한 수도관의 수압에 의해 그 작동이 가능하므로 전기의 소모가 전혀 필요치 않아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익한 여러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집수통(11)이 형성된 본체(1)의 상부로 부터 그 내부에 끼워 설치된 호퍼(21)에는 다수의 수공(22)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분사노즐(32)과 엘보(31)가 결합된 급수관(3)이 상기 본체(1)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설치되며, 상기 호퍼(21)가 하측에 일체로된 상부체(2)의 내부 일측에는 상부에 밸브핸들(42)이 결합되고 내부에 유도로(41a)가 형성된 밸브스플(41)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밸브(4)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밸브(4)의 중간부 일측에는 투사관(5)의 한단이 격판(2a)을 관통하여 고정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외부로 관통된 쌀배출구(6)가 고정결합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호퍼(21)의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내부로 연통된 노즐(32)의 분사구(33)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채로 순환관(7)이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7)의 하부는 나팔관(71)형상으로 확개시키고 상기 투사관(5)의 끝단은 상, 하부에서 가압하여 수축시킴과 동시에 좌, 우로 확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2019930026313U 1993-12-03 1993-12-03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960004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13U KR960004075Y1 (ko) 1993-12-03 1993-12-03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13U KR960004075Y1 (ko) 1993-12-03 1993-12-03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13U KR950016613U (ko) 1995-07-20
KR960004075Y1 true KR960004075Y1 (ko) 1996-05-21

Family

ID=1936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313U KR960004075Y1 (ko) 1993-12-03 1993-12-03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367A2 (en) * 2008-03-04 2009-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seat base exte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367A2 (en) * 2008-03-04 2009-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seat base extender
WO2009111367A3 (en) * 2008-03-04 200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seat base ext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13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564B2 (ja) 洗濯機
US6289530B1 (en) Jetted laundry/utility/kitchen sink
ES1012136U (es) Maquina lavavajillas con filtro de recirculacion autolimpiable.
JP2009011221A (ja) 節水型青果物洗浄・殺菌方法及び装置
PT97725A (pt) Maquina de lavar loica, especialmente para pecas de reduzidas dimensoes
CN109394110A (zh) 一种清洗机
KR950024736A (ko) 식기세척기의 펌프
KR960004075Y1 (ko)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EP0837171B1 (en) Vertical axis washer and a rotating washplate therefor
JPH10165685A (ja) 遠心力式の洗濯機
KR20020030585A (ko)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JPH0461893A (ja) 噴流自動反転式洗濯機
US3418832A (en) Portable washing machine
KR960010144Y1 (ko)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0135479Y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0269473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970001169Y1 (ko) 수압을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200159317Y1 (ko) 세탁기의 샤워급수장치
KR940007663Y1 (ko) 식기세척기의 상부유로 단속장치
KR960010686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0238658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33057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166515Y1 (ko) 수압을 이용한 세미장치
KR20000009638A (ko) 세탁기
KR0152138B1 (ko) 순환수류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