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73B1 -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73B1
KR960003573B1 KR1019930019890A KR930019890A KR960003573B1 KR 960003573 B1 KR960003573 B1 KR 960003573B1 KR 1019930019890 A KR1019930019890 A KR 1019930019890A KR 930019890 A KR930019890 A KR 930019890A KR 960003573 B1 KR960003573 B1 KR 96000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viscous
mixed
green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639A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101993001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573B1/ko
Publication of KR95000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05F7/005Waste water from industrial processing material neither of agricultural nor of animal orig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9/00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pH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제1도는 점녹토의 시공예(a), 시공후 20일 경과한 때(b), 같은 시기에 줄떼로 시공한 녹화면(좌측)과 본 발명에 의한 무철망 점녹토로 시공한 녹화면(우측)을 시공 50일 이후의 모습(c)을 각각 비교 촬영한 참고도.
제2도는 암절개 경사면에서의 안전계산을 위한 모식도.
제3도는 녹화면의 응력과 절단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녹화면의 편심응력과 축방향 압력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점녹토와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경토(마사토), 리핑암, 비암절개지 등에 있어서 미끄렁방지용 철망을 쓰지않고 점착성이 우수한 녹생토로 조기에 완전녹화가 가능한 점녹토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는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점녹토란 점착성을 가진 녹생토(인공토양의 상표명)를 말한다. 녹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은 지금까지는 암절개지에 국한되었고, 일반 경사법면이나 경토한 법면, 리핑암 법면 같은 비암절개지에는 통상 격자블럭을 축조하여 기반을 조성한 후 종자를 뿌리거나 잔디를 심는 녹화공법이 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녹생토를 이용한 암절개면의 녹화공법, 즉 보호식재공법은 시공비가 높다. 녹생토 녹화공법은 실제로 잔디식재 등이 곤란한 암절개지에만 적용해온 터이며, 일반 경사지와 같이 잔디식재가 가능한 곳이나 격자블럭설치가 가능한 곳에는 이 공법의 적용을 기피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녹생토로 암절개지를 녹화하는데는 한가지 제약이 따른다. 암반위에 철망을 깔아서 녹생토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초공사를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철망부설작업은 특수기능공이 로우프에 몸을 의지하고 암절개지를 타고 내려가면서 철망을 깔고, 암반에 천공한 앵커공에 앵커를 박아 철망을 고정시키는데, 특수기능공의 고임금, 철망값, 안전사고에 대비한 위험부담비 등 제반 비용이 추가되므로 녹화공사비용의 상승과 안전사고의 위험부담이 크다.
따라서, 녹생토를 이용한 암절개지의 녹화공법에 있어서 금후의 과제는 암면에 철망을 부설하지 않고 소기의 성과가 기대되는 녹화공사를 시행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부담을 더는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 풍화암지역의 경우 그 절개지에다가 격자블럭을 깔고 그 격자공간속에 흙을 채운 다음에 잔디를 식재하거나 비탈면에 인력에 의해 평떼나 줄떼를 식재하는 방법은 비능률적이고, 우천시에는 녹화작업이 곤란하는 등의 이유때문에 공기준수가 어려워지고 공기지연에 따른 공사비용의 추가부담이 따르며, 서두르다가는 자칫 부실시공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자는 일반 경사지나 경토지를 녹화함에 있어서, 경사지면 또는 암면에 철망을 깔지않고 희망하는 초종(草種)이 섞인 점녹토를 소정의 두께로 실험취부한 결과, 녹화면적과 구배에 관계없이 완벽하고 고능률적이며 공사비의 절감은 물론 암절개지, 경토, 리핑암 등의 암면에도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점녹토 녹화공법의 완성을 보고, 비로소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인공점착제는 어떤 경우든 녹생토를 너무 단단하게 만들어 식물의 발아를 저해하고 착근과 생육에도 적잖은 지장을 초래할 뿐 아니라 원가부담도 가중시킨다. 이점을 감안하여 점착성이 높은 점녹토 조성물을 개발 하였다.
본 발명은 녹생토에 미생물의 일종인 점질균(Slime molds)을 첨가하여 그 작용으로 녹생토의 점착력을 제고함으로써 별도로 점착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점착성을 높일 수 있는 점녹토 조성물과, 이 점녹토를 사용하여 비용절감과 식물생장의 저해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점녹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점녹토의 조성
토탄 10-40무게%, 오니케이크 20-50무게%, 펄프슬러지 20-40무게%, 톱밥 5-2무게%, 마사토 10-30 무게%, 지렁이분 3-10무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점질균 미생물 20-70/m3을 혼합하여 점녹토 조성물을 조성한다.
이 점녹토는 점착성이 매우 높아 철망의 사전시공을 하지 않은 절개지에 취부하더라도 접착이 잘돼 흘러내리지 않음은 물론 종자의 발아와 식물의 착근 및 생육에 아주 효과적이다.
기존의 녹생토에 알칼리성인 C.M.C를 첨가하면 ph가 더욱 높아져서 녹생토중의 양분용해가 변질되고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또 녹생토에서 서식가능한 미생물의 활성에 악영향을 끼쳐 미생물의 분비물을 변질시키고 유기물의 분해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또한 통기성과 수분이동성 같은 녹생토의 물성이 변질돼 종자의 발아와 착근에 나쁜 영향을 준다. 이처럼 대부분의 식물은 중성부근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지만 C.M.C 첨가로 ph가 높아지면 생장에 좋지 못한 결과가 초래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조성되는 점녹토는 C.M.C를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흘러내리는 단점이 더욱 개선됨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양분의 균형, 통기성과 수분이동성 등이 동시에 개량된다.
[표 1]
일반 녹생토와 점녹토의 비교표
* ( )는 지수를 나타냄.
액성한계는 처리전 76.3%이나 처리후에는 103.5%로 증가되었고, 소성한계도 처리전에는 54.1%였으나 처리후에는 66.8%로 무려 23%나 증가하였으며, 소성지수도 처리전에는 22.2%이던 것이 처리후에는 36.7%로 무려 65%나 증가하였다.
이와같이 녹생토의 물성을 개량한 점녹토는 강우에도 유실방지와 표면보호역할이 만족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도 남는다
2. 취부
상기 점녹토를 습식 취부하면 건식 취부보다도 발전기, 콤프레서의 가동비용이 절감되고 작업능률도 더욱 높일수가 있다.
습식 취부에는 EDR-MASTER[상표명 : 에덴녹화산업(주)]제가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습식 취부기는 함수비가 70% 이상이면 호스로도 잘 뿜어진다. 함수비가 높은 점녹토는 1 : 1의 경사면인 경우 취부와 동시에 흘러내릴 가능성이 높으므로 1cm 이상의 두께로 취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점녹토를 물과 섞어 취부할 때 혼합탱크내에서 80% 이상 점녹토가 침전되므로 균등한 혼합이 불가능하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세한 식물성 섬유를 물과 함께 혼합탱크에 넣고 혼합하는 동안에 점 녹토를 투입, 혼합하여 균질의 점녹토 죽으로 한다. 즉, EDR-MASTER에 딸린 상,하 혼합탱크중에서 상부 흔합탱크에는 물 50-70t당 두께 0.1-2mm, 길이 0.5-20mm의 식물성 섬유 2-4kg(수분함량 10-12%)을 투입하고 2-3분간 혼합하여 식물성 섬유가 골고루 풀려 섞이게 한 다음 종자가 혼합된 점녹토(함수비 40-50%) 100-120ℓ를 투입하고 4-5분간 더 혼합한다. 그 결과, 점녹토와 식물성 섬유가 서로 뒤엉켜 전반적으로 묽고 균등하게 반죽된 죽이 된다 여기서 얻어진 점녹토 죽은 하부 탱크로 이송하여 하부탱크에 연결된 고성능 펌프를 이용하여 노즐로 빠르게 뿜어낸다.
상기 점녹토를 경사진 경질토양의 표면에 두께 1,2,3,4,5,6,7cm로 취부해 본 결과, 수분이 충분하게 함유되어 있음인지 점녹토에 혼입된 종자들은 제때보다도 일찍 발아되고, 잘 성장하여 절개지 전체를 이내 푸른 초원으로 만들었다. 경제성, 작업성, 흘러내림 등을 감안할 때 취부 두께는 2-5cm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녹토를 도로의 법면에 녹화시공하는 경우 1 : 0.7 미만의 완경사 암절개면이면 점녹토만으로도 흘러내리는 현상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므로 철망은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1 : 1.5 미만의 암절개면에서도 철망에 뒤지는 나일론망 없이 점녹토를 상기와 같이 안정되게 취부하여 녹화할 수 있다. 미끄럼 예측구간때문에 암절개면 전반에 걸쳐 일률적으로 고정재로 보완하는 것은 높은 공사비가 요구되어 비경제적이므로 암절개면의 기울기가 급하거나 지나치리만큼 미끄러울 경우에는 구배도를 완만하게 조정하든가 록크 보울트 등의 고정재를 군데군데 박아 보강한다. 다만, 시공당시 안정화된 법면은 점녹토로 시공된 후에도 법면으로부터 통상 적어도 30cm 정도의 표층이 미끄러지는 일은 없을 것이므로 표층 부위의 미끄럼 현상은 이 공법으로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현장실험결과의 분석
[표 2]
50° 이하의 경사면에서 철망 대신 나일론망을 펴고 녹생토를 취부하였을 때 미끄럼현상에 대한 저항력의 실험치 및 계산자료는 다음과 같다.
제2도에 있어서의 암절개 경사면의 안전도는
가 된다. 여기서, Fs : 안정도, r : 포화비중, C : 전단력, θ : 내부마찰각, β : 경사도, H : 두께이다.
표2와 제2도 내지 제4도와 같이 현장실험한 점녹토의 토질계수 조건을 W(함수비)=49%, r=1.49, θ =35, H=0.15m, C=0, Fs=1이라고 하면
가 된다. 따라서, 폭우 등의 외부충격이 없을 경우 경사도(β) 35°에서도 점녹토가 흘러내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녹화시공한 점녹토의 시료분석결과, 전단력(C)은 0.5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안전도 계산공식에 의거 C=0.5와 경사도 45°, 50°인 경우의 안전도 계산은 다음과 같다.
경사도 : β= 45°
경사도 : β= 45°
가 된다.
따라서, 경사도 50°의 경사면에 본 발명의 점녹토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적용하면 Fs=3.5의 안전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폭우등 외부 충격에도 홀러내림이나 유실되지 않고 안전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응력과 전단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직선(A)은 흙의 내부 마찰각으로, 모어(Mohr)의 원호에 의하여 구한 것이고, 원호(B)는 모어의 원호로, 시험에 의한 최소응력(σ3)과 최대응력(σ13)에 의 거한 것이다. 또, C는 최소응력이 1.2인 경우, D는 최소응력이 0.8인 경우, E는 최고응력이 0.4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또, 제4도는 편심응력과 축방향 압력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 C는 최소응력이 1.2인 경우, D는 최소응력 이 0.8인 경우, E는 최소응력이 0.4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점녹토는 시공후 암절개면 등의 경사지에 뿌린 종자나 식재한 잔디가 척박한 토질때문에 발아 및 성장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는 지면일지라도 일단 시공하면 그 토질이 개량되어 지피식물의 생육과 착근 및 활착이 가능하며, 이후 도로 법면 등의 잡초제거와 비배관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무성해지므로 경사면 녹화는 물론 지면의 보호역할도 훌륭히 해낸다 이에따라 향토종의 잡초본류, 관목류가 정착될 수 있는 호적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 기존의 암절개지에 철망을 깔고 녹생토를 취부하던 것에 비해서 철망없이 취부하더라도 경사를 타고 홀러내리는 일이 없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비용도 훨씬 적게 소요되므로 아주 경제적으로 녹화할 수 있다.

Claims (2)

  1. 토탄 10-20무게%, 오니케이크 30-50무게%, 펄프슬러지 20-40무게%, 톱밥 5-2무게%, 마사토 10- 30무게%, 지렁이분 3-10무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점질균 미생물 20-70/m3을 혼합하여 점착성을 높인 점녹토 조성물.
  2. 물 50-70ℓ당 두께 0.1-2m/m의 식물성 섬유 2-4kg(수분함량 10-12%)을 투입하고 2-3분간 혼합하여 식물성 섬유가 물에 골고루 풀리게 한 다음 종자가 혼합된 제 1항 기재의 점녹토(함수비 40-50%) 100-l20ℓ를 투입하여 4-5분간 혼합하고, 이를 비경질 암면의 경사지면에 철망을 깔지 않고 2-5cm 두께로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점녹토를 사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KR1019930019890A 1993-09-27 1993-09-27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KR96000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90A KR960003573B1 (ko) 1993-09-27 1993-09-27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90A KR960003573B1 (ko) 1993-09-27 1993-09-27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39A KR950007639A (ko) 1995-04-15
KR960003573B1 true KR960003573B1 (ko) 1996-03-20

Family

ID=1936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890A KR960003573B1 (ko) 1993-09-27 1993-09-27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16B1 (ko) * 2009-12-11 2012-02-22 주식회사 하이드 수직형 벽체의 녹화를 위한 인공토양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740A (ko) * 2001-04-02 2002-10-14 반채연 농업용 용토(작물재배용 토양)제조 방법
KR20020084796A (ko) * 2001-05-04 2002-11-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자생 식물을 이용한 녹화 방법
KR100817258B1 (ko) * 2006-12-12 2008-03-27 주식회사 세림조경 녹화용 식생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654044B1 (ko) 2015-11-30 2016-09-05 (주)천지인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16B1 (ko) * 2009-12-11 2012-02-22 주식회사 하이드 수직형 벽체의 녹화를 위한 인공토양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39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9257B (zh) 种植香根草固土护坡的方法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70433B1 (ko) 식생녹화용 기반재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방법
CN108547307A (zh) 基于人造壤土的边坡生态防护方法
CN111011093A (zh) 一种高降雨急陡岩质边坡复绿方法
CN101518186A (zh) 采矿迹地植被恢复与重建方法
KR960003573B1 (ko) 점녹토(粘綠土)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공법
KR100355175B1 (ko)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JP2004089183A (ja) 法面緑化基盤強化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法面緑化方法
KR19990068391A (ko) 법면녹화토조성물및그를이용한녹화공법
JPH08308376A (ja) 岩盤法面の植生生育基盤の造成工法
KR20200104540A (ko) 신속한 초기녹화 및 우수한 토양 결합력을 가진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삼림토 녹화공법
JP2009121173A (ja) 地面被覆工及び地面被覆工法
KR100491497B1 (ko)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KR100426129B1 (ko) 절개지 녹화공법
KR101555856B1 (ko) 에코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KR100334258B1 (ko) 잔디종자를 이용한 법면 초지조성방법
CZ371997A3 (cs) Minerální vegetační substrát, jeho použití a způsob kultivace a rekultivace půdy
KR100938893B1 (ko) 유기질토 조성물을 이용한 사면 생태 복원공법
KR100733917B1 (ko)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CN111213553A (zh) 一种有机质土聚体挤压式喷播工艺
KR100545001B1 (ko)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960013590B1 (ko) 암반으로된 법면에 대한 식생방법
KR100817258B1 (ko) 녹화용 식생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