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20Y1 - 원예용가위 - Google Patents

원예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20Y1
KR960004020Y1 KR2019930023020U KR930023020U KR960004020Y1 KR 960004020 Y1 KR960004020 Y1 KR 960004020Y1 KR 2019930023020 U KR2019930023020 U KR 2019930023020U KR 930023020 U KR930023020 U KR 930023020U KR 960004020 Y1 KR960004020 Y1 KR 960004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g
distance
scissor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716U (ko
Inventor
이치로 가와바타
Original Assignee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다키가와 시게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다키가와 시게츠구 filed Critical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8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20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예용가위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되는 원예용가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는 정면도이고 날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시(Ⅳ-Ⅳ)를 따르는 일부 절단한 정면도.
제5도는 피절단물의 절단개시시에 있어서의 제4도 상당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가위구성부재(3) 의) 날부 2 : (제1가위구성부재(3)의) 자루부
3 : 제1가위구성부재 4 : (제2가위구성부재(8)의) 날부
5 : (제2가위구성부재(8)의) 자루부 6, 7 : 지지축
8 : 제2가위구성부재 9 : 날부측 부채형톱니바퀴
10 : 자루부측 부채형톱니바퀴 11 : 조임구
12 : 스토퍼 13 : 개방자세유지용 맞붙은부위
14 : 폐쇄자세유지용 맞붙음부위 15 : 덮개체
16 : 단부 17 : 피절단물
A :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의 지지축(6)으로 부터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와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
A1: A의 최단거리 A2: A의 최장거리
B :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의 지지축(7)으로 부터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와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
B1: A의 최장거리 B2: A의 최단거리
본 고안은 한쌍의 날부와 자루부를 갖는 가위구성 부재로 주로 과수와 장미등의 절단을 하거나 깎아 손질하는 원예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굵은 가지와 단단한 수목을 잘라 떨어뜨리기에 적합한 원예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정가위, 깎아 손질하는 가위등의 원예용가위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서로 날부와 자루부가 일체적으로 연이어 접촉된 한쌍의 가위구성 부재가 서로 개폐될 수 있도록 회동자유롭게 접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원예용 가위는 회동가능접합부를 중심으로 하는 날부와 자루부의 치수비에 따라 날끝간의 엶치수와 절단에 필요한 힘이 역비례가 되어버린다.
즉 날끝간을 크게 열려고 하면 자루부에 대한 날부의 치수가 커지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필연적으로 절단하기에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반면 가벼운 힘으로 절단하려하면 자루부에 대한 날부의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날끝간이 크게 열려지지않게 된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한쌍의 가위구성부재중의 한쪽을 각각 회동자유롭게 결합가능한 날부와 자루부로 분리형성하고, 이들 날부 및 자루부의 끝 테두리에 맞물려 설치되어 지지축에서 날끝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같이 형성된 부채형톱니바퀴등의 맞물림톱니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분리형성한 각 날부와 자루부를 연결함에 따라 사용목적에 따른 날끝간의 열림이나 손목에 걸리는 힘을 임의로 설정한 원예용가위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지측에서 날끝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같이 분리형성된 날부 및 자루부를 단순히 설치하는것 으로는 피절단물에 대한 날부의 파고듬량이 비교적 적은 절단초에는 절단저항도 적기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날부가 차츰 피절단물에 깊게 파고들어오면 절단저항도 그에 따라서 증대하기 때문에 충분한 결단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현상을 피절단물인 수목의 가지등이 굵고 단단한 재질인 경우에는 한층 현저하게 나타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고 날부의 파고듬이 깊어짐에 따라서 점점 증가된 피절단기능을 갖는 원예용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련되는 원예용가위는 날부(1)와 자루부(2)를 일체적으로 연이어 설치한 제1가위구성부재(3)와 해당 제1가위구성부재(3)에 서로 분리형성된 날부(4) 및 자루부(5)를 각각 지지축(6)(7)으로 회동 자유롭게 접합한 제2가위구성부재(8)를 구비하는 원예용가위이며 상기 제2가위구성부재(8)의 날부(4) 후단 및 자루부(5)선단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 자루부측 부채형톱니바퀴(10)를 맞물려 설치하고 지지축(6)(7)에서 상기 각 부채형 톱니바퀴(9)(10)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A)(B)의 비율(A/B)을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되기까지 차츰 커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관련되는 원예용가위의 사용시 우선 한쌍의 날부(1)(4)를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개방시키는 경우,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가 그 지지축(6)에 서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의 맞물리는 날끝까지의 거리(A)가 가장 짧은 거리(A1)의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 또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의 그 지지축(7)에서 맞물리는 날끝까지의 거리(B)가 가장 긴거리(B1)자세로 각각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날부(1)(4) 사이에 피절단물(17)인 수목의 가지등을 끼워넣고 한쌍의 날부(1)(4)를 각각 자루부(2)(5)에 의하여 폐쇄함에 따라 상기 끼워넣어진 수목의 가지등의 절단을 실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한쌍의 날부(1)(4)가 차츰 폐쇄됨에 따라서 피절단물(17)에 깊이 파고들어서 절단기능이 촉지되는 것인데 날부(1)(4)가 피절단물에 깊이 파고듬에 따라서 절단저항이 늘고 절단기능도 저하하려는데 차츰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의 그 지지축(6)에서 맞물리는 날끝까지의 거리(A)가 A1보다 긴 거리(A2)에, 그리고 자루부축 부채형 톱니바퀴(10)의 그 지지축(7)에서 맞물리는 날끝까지의 거리(B)가 (B1)보다 짧은 거리(B2)가 되기까지 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A/B의 거리의 비율의 증가분에 맞게 차례로 증강된 절단력이 얻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련되는 원예용가위는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갖기 때문에 날부가 피절단물에 깊게 파고듬에 따라서 더욱 증강된 절단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비교적 굵고 재질이 단단한 수목의 가지 등에서도 현저하게 피로와 손목의 아픔을 동반하는 일 없이 용이하도록 신속한 절단작업이 가능해지며 작업효율의 현저한 향상을 꾀할 수 있는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4도는 본 고안에 관련되는 원예용가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날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시(Ⅳ-Ⅳ)를 따라서 일부를 절단한 정면도, 제5도는 피절단물의 절단개시시에 있어서의 제4도 상단의 정면도이다.
"1"은 받침날이 되는 날부이고 해당 날부(1)에 일체적으로 자루부(2)를 연이어 설치하여 제1가위구성부재(3)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위구성부재(3)에는 지지축(6)(7)이 축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축(6)(7)으로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로 이루어지는 제2가위구성부재(8)를 축지지하는 동시에 개체(15)를 피착하여 탄소공구강 또는 고속도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1가위구성부재(3) 및 제2가위구성부재(8)를 갖는 원예용가위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세히 서술하면 제2가위구성부재(8)는 서로 분리형성된 절단날로 되는 날부(4), 자루부(5)를 상기 지지축(6)(7)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날부(4)의 후단 및 자루부(5)선단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가 맞물려 설치된다.
상기 날부(1)에는 볼트, 너트등의 조임구(11) (11)에 의하여 스토퍼(12)가 고정접합되어 있으며 스토퍼(12)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5)가 최대한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정확히 자루부측 부채형톱니바퀴(10)에 맞붙어서 이것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개방자세유지용 맞붙음부위(13)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부(5)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정확히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에 맞붙어서 이것을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폐쇄자세 유지용 맞붙은 부위(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가 지지축(6)에서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와 맞물리는 톱니바퀴까지의 거리(A)는 한쌍의 제1가위구성부재(3), 제2가위구성부재(8)가 폐쇄되어감에 따라서 차츰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 다른쪽의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가 지지축(7)에서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와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B)가 차츰 작아지게 되어 있으며 환언하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될때 비율(A/B)을 차츰 커지도록 각각의 톱니끝형상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즉, 피절단물(17)인 수목의 가지등을 끼워넣어 날부(1)(4)가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자루부(5)가 개방자세유지용 맞붙음부위(13)에 맞붙어서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의 지지축(6)에서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와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A)가 최단거리(A1)로 유지되는 거리(B)가 최장거리(B1)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쌍의 날부(1)(4)가 피절단물(17)에 깊게 파고듬에 따라서 차츰 폐쇄되어가고, 이윽고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절단물의 절단이 종료된 상태, 즉 자루부(5)가 폐쇄자세 유지용 맞붙음부위(14)에 맞붙은 상태에 있어서는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의 지지축(6)에서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 와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A)가 최장거리(A2)로 유지되는 동시에 자루부측 부채형톱니바퀴(10)의 지지축(7)에서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와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 거리(B)가 최단거리(B2)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16"은 원예용가위 전체를 대략 일정한 두께로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단부이다.

Claims (1)

  1. 날부(1)와 자루부(2)를 일체적으로 연이어 설치한 제1가위구성부재(3)와 해당 제1가위구성부재(3)에 서로 분리형성된 날부(4)및 자루부(5)를 각각 지지축(6)(7)으로 회동 자유롭게 접합한 제2가위구성부재(8)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가위구성부재(8)의 날부(4) 후단 및 자루부(5) 선단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날부측 부채형 톱니바퀴(9), 자루부측 부채형 톱니바퀴(10)를 맞물려 설치하고 지지축(6)(7)에서 상기 각 부채형 톱니바퀴(9)(10)의 맞물리는 톱니끝까지의거리(A)(B)의 비율(A/B)을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되기까지 차츰 커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가위.
KR2019930023020U 1993-01-27 1993-11-03 원예용가위 KR9600040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0006 1993-01-27
JP1000693U JP2540589Y2 (ja) 1993-01-27 1993-01-27 園芸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716U KR940018716U (ko) 1994-08-16
KR960004020Y1 true KR960004020Y1 (ko) 1996-05-17

Family

ID=1173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020U KR960004020Y1 (ko) 1993-01-27 1993-11-03 원예용가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0589Y2 (ko)
KR (1) KR9600040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4285B1 (fr) * 2015-04-01 2017-03-17 Pellenc Sa Dispositif de maintien d'une lame de coupe pivot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7136U (ja) 1994-08-09
JP2540589Y2 (ja) 1997-07-09
KR940018716U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324B2 (en) Double gear hedge shears
US6161291A (en) Lopping apparatus having handle compartments for stowing blades during periods of non-use and associated method
GB2397546A (en) Improved hand shears
US5123168A (en) Practical heavy duty hedge, bush and brush cutter with attached thick limb cutting means and dual-sided tine sets for holding brush being cut
US5687484A (en) Pumpkin carving knife
CA2775512C (en) Multiple cut zone blade assembly for a hand operated cutting tool
KR960004020Y1 (ko) 원예용가위
US5544416A (en) Shears
CA2299446A1 (en) Strip-shaped or reciprocating knife
EP1721519B1 (fr) Boitier modulaire profilé pour coupe de végétaux
US4097945A (en) Folding garden tool
US4602432A (en) Shear with offset cutting edge
US334486A (en) Lena strong and alphonso b
CN212487414U (zh) 一种园林修剪装置
CN217608466U (zh) 一种齿轮结构修枝剪
KR0116265Y1 (ko) 다용도 전지가위
USD361027S (en) Hydraulic cutter for a grating
CN2265669Y (zh) 园艺用剪的砧板改进结构
JP3035559U (ja) 鍬つきノミ
JPS606200Y2 (ja) 植木用はさみ
JPS6219158Y2 (ko)
JPH0728325U (ja) 植木鋏
JPH0848Y2 (ja)
JPH035232Y2 (ko)
DE8614049U1 (de) Doppelseitige-Hohlhac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