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770Y1 -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770Y1
KR960003770Y1 KR2019930004014U KR930004014U KR960003770Y1 KR 960003770 Y1 KR960003770 Y1 KR 960003770Y1 KR 2019930004014 U KR2019930004014 U KR 2019930004014U KR 930004014 U KR930004014 U KR 930004014U KR 960003770 Y1 KR960003770 Y1 KR 960003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opening
cam
closing devic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627U (ko
Inventor
허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4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770Y1/ko
Publication of KR940022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속도선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제4도는 도어의 닫힘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6도 a 및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것으로, a도는 정면도, b도는 평면도.
제7도는 a 내지 g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주동캠의 작용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속도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고정대 32 : 모터
34 : 스프로킷 36 : 베이스
39 : 와이어 로우프 40, 41 : 지지부재
40a, 41a : 안내홈 42 : 종동캠
42a, 42b : 이동축 44 : 중심축
45 : 구동캠 47, 48 : 도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조립, 설치, 보수 및 조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의 상면에 지지되는 모터(2) 및 풀리(3)와, 상기 모터(2) 및 풀리(3)를 연결하는 체인(4)과, 상기 지지대(1)의 양측에 힌지핀(5)(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7)(8)와, 상기 폴리(3)에 일측단부가 편심되도록 연결핀(9)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단부가 일측 링크(7)에 연결핀(10)으로 연결되는 링크(11)와, 상기 링크(7)(8)의 단부에 연결핀(12)(13)으로 연결되는 링크(14)(15)와, 상기 링크(14)(15)가 연결핀(16)(17)으로 연결되는 도어(18)(19)와, 상기 도어(18)(19)에 각각 고정되는 행거(hanger)(20)(21)와, 상기 행거(20)(21)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레일(22)과, 상기 도어(18)(19)의 상부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로우프 풀리(23)(24)와, 상기 로우프 풀리(23)(24)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우프(25)와, 상기 와이어 로우프(25) 및 행거(20)(21)를 연결고정하는 연결고정편(26)(2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는, 모터(2)가 구동하게 되면, 그 동력이 체인(4)을 거쳐 풀리(3)로 전달되어 풀리(3)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풀리(3)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11)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11)는 풀리(3)에 편심되도록 연결고정되어 있으므로 풀리(3)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7)가 힌지핀(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일측 도어(18)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8)는 행거(20)가 도어레일(22)에 안내됨으로써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행거(20)는 연결고정편(26)에 의하여 와이어 로우프(25)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로우프(25)를 연동시키게 되고, 상기 와이어 로우프(25)의 이동에 의하여 그 와이어 로우프(25)의 타측에 연결고정편(27)으로 연결된 행거(21)를 이동시킴으로써 타측 도어(19)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도어(18)(19)가 닫히고, 개방될 때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어(18)(19)의 닫힘단과, 열림단 부근에서 감속을 시켜야 하는 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정점마다 위치 검출용 마이크로 스위치(28)(28')를 설치하고, 또한 모터(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과,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도어(18)(19)의 닫힘단과, 열림단 부근에서 모터(2)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18)(19)의 닫힘 및 개방동작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서 미설명 부호 29는 샤프트, 30은 베어링, 31은 캠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요구되는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부피 및 무게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었으며, 조립, 설치, 보수 및 조정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18)(19)의 개폐속도를 빨리할 경우에는 도어(18)(19)의 자체 하중에 의한 관성력으로 모터(2)가 속도의 제약을 받게 됨으로써 모터(2)의 속도 제어를 통하여 요구되는 구동패턴을 얻어야 하는 등 도어(18)(19)의 속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을 간소화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 설치, 보수 및 조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의 속도 제어에 따른 필요성을 배제하여 도어의개폐동작을 보다 원활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정면도이고, 제6도의 a 및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는, 고정대(31)의 상면 중간부에 모터(32)가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대(31)의 하부에는 스프로킷(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32) 및 스프로킷(34)은 체인(35)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1)의 하측에는 베이스(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36)의 양측에는 풀리(37)(38)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풀리(37)(38)에는 와이어 로우프(39)가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36)의 하부에는 도어레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1) 및 베이스(36)의 양측에는 안내홈(40a)(41a)이 형성된 지지부재(40)(41)가 각각 연결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40)(41)의 안내홈(40a)(41a)에는 이동축(42a)(42b)이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그 이동축(42a)(42b)에는 사각테 형상의 종동캠(42)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킷(34)의 중심축(44)에는 종동캠(42)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동캠(45)이 키(key)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스프로킷(3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축(42a)(42b)이 직선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이동축(42a) 및 와이어 로우프(39)에는 연결편(46)이 연결고정되어 이동축(42a)(42b)의 이동에 의하여 와이어 로우프(39)가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우프(39)의 양측에는 기존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어(47)(48)의 행거(49)(50)이 연결고정편(51)(52)로 연결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도어(47)(48)가 닫혀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32)가 구동하여 그 동력이 체인(35)을 통하여 스프로킷(34)으로 전달되면, 상기 스프로킷(34)에 키등으로 고정된 중심축(44)이 회전을 하게 되고, 따라서 중심축(44)에 고정된 구동캠(45)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45)은 사각테 형상의 종동캠(42)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6도의 a 내지 g도의 순서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종동캠(42)이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종동캠(42)은 양측에 고정된 이동축(42a)(42b)이 지지부재(40)(41)의 안내홈(40a)(41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동캠(42)의 이동 동작에 의하여 일측 이동축(42a)과 연결편(46)으로 연결고정된 와이어 로우프(39)가 연동을 하기 되므로 그 와이어 로우프(39)의 양측에 연결고정편(51)(52)으로 연결고정된 행거(49)(5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결국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7)(48)가 완전하게 개방된다.
한편, 도어(47)(48)의 닫힘 동작시에는 모터(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180도 구동함으로써 도어(47)(48)를 닫히게 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의 속도선도를 보인 것으로, 구동캠(45)의 형상에 따른 종동캠(42)의 직선운동으로 도어(47)(48)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는, 판캠(板 CAM)을 이용한 캠구동 방식으로서 구성을 간소화시켜,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고, 조립, 설치, 보수 및 조정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감속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구동캠과 종동캠과의 접촉각 및 길이에 따라 속도 곡선이 정해지므로 종래의 경우와 같이 구동모터의 속도 제어에 따른 제어용 콘트롤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도어의 속도 조절이 용이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터(32)의 구동에 의하여 와이어 로우프(39)의 양측에 연결된 도어(47)(48)가 도어레일(43)을 따라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32)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프로킷(34)의 중심축(44)에 고정되는 구동캠(45)과, 그 구동캠(45)의 회전에 의하여 좌, 우 직선 이동되면서 도어(47)(48)를 개폐시키는 사각테 형상의 종동캠(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캠(42)은 양측에 이동축(42a)(42b)이 각각 고정되어, 고정대(31) 및 베이스(36)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부재(40)(41)의 안내홈(40a)(41a)을 따라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KR2019930004014U 1993-03-18 1993-03-18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KR960003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014U KR960003770Y1 (ko) 1993-03-18 1993-03-18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014U KR960003770Y1 (ko) 1993-03-18 1993-03-18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27U KR940022627U (ko) 1994-10-20
KR960003770Y1 true KR960003770Y1 (ko) 1996-05-07

Family

ID=193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014U KR960003770Y1 (ko) 1993-03-18 1993-03-18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7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27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919A (ko)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KR96000377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WO2008023435A1 (fr) Dispositif de porte pour ascenseur
JP5168127B2 (ja) 窓開閉装置
FI79283B (fi) Doerrdrivanordning foer doerrar till hisskorgar.
JP2558597B2 (ja) 折り戸装置
KR100499422B1 (ko)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JPH049902Y2 (ko)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EP3839183A1 (en) Automatic door with balanced movement
JPH10291239A (ja) 電動竪型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WO2003099697A1 (ja) 円形エレベータドアの駆動装置
JPH0710622Y2 (ja) 電動式カーテン開閉装置
KR95000771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930006339Y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구동장치
JP2545994Y2 (ja) シャッターブラインドの安全停止装置
KR19980034380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 장치
GR3036093T3 (en) Sliding door
KR910004376Y1 (ko) 공작기계의 도어자동 개폐장치
JPH02261183A (ja) 引戸装置
KR1002755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
JPH0266286A (ja) 円形ドアの開閉装置
JPH0310209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013447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클러치 구조
CN117213221A (zh) 接触式高真空烤箱及其单开自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