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23Y1 -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 Google Patents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23Y1
KR960003823Y1 KR92016941U KR920016941U KR960003823Y1 KR 960003823 Y1 KR960003823 Y1 KR 960003823Y1 KR 92016941 U KR92016941 U KR 92016941U KR 920016941 U KR920016941 U KR 920016941U KR 960003823 Y1 KR960003823 Y1 KR 960003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hole
supporter
joint
circumferent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053U (ko
Inventor
요시가즈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끼야 도시오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끼야 도시오,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to KR92016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23Y1/ko
Publication of KR940008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제1도는 이음구 본체 및 코루게이트관을 분리시킨 상태의 일부종 단측면도.
제2도는 서포터의 일부를 종단한 확대측면도.
제3도는 스페이서를 확대한 정면도.
제4도는 스페이서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
제5도는 코루게이트관을 잠금통체의 관통구멍내에 삽입시킨 상태의 요부단면도.
제6도는 직경을 확대시킨 강성 링내에 코루게이트관을 삽입하여 서포터를 후퇴시킨 상태의 요부단면도.
제7도는 잠금통체를 결합하여 후퇴시키므로써 전진하는 서포터의 선단면과 테이퍼면 사이에 강성 링을 끼워서 코루게이트관을 접속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음구 본체 2 : 대경 관통구멍
3 : 소경 관통구멍 4 : 원주홈
5 : 연접단부(連接段部) 6 : 스토퍼부
7 : 시일 링 8 : 잠금통체
9 : 관통구멍 9a : 후단측 관통구멍
9b : 선단측 관통구멍 10 : 원주홈부
11 : 강성 링 12 : 테이퍼면
13 : 서포터 19 : 스페이서
40 : 코루게이트관
본 고안은 코루게이트관(Corrugated pipe)을 접속하기 위한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루게이트관을 접속하는 이음구로서 이음구 본체와, 이음구 본체의 선부내주(先部內周)에 나사결합하는 잠금통체로 구성되고, 잠금통체에는 내부에 삽입한 코루게이트관을 고착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되고, 이음구 본체에 나사결합시킨 잠금통체를 결합함으로써 코루게이트관 고정함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켜서 그 선단부를 이음구 본체내의 시일 링에 눌러서 시일하는 이음구가 알려져 있다.
또, 선단측에 대경 관통구멍을, 내부에 소경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대경관통구멍과 소경관통구멍을 연결하는 연접단부에 원주홈과 코루게이트관의 선단부를 걸리게 하는 스토퍼부를 형성하여 원주홈에 시일 링을 끼워장치한 이음구 본체와 이 이음구 본체의 대경관통구멍 내주부에 나사결합하여 코루게이트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관통구멍을 갖고, 이 관통구멍의 후단측 내벽에 원주홈부를 설치하고, 이 원주홈부내에 원주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강성 링을 끼워맞춤 잠금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구 본체에 나사결합하는 잠금통체를 회전운동하여 결합하여 내부에 삽입한 코루게이트관의 외경홈부에 강성링이 잠금통체의 내주홈부로 눌러서 걸어맞추어 고정함과 동시에 코루게이트관을 같은 방향으로 밀고, 그 선단부를 이음구 본체의 스토퍼부에 걸리게 하여 소성변형하여 시일 링에 눌러 접속시키는 이음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이음구에 있어서는 코루게이트관의 접속에 있어서, 잠금통체의 후퇴이동량을 나타내는 수단이 특별히 없고, 포장작업 혹은 운반중의 진동등에 의해 잠금통체의 위치가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접속작업이 실시되고 있지만, 부주의 혹은 미숙한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잠금통체의 결합거리가 모자라서 시일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접속될 위험이 있다. 또, 잠금통체의 관통구멍의 내벽에 설치한 원주홈부에 끼워맞춘 강성 링이 원주홈부내에서 원심방향으로 헐렁하기 때문에 코루게이트관의 삽입시에 그 선단이 강성 링의 중심부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코루게이트관의 삽입하중이 너무 무거워서 접속작업이 곤란하거나, 강성 링이 손상되어 코루게이크관의 고착 불완전함이나 선단부시일의 불완전성 등의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잠금통체의 결합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잠금통체의 적정한 결합거리를 얻어서 시일의 완선성을 꾀함과 동시에 강성 링을 원주홈부에 연속하는 테이퍼면과 서포터의 선단면으로 끼워서 코루게이트관을 접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음구 본체와 이음구본체의 선부내주에 나사결합하여 코루게이트관을 고정하는 잠금통체로 구성되고, 이음구 본체에 나사결합하는 잠금통체를 결합하여 코루게이트관을 고정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상기 이음구 본체내의 시일 링에 눌러서 시일하는 코루게이트관 접속용 이음구에 있어서 외주부에 잠금통체의 결합거리를 설정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끼우고 떼기 자유롭게 끼워부착하는 구성이다.
이음구 본체의 외주부에 끼워부착한 스페이서에 의해 이음구 본체에 나사결합한 잠금통체의 결합거리가 설정 유지되기 때문에 코루게이트관의 접속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갖고 코루게이트관의 선단부를 이음구 본체내의 시일 링을 밀어붙이므로 코루게이트관은 확실한 시일상태로 접속한다. 그 후, 잠금통체의 관통구멍의 내벽에 설치한 원주홈부에 끼워맞춘 강성 링을 이 원주홈부에 연속하여 설치한 테이퍼면과 서포터의 선단면으로 끼우기 때문에 강성 링은 테이퍼면에 의해 잠금통체의 관통구멍과 동심이 되도록 유도되고, 서포터의 누름에 의해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통체의 관통구멍에 코루게이트관을 삽입하면 코루게이트관의 선단부는 상기 강성 링의 중심부에 들어가고, 코루게이트관의 외경돌출부가 강성 링을 원심방향으로 밀어 넓혀서 삽입하고, 강성 링이 어느 외경요부에 합치하면 넓혀진 강성 링이 구심방향으로 수축하여 외경요부와 걸어맞추어져서 코루게이트관의 이탈을 저지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이음구 본체(1)의 내부에는 선단측에 대경관통구멍(2)을, 안쪽에 상기 대경관통구멍(2)에 이어접속하는 소경관통구멍(3)을 갖고 있다. 상기 대경관통구멍(2)과 소경관통구멍(3)과의 사이에 설치한 연접단부(5)에 연속시켜서 원주홈(4)과 이 원주홈(4)에 인접하여 후기하는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축방향으로의 도피를 저지하는 스토퍼부(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원주홈(4)에는 코루게이트관(40)의 외주면을 시일하는 시일 링(7)을 끼워장치하고, 대경관통구멍(2)측으로의 낙하를 연접단부(5)로 저지하고 있다. 또, 상기 대경관통구멍(2)의 내주면에는 수나사(30)를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8은 외주부에 암나사(33)를 형성하여 상기 이음구 본체(1)의 대경관통구멍(2)에 나사결합하는 잠금통체이다. 이 잠금통체(8)의 내부에는 상기 코루게이트관(40)의 외경에 맞는 관통구멍(9)을 설치하고, 이 관통구멍(9)의 후단측 내벽에는 원주홈부(10)를 형성하고 있다. 또, 코루게이트관(40)의 외주면의 외경요부(39)에 걸어맞추어 구원심방향으로 신축하는 강성 링(11)을 이 원주홈부(10)내에 끼워장치하고 있다(제6도).
상기 원주홈부(10)의 선단측 내벽면에는 이 원주홈부(10)내에 끼워맞춘 강성 링(10)을 경사구심방향으로 눌러서 코루게이트관(40)의 외주면의 외경요부(39)에 걸어맞추므로써 고정하는 테이퍼면(12)을 설치하고 있다. 잠금통체(8)의 후단으로 열려서 상기 원주홈부(10)에 연통하는 후단측 관통구멍(9a)은 상기 원주홈부(10)의 선단측 관통구멍(9b)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도에 있어서, 13은 잠금통체(8)의 후단측 관통구멍(9a)에서 원주홈부(10)내까지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고, 그 선단부에 의해 원주홈부(10)내의 강성 링(11)을 테이퍼면(12)에 밀어 붙이는 서포터이다. 이 서포터(13)는 코루게이트관(4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연통구멍(35)을 갖는 통상체로 구성되고 전측통벽에는 축심방향으로 분할한 슬리팅(slitting)(14)이 원주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이 서포터의 구원심방향으로의 탄력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잠금통체(8)의 후단측 관통구멍(9a)에서 용이하게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로 후단측 관통구멍(9a)의 내주면에 압접되어 있다.
15는 서포터(13)의 선단외주에 형성된 돌출부로, 상기 원주홈부(10)의 후단측 내벽면에 걸려서 서포터(1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16은 서포터(13)의 전측부 외주부에 형성한 제1단부로, 서포터(13)의 선단에 의해 강성 링(11)을 테이퍼면(12)에 밀어붙인 상태일 때, 원주홈부(10)의 후단측 내벽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17은 서포터(13)의 후단측 외주부에 형성한 제2의 단부로, 서포터(13)가 잠금통체(8)의 결합에 의해 이동했을때, 제2의 단부(17)가 이음구 본체(1)의 연접단부(5)에 결려서 서포터(13)의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이 서포터(13)의 후단부에 의한 시일 링(7)의 죔 량(조름량)을 규제함과 동시에 강성 링(11)을 코루게이트관(40)의 외경요부(39)에 확실히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18은 잠금통체(8)의 이음구본체(1)로의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잠금통체의 선단부 외주부에 육각형으로 형성된 돌출부이다.
제3, 제4도에서, 19는 이음구본체(1)에 나사결합시킨 잠금통체(8)의 결합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수지제의 스페이서이다. 이 스페이서는 잠금통체(8)의 외주부에 끼워부착하는 소경 끼움부(20)와, 이음구본체(1)의 선단부 외주부에 끼워부착하는 대경 끼움부(21)로 구성하고, 소경 끼움부(20)와 대경 끼움부(21)의 연결부재의 내면에 테이퍼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페이서(19)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절개홈(22)을 갖고 단면 C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19)의 소경 끼움부(20)의 선단부 내주면과 대경 끼움부(21)의 후단부 내주면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제1의 소돌조(24)와 제2의 소돌조를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이음구 본체(1)의 선단내면에 설치한 암나사(30)에 잠금통체(8)의 외주면에 설치한 수나사(33)를 나사결합하고, 이 이음구 본체(1)의 선단외주와 잠금통체(8)의 외주부분에 상기 스페이서(19)를 끼워 부착하고, 이 스페이서의 소경 끼움부(20)의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의 소돌조(24)를 잠금통체(8)의 제1의 걸어맞춤홈(26)에 걸어맞춘다. 또, 대경 끼움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의 소돌조(25)를 이음구 본체(1)의 제2의 걸어맞춤홈(27)에 걸어맞추었을때, 이음구본체(1)에 대한 잠금통체(8)의 축방향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잠금통체(8)의 결합거리를 코루게이트관(5)의 시일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충분한 거리를 설정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코루게이트관 접속용 이음구와 코루게이트관과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잠금통체(8)에서 이음구 본체(1)내에 코루게이트관(40)을 삽입하면 강성 링(11)은 서포터(13)의 선단면과 테이퍼면(12)에 의해 관통구멍(9)과 동심상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삽입한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이 강성 링(11)의 중심부에 확실히 들어가고(제5도), 이 코루게이트관의 선단부의 외경돌출부(38)에 밀려서 이 강성 링(11)은 후퇴하고, 원주홈부(10)내로 이동하여 원심방향으로 넓어짐과 동시에 서포터(13)도 후퇴하고(제6도), 상기 강성 링(11)의 확산에 의해 코루게이트관(40)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 코루게이트관(40)을 그대로 계속 삽입하고, 선단부가 이음구 본체(1)내의 스토퍼부(6)에 걸릴때까지 삽입시킨다.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부가 스토퍼부(6)에 걸린 후, 잠금통체(8)을 회전운동하여 결합하면, 상기 스페이서(19)는 이 잠금통체의 결합에 의해 돌출부(18)에 걸리면서 후퇴되고, 이음구 본체(1)의 선단외주부에 대경 끼움부(21)가 끼워져 있는 스페이서(19)는 이 대경 끼움부(21)에 이어지는 테이퍼부(23)에 연속한 소경 끼움부(20)가 이 이음구 본체(1)의 선단부 외주부에 올라앉고, 그에 따라 절개홈(22)이 넓어져서 이음구 본체(1)에서 탈락한다. 그리고, 잠금통체(8)는 상기 스페이서(19)가 낙하한 시점에서 설정된 거리를 갖고 상기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을 스토퍼부(6)에 밀어붙이고, 이 코루게이트관(40)은 그 선단부가 소성변형하여 시일 링(7)에 눌러 접속하여 확실한 시일 상태를 유지한다.
이 이음구 본체(1)의 암나사(30)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33)를 갖는 잠금통체(8)를 회전운동하여 결합하면, 잠금통체의 후부측 관통구멍(9a)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서포터(13)의 후부측의 제2단부(17)가 연접단부(5)에 걸려서 정지한다. 그러나, 잠금통체(8)를 계속해서 회전운동하여 후퇴시키면 결과적으로 서포터(13)의 선단이 원주홈부(10)내에 돌입하여 그 선단부에서 강성 링(11)을 테이퍼면(12)에 밀어 붙인다. 이 서포터(13)에 밀어붙여진 강성 링(11)은 테이퍼면(12)에 의해 잠금통체(8)의 관통구멍(9)과 동심이 되도록 유도되고, 서포터(13)의 선단면과 원주홈부(10)에 연속된 테이퍼면(12)로 끼워져서 관통구멍(9)과 동심이고 또, 시일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서포터(13)의 전측통벽에는 축심방향으로 복수의 슬리팅(14)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구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된다.
원주홈부(10)에 이어지는 테이퍼면(12)에 맞닿은 강성 링(11)이 코루게이트관(40)의 외경요부(39)에 걸어맞추어져서 구심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코루게이트관(40)을 고정하고, 잠금통체(8)를 회전운동시키므로써 코루게이트관(40)을 결합하는 방향 즉, 안쪽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선단부를 스토퍼부(6)에 밀어붙인다. 스토퍼부(6)에 밀어붙여진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부는 소성변형하여 시일 링(7)에 눌러 접속하여 맞닿아 그 이상의 결합을 저지하고, 이 잠금통체(8)의 결합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눌려진 코루게이트관은 그 선단부가 소성변형하여 시일 링(7)에 밀착하여 액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이 이음구에 의한 코루게이트관의 시일성은 그 선단의 소성변형에 의한 시일 링(7)으로의 압착에 의해 얻어지지만 이 소성변형은 이음구본체(1)에 대한 잠금통체(8)의 결합에 의해 실시되므로, 잠금통체(8)의 결합거리는 코루게이트관(40)의 선단부가 시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충분한 소성변형을 이룰수 있는 정도의 거리를 이 스페이서(13)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이 거리가 작으면 시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충분한 소성변형을 얻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음구 본체 및 잠금통체의 외주부에 끼워진 스페이서에 의해 이음구 본체에 나사부착된 잠금통체의 결합거리가 설정유지되므로 코루게이트관의 접속에 있어서 항상 적정한 운동량을 갖고 코루게이트관의 선단부를 이음구 본체내의 시일 링부에 밀어 붙이고 서포터에 의해 강성 링이 코루게이트관의 외경 요부를 시일하는 시일링의 죔량을 규제하기 위해 확실한 시일상태로 접속할 수 있다.

Claims (2)

  1. 이음구 본체(1)와, 이음구 본체의 선단부내주에 나사결합하여 코루게이트관(40)을 고정하는 잠금통체(8)로 구성되고 이음구 본체(1)에 나사결합하는 잠금통체(8)를 결합함으로써 코루게이트관(40)을 고정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상기 이음구 본체내의 시일 링(7)에 압접하여 시일하는 코루게이트관 접속용 이음구에 있어서, 잠금통체(8)의 후단으로 열려서 상기 원주홈부(10)에 연속하는 후단측 관통구멍(9a)을 상기 원주홈부(10)의 선단측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하고, 이 후단측 관통구멍(9a)으로 부터 원주홈부(10)내까지 코루게이트관(4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구멍을 가진 통형상의 서포터(13)를 후단측 관통구멍에 소정의 접촉압력을 갖고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고, 상기 원주홈부(10)내에 끼워맞춘 강성 링(11)을 원주홈부에 연속하여 설치한 테이퍼면(12)과 이 서포터(13)의 선단면으로 끼워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서포터에 배치된 단부(17)가 상기 원주홈부(10)에 배치된 연접단부(5)에 걸려정지하여 서포터(13)가 그 이상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서포터의 후단부에 의한 시일 링(7)의 죔량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루게이트관 접속용 이음구.
  2. 제1항에 있어서, 이음구 본체(1)의 외주에 잠금통체(8)의 결합거리를 설정유지하는 스페이서(19)를 끼우고 떼기 자유롭게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루게이트관 접속용 이음구.
KR92016941U 1992-09-05 1992-09-05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KR960003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41U KR960003823Y1 (ko) 1992-09-05 1992-09-05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41U KR960003823Y1 (ko) 1992-09-05 1992-09-05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53U KR940008053U (ko) 1994-04-18
KR960003823Y1 true KR960003823Y1 (ko) 1996-05-09

Family

ID=1933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941U KR960003823Y1 (ko) 1992-09-05 1992-09-05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53U (k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9944A (en) Nipple for pipe joints
US4884829A (en) Plug-in connection for connecting tube and host lines in particular for use in tube-line systems of motor vehicles
US4193616A (en) Quick connect fitting
US4664427A (en) Quick connect fitting
JPS6288810A (ja) 流体カツプリングおよびそのシ−ル部材
JPH07145894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578033Y2 (ja) 管体継手構造
CA2025655A1 (en) Quick connect fitting
US5292156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CA2079843A1 (en) Pipe coupling arrangement
GB1576038A (en) Coupling branch pipes to main pipes
KR960003823Y1 (ko)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JP2016200159A (ja) 管継手
JP3909484B2 (ja) 合成樹脂製管体の接続装置
JP2016217401A (ja) 管継手
US4531768A (en) Pipe coupling
JPS6234999B2 (ko)
JP2000266252A (ja) 管継手
JPS6220436B2 (ko)
JP2536369Y2 (ja) 波形管差込式管継手
KR820001550B1 (ko) 이탈방지 관접속구
KR960003824Y1 (ko) 코루게이트 관접속용 이음구
KR920007350Y1 (ko) 2층 호스 접속용 이음구
JPH07119877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