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379B1 -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379B1
KR960003379B1 KR1019870009286A KR870009286A KR960003379B1 KR 960003379 B1 KR960003379 B1 KR 960003379B1 KR 1019870009286 A KR1019870009286 A KR 1019870009286A KR 870009286 A KR870009286 A KR 870009286A KR 960003379 B1 KR960003379 B1 KR 96000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opo
coccidiosis
animal
birds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538A (ko
Inventor
윌리엄 바펀도 케네스
커크 제퍼즈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터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터커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2Trocars or cannulas for teats; Vaccina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2Protozoa antigens
    • A61K39/012Coccidia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rge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본 발명은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에 관한 것이다.
낭포체(oocyst)를 가금(poultry)에게 연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콕시듐증을 예방하는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4,544,548에 기술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처음에 낭포체를 투여한 다음 화학요법을 행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는 개선된 예방법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오노포(ionophore) 화학요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면역학 기법의 발명에 있다.
본 발명은, (1) 동물에게 그 신생 단계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유효수의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경구투여하고, (2) 동물을 출생 또는 부화로부터 단계(1) 이후 스포로조이트(sporozoites)가 숙주세포에 침투할 때까지 계속 모든 화학요법상의 콕시듐증 예방을 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3)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를 동물의 생존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계속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콕시듐증에 걸리기 쉬운 동물을 콕시듐증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콕시듐증에 가장 걸리기 쉬운 동물은 각종 조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방법을 조류에게 실시하는 것이다.
극소수의 에이머리아(Eimeria : 콕시듐증을 유발하는 원생동물 병원균) 균주가 이오노포에 대해 감소된 민감성 및 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조류에게 이오노포 콕시듐증 예방법의 사용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내성의 발생조차도 양금업에는 문제가 되고 있다. 체중 증가의 감소, 낮은 사료 효율 등에 의한 손실 이외에도, 심지어 경미한 형태의 콕시듐증에서도 색소형성(pigmentation)이 방해될 수 있다. 그 결과, 외양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조류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성의 에이머리아 균주로 콕시듐증 억제에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내성 균주의 조절은 이오노포-민감성이 있는 에이머리아 균주를 투여하여 내성의 확산 위험을 최소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특히, (1) 조류에게 부화 24시간 내에 이오노포-내성 에이머리아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효수의 이오노포-민감성 에이머리아 균주의 감염성 유기체를 경구투여 하고, (2) 조류를 부화로부터 단계(1)이후 스포로조이트가 숙주세포에 침투할 때까지 계속 모든 화학요법상의 콕시듐증 예방을 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3)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를 조류의 생존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계속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이오노포-내성 에이머리아 균주로 인한 콕시듐증으로부터 조류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오노포는 착물구조의 일종의 항생물질이고, 다수의 산소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폴리에테르로서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계열의 많은 물질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나 다른 것들도 때때로 발견된다. 상대적인 콕시듐증 예방활성은 이오노포에 따라 변화하지만 모든 이오노포는 콕시듐증 예방활성을 나타내며, 때때로 특정 이오노포는 독성으로 인해 콕시듐증 예방제로서 실제로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콕시듐증 예방을 위해 시판되는 중요한 이오노포 중에 모넨진(monensin), 나라진(narasin), 라살로시드(lasalocid) 및 살리노마이신(salinomycin)이 있다. 이러한 이오노포중 어느 것이나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대표적인 이오노포에는 라이들로마이신(laidlomycin), 니게리신(nigericin), 그리소릭신(grisorixin), 디아네마이신(dianemycin), 레노레마이신(lenoremycin), 로노마이신(lonomycin), 항생제 X206(antibiotic X206), 알보릭신(alborixin), 셉타마이신(Septamycin), 항생제 A204, 에테로마이신(etheromycin), 이소라살로시드(isolasalocid), 리소셀린(lysocellin), 항생제 A23187, 마두라미신(maduramicin), A80190 및 A80438이 포함된다.
콕시듐증을 예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은 콕시듐증에 걸리기 쉬운 어떤 동물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온혈동물이 콕시듐증에 걸리기 쉽지만, 조류가 콕시듐증으로 가장 고통받고 있다. 거의 일반적으로 이오노포 중의 하나로 화학요법 처리를 받는다. 닭과 칠면조는 콕시듐증으로 부터의 보호를 가장 필요로 하는 종이고, 이들의 경제적인 중요성 때문에, 본 발명은 이들 종에 대해 가장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을 오리, 거위, 메추라기, 꿩 등과 같은 다른 종의 조류에게 실시할 수 있다. 조류외의 온혈동물을 때때로 조류에게 사용된 동일한 이오노포를 이용하여 콕시듐증으로 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은 소, 양, 돼지 등과 같은 다른 종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콕시듐증에 걸리기 쉬운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수행한다. 신생 단계, 즉 출생 또는 부화 직후 투여한다. 일반적으로, 출생 또는 부화로부터 처음 24시간 내에 투여한다. 통상 가금에게 실시할 경우, 각 조류를 부화직후, 통상 부화후 처음 6 내지 12시간내에 처리한다. 처리시, 통상은 조류의 부리를 제거하고, 각종 질환, 특히, 마레크 병(Marek's disease), 감염성 기관지염, 뉴우캣슬 병(Newcastle's disease)등에 대해 예방 접종한다. 다른 가금종에 있어서, 조류를 개개로 취급하거나 부리를 제거하지는 않으나, 이러한 신생 단계에서 동일 질환에 대해 필요한 백신을 전달하는 에어로졸(aerosol)에 노출시킴으로써 처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표준 방법의 일부로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정의 시간 관계를 본 발명의 이익을 수득하기 위해 준수해야 함을 밝혀내었다. 여러 참조 문헌에서 갓 부화한 조류는 완전한 면역 반응을 할 수 없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신생 단계에서 예방접종이 매우 효과적이고, 면역과정에 따라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이오노포의 사용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탁월한 콕시듐증 예방효과를 제공함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동물에게 투여하여 콕시듐증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한다. 유기체의 정확한 형태는, 그 형태가 동물에 의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라면, 중요하지는 않다.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의 적합한 형태에는 포자 형성된 낭포체, 스포로조이트, 및 스포로시스트(sporocyst)가 포함된다. 스포로조이트 및 스포로시스트는 추가의 후처리를 필요로 하고, 스포로조이트는 비교적 불안정하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형태는 포자 형성된 낭포체이다. 여러 형태의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의 현탁액의 제조는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포자 형성된 낭포체의 대표적인 제조는 하기 실시예 1에 나타내었다.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경구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우기, 목적은 동물에 의한 면역반응이고, 다른 경로에 의한 투여는 필요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에 덜 확실하다. 경구 투여는 또한 감염성 유기체의 정확한 수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콕시듐 유기체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동물의 구강내로 직접 분무함으로써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다른 실례에 따라서, 에어로졸 전달에 의해 경구투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은 구강으로의 간접적 양식으로 공지되어 있다. 조류가 눈 또는 비강으로 에어로졸로 부터 흡수한 물질은 부분적으로구강내로 유입되고, 또한 에어로졸로부터 조류의 깃에 침착된 물질은 조류가 부리로 깃털을 다듬음에 의해 조류의 구강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구투여에 관한 것이지만, 이 용어에는 필연적으로 경구투여가 되는 에어로졸 전달도 포함된다.
감염성 유기체를 1회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복수투여는 잇점이 전혀 없고, 복수투여는 이오노포 요법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1회 단일 용량이 훨씬 바람직하다.
투여하는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의 정확한 수는, 그 수가 동물에 의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 효과적이어야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면역반응은 1내지 100,000개의 낭포체를 사용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다.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단순한 범위 탐색 실험을 사용하여 정확한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정확한 수는 특정 동물의 종 및 크기를 억제하고자 하는 특이 균주의 상대적인 면역원성(immunogenicity), 균주가 야생균주냐 감쇠균주냐 및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그밖의 인자에 따라 변화한다. 많은 경우에, 조류에게 에이머리아 맥시마(Eimeria maxima) 또는 에이머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의 낭포체 약 10 내지 약 5,000개를 단일 용량으로, 에이머리아 아세르불리나(Eimeria aservulina)의 낭포체 약 50 내지 약 20,000개를 단일 용량으로 투여하여 우수한 결과를 수득한다. 몇몇 경우에는, 에이머리아 맥시마 및 에이머리아 테넬라의 낭포체 1,000 내지 5,000개 및 에이머리아 아세르불리나의 낭포체 5,000 내지 10,000개의 용량도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오노포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 에이머리아 균주로 인한 콕시듐증을 예방하는데 이용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오노포를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것보다 훨씬 우수한 콕시듐증 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많은 에이머리아 균주가 이오노포에 대한 감소된 민감성 또는 심지어 철저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균주를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용에 있어서,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의 면역화 용량은 억제하고자 하는 바로 그 균주, 즉, 감소된 민감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균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오노포-내성 유기체의 증식은 일반적인 에이머리아 집단에서 이오노포-내성 유기체의 발생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오노포-내성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이오노포-민감성 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동일종의 상이한 균주들은 동일종의 다른 균주들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보편적인 사실이 아니고, 따라서 실제로는, 특정 이오노포-민감성 균주가 사실상 억제하고자 하는 이오노포-내성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이는 간단한 예비시험을 통해 통상의 전문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보 이오노포-민감성 균주를 투여하고 모든 콕시듐 예방 화학요법을 보류한 직후(예 : 5 내지 20일 후), 조류에 억제하고자 하는 이오노포-내성 균주로 감염시도(challenge)를 수행한다. 이어서 조류를 희생시키고 콕시듐증 질환의 일반적인 지표들을 평가한다. 그러나, 항체의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조류의 면역반응을 추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소규모 시험에서도 특정 이오노포-민감성 에이머리아 균주가 억제하고자 하는 이오노포-내성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 투여 단계 이후, 이오노포 화학요법을 시작할 때까지 지연기간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지연 기간을 두는 이유는 면역과정이 방해받지 않고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연 기간은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가 장관(intestinal tract)의 관련 부위로 이동하여 숙주 세포에 침투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숙주세포에 침투한 숙주 세포내의 유기체는 이오노포 요법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면역 과정이 진행된다. 정확한 지연시간은 숙주의 종류 및 위장관을 통한 이동속도 및 콕시듐의 종 및 위장관의 감염 부위에 따라 상이해진다. 여러가지 콕시듐 종들의 위장관을 통한 통상적인 이동속도 및 감염부위에 관해서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많이 알고 있다. 닭에 있어서, 지연 시간은 일반적으로 1 내지 4시간이어야 좋다. 소에 있어서, 지연 시간은 4 내지 8시간일 것이다. 화학요법을 시작하는 것을 더욱 더 장기간, 예를들어 24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지연기간은 동물이 면역과정에 의한 보호외에는 콕시듐증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상태로 방치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는, 스포로조이트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만큼만 이오노포 요법의 시작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지연기간 이후에, 이오노포 요법을 시작하고 동물의 생존기간 동안 거의 계속 사용한다. 상기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오노포가 콕시듐증 예방용으로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의 사용법, 콕시듐증 예방에 효과적인 이의 양 등에 익숙하므로 상세한 논고는 필요하지 않다. 사료중의 농도적 측면에서 제시되어 있는 여러 이오노포의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은 하기와 같다 : 모넨진 80 내지 125ppm, 나라진 50 내지 80ppm, 라살로시드 75 내지 125ppm, 살리노마이신 40 내지 70ppm, 마두라미신 4 내지 8ppm, A80190 10 내지 40ppm, 이오노포를 동물의 생존기간 동안 거의 계속적으로 투여하지만, 때때로의 중단 및 도살전 중단이 본 발명의 잇점을 변경하지는 않는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이오노포 요법은 유일한 콕시듐증 예방제로서 단일 이오노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것이다. 그러나, 2개의 이오노포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고, 이 경우 각각의 양이 감소될 것이다.
상기 교시 모두는 동물 사육을 위한 현재의 통상적인 실시, 특히 콕시듐증으로 가장 고생하는 가금 사육을 위한 통상적인 실시를 근거로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새롭게 출현하는 가금의 배 면역(embryonic immunization) 기술과 함께 사용하도록 적용시킬 수 있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458,630호 및 Avian Diseases 26(1) : 134-149, 1982]. 배 면역에서, 면역물질을 조류의 난(egg)에 주사한다. 본 발명은 배 면역과 함께 사용하도록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적용에서, 본 발명에 필요한 면역은 낭포체를 양막 또는 난황낭에 주사하는 것이 본 발명에는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어짐을 제외하고는 미합중국 특허 제4,458,630호에 따라서 수행한다. 오히려, 콕시듐증에 대한 배 면역은 또한 장요막강내로 주사함으로써도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부화 후, 본 발명의 실시는 동일하며, 즉, 콕시듐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를 조류의 생존기간 동안 거의 계속 투여한다. 그러나, 배 면역에 대한 정확한 면역 반응 시간은 확실히 공지되어 있지 않으나, 반응은 사실상 난황낭이 흡수되어 조류의 장관의 일부가 될때인 부화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또한, 면역 반응은 주사의 정확한 부위에 따라 난마다 다소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배 면역에 대한 최대 반응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요 양태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오노포 요법을 지연시킨다. 배 면역에 있어서, 지연시간은 상기한 동일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나, 부화시점이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에의 노출 시점인 것처럼 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적용에서, 본 발명은 (1) 배(embryo)를 포함하는 조류 난의 최종 1/4부화기(incubation period)중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유효수의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난에 주사하고, (2) 부화후,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를 조류의 생존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계속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콕시듐증으로부터 조류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적용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에이머리아의 이오노포 민감성 균주를 사용하여 에이머리아의 이오노포 내성 균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예증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 1]
포자 형성된 낭포체 현탁액의 제조
[공급원]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포자 형성된 낭포체의 현탁액은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사용하는 콕시듐 균주는 1974년 퍼듀 팜즈 인코포레이티드(Perdue Farms, Inc., Salisbury, MD)에서 최초로 분리한 에이머리아 맥시마(Eimeria maxima) FS-177이다. 이는 분리 이래로, 닭을 통해 배양 유지되어 왔다. 이 균주는 이오노포 민감성이 있다. 이 균주는 ATCC[Amerian Type Culture Collection ; 12301 Parklawn Drive, Rockville, MD 20852, USA]에 ATCC 지정번호 제40357호(1987. 8. 7. 기탁)로 기탁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제한없이 입수가능하다.
상기 에이머리아 맥시마는 1988년 2월 13일 한국 종균협회(KFCC)에 수탁번호 KFCC-10539로 기탁되었다.
[낭포체의 제조]
감염성 접종물은 수도물을 사용하여 포자 형성된 낭포체의 스톡 현탁액을 적절한 농도(15,000 내지 50,000 낭포체/ml)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조류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크롭(crop) 삽관법으로 배양물을 접종시킨다. 15,000 내지 50,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 용액 1ml 이하로 각 조류에게 투여한다.
조류를 감염후 8일 동안 증기-멸균 배터리 케이지(steam-sterilized battery cages)에 수용한다. 기타 특별한 예방조치를 한다. 조류를 8일간의 잠복기 동안 탐지한다. 분변을 현미경으로 조사하여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 이외의 낭포체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모든 조류의 장관을 후에 조사하여 기타 콕시듐 종에 의해 생성된 병변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모든 조류의 장관을 후에 조사하여 기타 콕시듐종에 의해 생성된 병변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참조 : Johnson and Reid, 1970].
감염후 제7일 내지 8일에 이들 조류로부터 분변을 수집하고 혼합하여 낭포체의 균질 현탁액을 수득한다.
[후처리]
이러한 현탁액을 미세망사체(fine mesh screen)로 걸려 모든 미립 물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수득된 현탁액을 등용적의 포화 NaCl에 가하여 낭포체를 잔류 분변 잔사로부터 분리한다(NaCl을 이러한 후처리에 사용하지만, 고점도 용액을 생성하는 기타 첨가제 모두를 NaCl 대신 사용할 수 있고 ; 통상 사용하는 기타 첨가제는 자당과 ZnSO4이다). NaCl 용액 표면에 부유된 낭포체를 흡인해 수집한다. 이어서 낭포체를 세척하고 저속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포화염을 제거한다[다량의 정제된 낭포체가 연속 유동 원심분리를 통해 수득될 수 있다(참조 : Vetterling, J.M., J. Parasitol. 55 : 412-417, 1969)].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농축 낭포체 집합체를 2% K2Cr2O7(칼륨 디크로메이트)중으로 혼합하여 낭포체의 포자형성을 유발한다. 용액중의 포자 형성된 낭포체 수는 현미경을 통해 혈구계수기의 격자상에 나타난 감염성 유기체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결정한다. ml 부피당 포자 형성된 낭포체의 수를 결정했으면 2% K2Cr2O7로 희석하여 목적하는 농도의 포자 형성된 낭포체/ml 의 희석액들을 제조한다. 순도 및 효력 측정은 낭포체형태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여 수행한다. 각 분량(lot)중의 포자 형성된 낭포체/ml 수를 확인한다.
[실시예 2]
생후 10일에 감염시도(challenge infection)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에이머리아 맥시마를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Day-Old Immunization)의 효과
닭장(battery) 실험을 후바드 병아리(Hubbard chick)에게 실시하여 생후 10일에 동일종 및 균주에 의한 감염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에이머리아 맥시마(FS-177균주)를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의 효과를 평가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오노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후바드-화이트 마운틴 숫병아리(Hubbard-White Mountain cockerel)을 실험에서 사용한다. 부화한 직후 체중을 측정하고 처리 그룹으로 활당한다. 각 처리를 4마리의 병아리에 대해 5회 반복한다. 실험기간 동안 병아리 표준 브로일러 배합사료(standard broiler starter ration)를 공급한다. 연구에서 사용한 처리는 하기와 같다 :
1. 비면역화(nonimmunized), 감염시도 안함(nonchallenged).
2. 비면역화, 제10일에 감염시도(challenged).
3. 제0일에 면역화(immunized), 제10일에 감염시도.
면역화된 조류에게 제0일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를 경구 접종시킨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포자 형성된 낭포체의 현탁액으로 접종한다. 감염된 그룹에게 제10일에 조류 1마리당 50,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FS-177균주) 낭포체를 경구 투여한다.
감염 접종물 투여 7일후, 체중을 측정하고 심장 천자(Cardiac puncture)를 통해 혈액을 채취하고 병변을 계산한다.[참조 : J. Johnson and W.M. Reid, Exp. Parasitol. 28 : 30-36, 1970]. 혈청을 각 혈액 샘플로부터 준비하고 β-카로티노이드 당량에 비해 분석한다[참조 : Ruff et al., Poultry sci. 53 : 1801-1809, 1974]. 또한, 모든 그룹으로부터 분변을 감염후 제6 내지 7일에 수집한다. 이 물질로부터, 조류 1마리당 평균 낭포체 생산을 확인한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10일에 투여된 감염시도물을 제0일의 면역화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조류의 β-카로티노이드 당량 및 성능에서 상당한 감소를 가져왔다. 이는 높은 평균 장 병변치 및 조류 1마리당 4천개 이상의 낭포체 배출량을 초래한다.
그러나, 제0일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로 면역화시킨 조류는 비면역화/감염시도된 조류와 비교할 경우 사료 전환의 상당한 향상 및 체중 증가의 숫적 증가를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병변치 및 낭포체 배출양은 면역화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혈청 색소 형성은 통계학상 비면역화, 감염시도하지 않은 대조군과 동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일 경과한 병아리가 2,000개의 포자 형성된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의 용량으로 초기 면역화된 후 보호면역 반응을 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 효과는 심한 감염시도 접종 7일후 성능, 병변치, 낭포체 배출량 및 혈청 β-카로티노이드 당량에서 관찰되었다.
[표 1]
콕시듐증의 지표 1
Figure kpo00001
1/윗첨자가 공통문자가 아닌 열에서 평균은 매우 상이함(P<0.05)
[실시예 3]
생후 21일에 감염시도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모넨진 투여와 결합한 에이머리아 맥시마를 사용한 수일경과 면역화 효과
바닥우리(floor pen) 연구를 후바드 스테레이트-런(Hubbard straight-run) 닭에게 실시하여 생후 21일에 에이머리아 맥시마 FS-410(이오노포 내성 균주)에 의한 감염 시도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 FS-177을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의 효과를 평가한다. 또한, 이러한 면역체계의 모넨진(100ppm) 효과를 완전 2×2 계승 디자인(factorial design)으로 측정한다.
상기 실험 결과는 병변치와 혈청 색소형성을 평가했을때 경구 면역화(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 FS-177 낭포체)가 제21일에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 FS-410의 감염시도로부터 조류를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모넨진의 존재 및 부재시 모두 발생한다.
후바드-화이트 마운틴 스트레이트-런 닭을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부화 직후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다. 각 처리는 4회 반복하고 각각의 수행시 50마리에 실시한다. 병아리에게 실험기간 동안 모넨진 0 또는 100ppm을 함유하는 표준 브로일러 배합 사료를 먹인다. 연구에서 사용한 처리는 하기와 같다 :
1. 약물 처리하지 않음(nonmedicated), 비면역화.
2. 약물 처리하지 않음, 면역화(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 FS-177 낭포체).
3 및 4. 100ppm 모넨진을 브로일러 사료에 혼합함을 제외하고 1 내지 2와 동일하게.
면역화된 조류에게 약물 처리하지 않거나 약물처리한 사료를 공급하기 약 4시간전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FS-177) 낭포체를 경구 접종한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포자형성된 낭포체의 현탁액을 사용하여 접종한다. 제21일에 우리 바닥에 존재하는 오물상에 에이머리아 맥시마(FS-410)의 낭포체를 함유하는 감염성 오물을 뿌림으로써 모든 조류에게 감염시도를 한다. 감염시도 7일후 모든 조류의 체중을 측정하고 희생시킨 후 각회당 15마리의 조류를 무작위로 선택해 병변치 및 혈청색소형성 분석을 행한다. 존슨 및 레이드(Johnson and Reid)법[참조 : Exp. Parasitol. 28 : 30-36, 1970]을 사용하여 병변치를 계산하고, 루프(Ruff) 등의 방법[참조 Poultry Sci., 53 : 1801-1809, 1974]을 사용하여 색소형성을 분석한다.
데이타는 분산분석(ANOVA)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 경우에 따라 처리 평균간의 차이는 스튜우던트-뉴만-쿨 시험(Student-Newman-Keul's test)을 사용하여 평가한다(P<0.05).
연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로 면역시킨 조류는 병변치 및 혈청 색소형성을 평가한 결과 제21일에서의 감염시도(FS-410)으로부터 보호되었다. 모넨진을 공급한 면역화된 조류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실험 결과는 바닥우리에서 사육된 면역화된 병아리는 제21일에서의 이오노포 내성 감염시도의 악영향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것을 보여준다. 병변치 및 혈청 색소형성에 있어서의 상당한 개선은 생후 1일에서의 경구 면역화된 보호 효과를 설명해주는 것이다.
[표 2]
바닥우리(Floor Pens)에서 생후 21일에 에이머리아 맥시마 FS-410에 의한 감염시도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에이머리아 맥시마 FS-177를 사용한 수일경과 면역화의 효과
Figure kpo00002
1/윗첨자가 공통문자가 아닌 열에서 평균은 매우 상이하다(P<0.05).
분산분석(ANOVA)-일방
Figure kpo00003
(체중증가, 병변치 및 β-카로텐 당량에 대한 평균의 집단 표준 오차는 각각 12.6, 0.26 및 0.31이다).
[실시예 4]
연속 감염시도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모넨진 투여와 결합한 에이머리아 맥시마를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화의 효과
바닥우리 실험을 후바드 스트레이트-런 닭에게 실시하여 면역후 곧 시작하는 에이머리아 맥시마 FS-410에 의한 감염시도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에이머리아 맥시마 FS-177을 사용한 수일경과 면역화의 효과를 평가한다. 실시예 3에서 보고된 실험에서의 동일한 바닥우리와 오물을 재활용하여 감염시킨다. 또한, 음료수 중의 레바미솔(levamisole) (5mg/체중(kg)) 및 사료중의 모넨진(100ppm)의 효과는 또한 3×2 계승 실험 디자인으로 측정한다.
본 실험결과는 체중증가를 분석한 결과, 에이머리아 맥시마를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화는 생후 1일에서의 감염시도로 부터 조류를 보호함을 보여준다. 병변치 및 혈청 색소 형성에서의 일치되지 않는 결과는 오물중에서의 감염시도가 병변치 및 혈청 색소형성에 관한 면역화 효과를 완전히 평가하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후바드-화이트 마운틴 스트레이트-런 브로일러 닭을 본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부화 직후, 조류를 처리 그룹으로 무작위로 할당하고, 각 처리를 4회 반복하되, 1회 반복당 50마리에 실시한다. 병아리에게 시험기간동안 표준 배합사료를 공급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처리는 하기와 같다:
1. 약물 처리하지 않음(nonmedicated), 비면역화.
2. 약물 처리하지 않음, 면역화(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FS-177 낭포체).
3. 약물 처리하지 않음, 면역화(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FS-177 낭포체)+4, 5 및 6일째 음료수중의 레바미솔(5mg/kg(체중)).
4 및 6. 100ppm 모넨진을 사료에 혼합함을 제외하고 1 내지 3과 동일하게.
면역화된 조류에게 약물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사료를 공급하기 약 4시간 전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FS-177)를 경구 접종한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포자형성된 낭포체의 현탁액을 사용하여 접종한다.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물질인 레바미솔을 4, 5 및 6일동안 체중 1kg당 5mg 농도로 음료수내로 혼합한다. 제1일에, 모든 조류가 놓여진 오물에는 에이머리아 맥시마 FS-410의 낭포체가 함유되어 있다.
제21일에, 존슨 및 레이드 법에 따라서 각 우리로부터 15마리의 조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심장천자를 통해 출혈시키고 병변치를 계산한다[참조 : Exp. Parasitol. 28 : 30-36, 1970]. 혈청을 준비하여 β-카로티노이드 당량에 대해 분석한다[참조 : Ruff et al., Poultry Sci. 53 : 1801-1809, 1974]. 제28일에 실험을 완결하고 성능 지표들을 측정한다.
데이타는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 경우에 따라 처리평균간의 차이는 스튜우던트-뉴만-쿨 시험을 사용하여 평가한다(P<0.05).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고, 면역화로 비면역화, 약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성능면에서 우수한 향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병변치는 제21일에 심하지 않다 : 불충분한 콕시듐 감염시도로 인하여 혈청색소 형성치는 일치하지 않으며 처리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표 3]
바닥 우리에서의 연속감염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에이머리아 맥시마를 사용한 수일 경과 면역화의 효과
Figure kpo00004
1. 윗첨자가 공통문자가 아닌 열에서 평균은 매우 상이하다.
각 처리는 50마리의 스트레이트 런-병아리로 4회 반복한 것이다. 병변치 및 혈액변수는 제21일에 수집한다.
2. β-카로티노이드 당량(㎍/ml)
3. 경구면역화는 제0일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로 실시한다.
4. 경구+레바미솔 처리된 조류를 제0일에 2,000개의 에이머리아 맥시마 낭포체를 면역시키고 실험 4, 5 및 6일에 음료수중에 레바미솔(5mg/kg(체중))을 공급한다.
분산분석(ANOVA)-일방
Figure kpo00005
(체중증가, 병변치 및 β-카로텐 당량에 대한 평균의 집단 표준 오차는 각각 27.7, 0.24 및 0.27이다)
[실시예 5]
대규모의 바닥우리 연구
대규모의 바닥우리 연구를 우리당 130마리의 조류로, 8개의 우리로 구성된 각 처리군으로 수행한다. 4가지 처리는 하기와 같이 의도된다:
비면역화, 약물 처리하지 않음.
면역화, 약물 처리하지 않음.
비면역화, 모넨진 120ppm으로 약물처리.
면역화, 모넨진 120ppm으로 약물처리.
그러나, 혼합 착오로 인해 시험 처음 21일동안 모든 조류에게 약물처리(모넨진 120ppm)하였다. 그후, 조류를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처리한다. 시험은 전 성장 기간(47일)에 걸쳐 수행한다. 본 연구는 모넨진에 대해 내성인 에이머리아 맥시마 균주로 일반적으로 오염된 장소에서 수행한다.
면역 낭포체는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에이머리아 맥시마 FS-177이다. 낭포체는 조류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약 2시간 전에 비이크-0-바트(Beak-0-Vac) 기계[P.O.Box 715, Gainesville, GA 30501 소재의 Beak-0-Vac Inc.에 의해 시판됨]로 경구 투여한다.
콕시듐증 예방 효능의 다양한 변수를 평가한다:
(1) 제16일에 우리당 10마리의 조류를 분리하여 에이머리아 맥시마 FS-410의 50,000개 낭포체로 감염시키고 ; 7일후(제23일) 출혈시켜 희생시킨다. 병변치 및 혈청 β-카로티노이드 당량을 측정한다.
(2) 제21일에 나머지 조류의 체중 및 사료 전환율을 측정한다.
(3) 제27, 34, 41, 및 47일에 각각, 우리당 5마리의 조류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β-카로티노이드 당량을 측정한다.
(4) 47일 기간 말엽에, 체중, 최종 사료 전환율 및 가공 및 사체(carcass) 특성을 나머지 모든 조류에 대해 측정한다.
결과 및 통계학적 분석은 하기 4개의 표에 정리하였다. 병변치는 0 내지 4등급으로 평가했으며, 0은 병변 무이고 4는 병변의 최대치이다. 표에서, "혈청 β-카로티노이드 당량"은 "혈청 β-CE"로, "분산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ANOVA"로, "평균의 집단 표준 오차"는 "PSEM"으로 표시한다.
[표 4]
제16일에 감염 제23일에 희생시킨 조류에 대한 데이타
Figure kpo00006
* 평균은 혼합오류 발견 전에 4개의 그룹 각각에 대해 계산되었다.
ANOVA(병변치)
Figure kpo00007
ANOVA (혈청 β-CE)
Figure kpo00008
[표 5]
제21일에 나머지(감염시도하지 않은) 조류에 대한 성능 데이타
Figure kpo00009
ANOVA(체중 21일)
Figure kpo00010
ANOVA(사료 전환율 21일)
Figure kpo00011
[표 6]
주 단위로 측정한 β-카로티노이드 당량(㎍/ml)
Figure kpo00012
ANOVA(제27일)
Figure kpo00013
ANOVA(제34일)
Figure kpo00014
ANOVA(제41일)
Figure kpo00015
ANOVA(제47일)
Figure kpo00016
[표 7]
최종 성능 데이타(47일)*
Figure kpo00017
*윗첨자가 공통문자가 아닌 열내의 평균은 매우 상이하다.
** 각각의 가공처리된 조류를 색상 및 완제품에 대해 1 내지 5의 등급으로 평가하는데 1 내지 2는 매우 우수 내지 최우수이고 3 내지 4는 양호 내지 우수이다.
ANOVA(최종체중)
Figure kpo00018
ANOVA(최종 사료 전환율)
Figure kpo00019

Claims (8)

  1. (1) 출생 부화 직후의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유효수의 이오노포-내성 에이머리아(Eimeria)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오노포-민감성 에이머리아 균주의 감염성 콕시듐 유기체를 경구투여하고, (2) 상기 동물을 단계(1) 이후 스포로조이트(sporozoites)가 숙주세포에 침투할 때까지 계속, 모든 화학요법상의 콕시듐증 예방을 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3)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ionophore)를 동물의 생존시간 동안 실질적으로 계속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콕시듐증에 걸리기 쉬운 동물을 콕시듐증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조류에게 부화 24시간내에, 이오노포-내성 에이머리아(Eimeria) 균주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효수의 이오노포-민감성(sensitive) 에이머리아 균주의 감염성 유기체를 경구투여하고, (2) 조류를 부화로부터 단계(1) 이후 스포로조이트가 숙주세포에 침투할 때까지 계속, 모든 화학요법상의 콕시듐증 예방을 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3) 콕시듐증 예방 유효량의 이오노포를 조류의 생존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계속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이오노포-내성 에이머리아 균주로 인한 콕시듐증으로부터 조류를 보호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오노포가 모넨진(monensin)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오노포가 라살로시드(lasalocid)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오노포가 나라진(narasin)인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오노포가 살리노마이신(Salinomycin)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오노포가 마두라미신(maduramicin)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호되는 동물이 닭 또는 칠면조인 방법.
KR1019870009286A 1986-08-28 1987-08-25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KR960003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191286A 1986-08-28 1986-08-28
US901,912 1986-08-28
US901912 198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538A KR880002538A (ko) 1988-05-09
KR960003379B1 true KR960003379B1 (ko) 1996-03-09

Family

ID=2541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286A KR960003379B1 (ko) 1986-08-28 1987-08-25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258045B1 (ko)
JP (1) JPH0832634B2 (ko)
KR (1) KR960003379B1 (ko)
AT (1) AT393453B (ko)
CA (1) CA1298555C (ko)
DE (1) DE3783409T2 (ko)
ES (1) ES2037088T3 (ko)
GR (1) GR3006758T3 (ko)
IE (1) IE61435B1 (ko)
IL (1) IL83643A (ko)
NZ (1) NZ221560A (ko)
PH (1) PH25546A (ko)
ZA (1) ZA876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282436B6 (sk) 1995-06-07 2002-02-05 Pfizer Inc. Živé sporocysty alebo oocysty Eimeria alebo ich zmesi na výrobu očkovacej látky
ES2155129T3 (es) 1995-06-07 2001-05-01 Pfizer Vacunacion in ovo contra la coccidiosis.
CA2213385A1 (en) * 1997-08-20 1999-02-20 Eng-Hong Lee Method of protecting against coccidiosis infections in poultry
US6627205B2 (en) 1997-12-01 2003-09-30 Pfizer Incorporated Ovo vaccination against coccidiosis
US6984378B1 (en) 1999-02-26 2006-01-10 Pfizer, Inc. Method for the purification, recovery, and sporulation of cysts and oocysts
WO2002037961A2 (en) 2000-11-08 2002-05-16 Novu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coccidiosis
CA2452841C (en) 2001-08-30 2012-10-02 Embrex, Inc. Method of sporulating eimeria oocytes
JP2011521955A (ja) 2008-05-29 2011-07-28 インターベツト・インターナシヨナル・ベー・ベー コクシジウム症ワクチン
WO2010056709A2 (en) 2008-11-13 2010-05-20 Intervet International B.V. Eimeria vaccine for turkey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8351A1 (fr) * 1977-11-14 1979-06-08 Unilever Nv Procede et composition destines a la lutte contre la coccidiose chez la vola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3409D1 (de) 1993-02-18
KR880002538A (ko) 1988-05-09
EP0258045A2 (en) 1988-03-02
CA1298555C (en) 1992-04-07
ZA876321B (en) 1989-04-26
PH25546A (en) 1991-08-08
IL83643A0 (en) 1988-01-31
AU591330B2 (en) 1989-11-30
ATA216087A (de) 1991-04-15
IE61435B1 (en) 1994-11-02
AU7746387A (en) 1988-03-03
JPS6363619A (ja) 1988-03-22
ES2037088T3 (es) 1993-06-16
DE3783409T2 (de) 1993-05-27
EP0258045A3 (en) 1988-05-18
EP0258045B1 (en) 1993-01-07
JPH0832634B2 (ja) 1996-03-29
NZ221560A (en) 1989-10-27
IL83643A (en) 1991-01-31
GR3006758T3 (ko) 1993-06-30
AT393453B (de) 199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 Anticoccidial vaccines for broiler chickens: pathways to success
McDougald et al. Protozoal infections
Douch et al. Relationship of gastrointestinal histology and mucus antiparasite activity with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trichostrongyle infections in sheep
US4935007A (en) Anticoccidial method
Chapman Eimeria tenella in chickens: studies on resistance to the anticoccidial drugs monensin and lasalocid
KR0167417B1 (ko)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Rolfe et al. Pathology of infection with Paramphistomum ichika wai in sheep
Krautwald-Junghanns et al. Relevance and treatment of coccidiosis in domestic pigeons (Columba livia forma domestica)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oltrazuril
KR960003379B1 (ko) 개선된 콕시듐증 예방법
Brunsdon Seasonal changes in the level and composition of nematode worm burdens in young sheep
Rolfe et al. Chemotherapy of paramphistornosis in sheep
JPS6354692B2 (ko)
WO1994016725A1 (en) Live coccidiosis vaccine
Sur et al. Enzyme histochemical and ser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immune system from chickens treated in ovo with aflatoxin B1 (AFB1)
Levine Infection of the chicken with Capillaria columbae (Rud.)
Long et al. Eimeria: immunisation of young chickens kept in litter pens
Stallbaumer et al. The effects of monensin, narasin, salinomycin and nicarbazin, on field strains of chicken coccidia
El-Morsy et al. Efficacy of some anticoccidial drugs on experimentally induced cecal coccidiosis (E. tsunodai) in Japanese quails
EP0938335B1 (en) In ovo vaccin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Munir et al. Effects of polyether ionophores on the protective immune responses of broiler chickens against Angara disease and Newcastle disease viruses
Giambrone et al. Effect of levamisole on the response of broilers to coccidiosis vaccination
Norton Eimeria colchici sp. nov.(Protozoa: Eimeriidae), the cause of cecal coccidiosis in English covert pheasants
Ruff et al. Resistance to monensin medication in Eimeria tenella.
Purchase et al. Infectious bursal agent of chickens reduces the incidence of lymphoid leukosis
Chapman Resistance of field isolates of Eimeria species to anticoccidial dr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