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99Y1 - 머리꼬는 기구 - Google Patents

머리꼬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99Y1
KR960003899Y1 KR2019930022707U KR930022707U KR960003899Y1 KR 960003899 Y1 KR960003899 Y1 KR 960003899Y1 KR 2019930022707 U KR2019930022707 U KR 2019930022707U KR 930022707 U KR930022707 U KR 930022707U KR 960003899 Y1 KR960003899 Y1 KR 960003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d
handle
fitting portion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118U (ko
Inventor
박도영
Original Assignee
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영 filed Critical 박도영
Priority to KR2019930022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99Y1/ko
Publication of KR950013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4Hair-braid holders; Hair-plait hold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머리꼬는 기구
제1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머리꼬는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머리꼬는 기구의 조립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머리꼬는 기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끼움부 2 : 손잡이부
3 : 머리체결부
본 고안은 여자들의 긴 머리를 미적감각을 가미하여 여러가지 모양으로 꼬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미용과 패션에 민감한 여성들이 머리형에도 복고풍이 불면서 긴머리의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길게 길른 머리를 머리핀이나 다른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땋아 올리는 머리미용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긴머리를 땋아올리는 손질을 하는 데에는 많은 머리핀이나 머리핀을 대용하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머리손질의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이렇게 어렵게 땋아올린 머리로 치장한 상태로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또는 머리에 다른 것들이 약간만 접촉되어도 머리가 쉽게 흐트러지거나 풀어지는 경향이 있어 왔다.
본원 고안은 머리핀이나 다른 악세서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동작으로 긴머리를 꼬으므로서 자연미가 넘치는 머리모양을 간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손실이나 경제적인 손실이 없는 머리모양을 만들수 있도록 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머리꼬는 기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머리꼬는 기구는 긴머리를 충분히 끼워 넣을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링형상으로 머리끼움부(1)를 형성하고, 이 머리끼움부(1)의 양쪽 끝단부를 한데 묶어 손잡이부(2)에 고정한다.
머리끼움부(1)나 손잡이부(2)는 연질이면서 탄성력이 좋은 합성수지제로 따로 따로 만들어 이들을 열 접합시키거나 또는 머리끼움부(1)와 손잡이부(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머리끼움부(1)를 감싸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것이며, 이렇게 머리끼움부(2)에 끼운 상태로 머리끼움부(1)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머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하도록 머리체결부(3)를 형성한다.
머리체결부(3)는 몸체(31)안에 2가닥의 머리끼움부(1)를 그 안에 끼우고 상호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크기로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체결부(3)는 연질이면서 탄력성이 좋은 합성수지제로 성형하는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머리끼움부(2)에 머리체결부(3)를 조립하고 있는 머리 꼬는 기구의 조립상태도와 조립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머리 꼬는 기구를 사용하여 머리를 꼬는 방법을 제4도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긴머리를 모은다음 모인 머리부를 링형 고무줄과 같은 것으로 묶어 머리묶음부(R)를 만든다.
이렇게 머리를 묶고나면 머리체결부(3)를 손잡이부(2) 가까이에 밀착시킨 상태로 머리꼬는 기구 손잡이부(2)의 끝단부(21)을 머리(H1)와 머리묶음부(R)의 사이에 끼워 넣으며 손잡이부(2)가 묶은머리 아래로 노출 될 때까지 밀어넣는다.(제4도의 가)
이렇게 밀어 넣어 손잡이부(2)와 머리체결부(3)의 하부는 머리묶음부(R1)의 아래로 노출되며 머리끼움부(1)의 상반부는 머리묶음부(R)의 위쪽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머리묶음부(R)의 아래쪽에 있는 끝머리부(H2)를 머리끼움부(1)안으로 끼워넣은 다음(제4도의 나), 손잡이부(2)를 한 손으로 잡고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머리체결부(3)를 윗쪽으로 밀어 올려서 머리체결부(3)의 상단 끝부분이 머리끼움부(1) 안에 끼워진 끝머리부(H2)를 꽉 붙들어매도록 한다(제4도의 다).
위와 같이 머리끼움부(1)안에 끼워진 끝머리부(H2)를 머리체결부(3)의 끝단으로 체결하고 나면 이번에는 손잡이부(2)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이때 끝머리부(H2)를 체결하고 있는 머리체결부(3)가 풀어지지 않도록 함) 머리끼움부(1) 안에 끼워진 끝머리부(H2)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제4도의 라), 머리끼움부(1)안에 끼워진 끝머리부(H2)는 머리 묶음부(R1)의 안쪽을 따라 머리묶음부(R)의 아래쪽으로 빠져나오게되는 것이며(제4도의 마), 계속하여 손잡이부(2)를 잡아당기면 끝머리부(H2)는 머리묶음부(R)와 머리(H1)의 사이를 따라 하부로 노출된 상태에서(제4도의 바), 머리꼬는 기구의 머리끼움부(1)는 끝머리부(H2)로 부터 벗겨져 나오면서 머리꼬는 기구의 머리 꼬는 작업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머리꼬는 작업이 끝나면 이상태로 머리손질을 마무리 하거나 또는 꼬은 머리위에 다시 여러가지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기구를 사용하므로서 머리핀이나 다른 악세서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안에 간편한 작업으로 머리를 꼬을수 있는 것으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인 것이다.

Claims (1)

  1. 머리를 끼울수 있는 링형상의 머리끼움부(1)와, 상기 머리끼움부(1)의 끝단부를 고정하고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된 손잡이부(2)와, 상기 머리끼움부(1)를 끼운 상태로 미끄럼운동하면서 머리를 묶는 머리 체결부(3)로 되는 머리꼬는 기구.
KR2019930022707U 1993-11-01 1993-11-01 머리꼬는 기구 KR960003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707U KR960003899Y1 (ko) 1993-11-01 1993-11-01 머리꼬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707U KR960003899Y1 (ko) 1993-11-01 1993-11-01 머리꼬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18U KR950013118U (ko) 1995-06-15
KR960003899Y1 true KR960003899Y1 (ko) 1996-05-16

Family

ID=1936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707U KR960003899Y1 (ko) 1993-11-01 1993-11-01 머리꼬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18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540A1 (en) Handle Having a Ribbed Gel Grip
US5806538A (en) Hair styling tool
US6142159A (en) Hair clasp
US6425405B1 (en) Snap on pony tail holder/anchor ring
US20100078036A1 (en) Specialty hair accessory device with magnetic fastening properties
TW201006407A (en) Method for forming a pliable handle and method for forming a pliable umbrella handle
WO20060556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umizing hair
US5787904A (en) Adjustable hair holder and method for retaining hair
US4211245A (en) Hair-waving device
US20050056298A1 (en) Hook on pony tail accessory
US5458109A (en) Barrette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US6279582B1 (en) Hairbrush having a brush seat provided with slidable bristles thereto
JPH02501359A (ja) 曲げられるパーマ・ロッド器具
KR960003899Y1 (ko) 머리꼬는 기구
KR102213301B1 (ko) 다기능 헤어브러시
JP3060004U (ja) 髪飾り及びそれを用いた髪装飾具
US20180098612A1 (en) Securable Grooming Tool
KR20160062634A (ko) 머리 장신구
KR200233953Y1 (ko) 탄성력이 보강된 머리띠
KR200286483Y1 (ko) 헤어 리본과 머리묶음 링의 접합 결속구
KR200331255Y1 (ko) 이중의 염색빗 구조
KR200176428Y1 (ko) 조립식 컬러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187542Y1 (ko) 머리빗
KR200250597Y1 (ko) 소파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