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40B1 -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40B1
KR960003040B1 KR1019910014262A KR910014262A KR960003040B1 KR 960003040 B1 KR960003040 B1 KR 960003040B1 KR 1019910014262 A KR1019910014262 A KR 1019910014262A KR 910014262 A KR910014262 A KR 910014262A KR 960003040 B1 KR960003040 B1 KR 96000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counter
clear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656A (ko
Inventor
마사히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후지쓰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미 히로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후지쓰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미 히로유끼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65Synchronisation of the PAL-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제1a도 내지 1e도는 주파수 비월주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2a도 내지 2b도는 NTSC 방식을 사용한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
제3a도 내지 3b도는 종래 기술의 PAL 방식을 사용한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5a도 내지 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PAL 방식의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는 사용하여 얻은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
제6a도 내지 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의 일실시예를 지시하는 블록도.
제7도는 제6도에 보인 SYNC 발생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SYNC 발생장치의 일예를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9도는 제6도에 보인 아날로그 스위치 및 사다리형 레지스터의 일예를 지시하는 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아날로그 스위치 및 사다리형 레지스터의 진리값을 나타내는 도.
제11 내지 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의 실시예의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은 수평 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AL(phase alternation by line)식 컬러 텔레비젼에 사용된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세가지의 다른 방식들이 컬러 텔레비젼 규격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즉, NTSC 방식이 일본, 미국, 한국 등에 적용되고 ; PAL 방식이 영국, 독일 등에서 사용되며 ; SECAM 방식이 프랑스 등에서 사용된다.
PAL 방식은 NTSC 방식과 기본적으로 그 구조가 같으나, PAL 방식에서는 두 색 신호가 전송되어 두 색 신호중의 한 위상이 각 라인에 의해 반전된다. PAL 방식에서 이 위상 반전은 전송선에 의해 생긴 변화를 조정하도록 사용되므로 채도 왜곡(saturation distortion)이 극히 감소될 수 있다.
PAL 방식에 있어서, 기본 클록의 주파수[4×625×Fsc](Hz)가 매우 높아서 카운터 등에 사용된 비트의 수가 크고 회로규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사식이 원식대신 사용된다. 근사식을 사용할 때 기본 클록의 주파수가 상기 기본 클록의 주파수[4×625-Fsc](Hz)보다 1/625이 작은 [4×Fsc](Hz)로 감소될 수 있어서, 카운터 등에 사용된 비트를 감소할 수 있고 회로의 크기가 많이 축소된다.
그러나, 근사식에 의해 얻어진 색 부반송파(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와 색 부반송파의 정확한 주파수 사이에 오차가 생기므로, 인접 주사선 사이의 명암의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므로 미세한 움직임 예를 들어 문자 영상의 영상을 나타낼 때, 흔들림(또는 도트 간섭)이 생길 수도 있고 영상(display image)의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 발생된 문제점들을 수반된 도면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의 규모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PAL 방식에서의 도트 간섭을 없애기 위한 수평주사 주기신호(또는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배수로 지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기록 클록을 발생하는 클록 발생장치 ; 클록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특정 클리어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기본 클록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 장치 ; 카운터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카운터 장치의 값을 조사하여 카운터 장치의 값이 정상 수평주사 주기와 일치할 때 제 1후드(candidate)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 카운터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카운터 장치의 값을 조사하여 카운터 장치의 값이 정상 수평주사 주기보다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1/2 주기의 홀수 배수에 의해 더 긴 수평주사 주기와 일치할 때 제2후보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 및 제1 및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와 카운터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제1후보 클리어 신호 또는 제2 후보 클리어 신호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PAL 방식에 사용된 수평주사 주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는 한 수직주사 주기동안 선택된 최소한 한 신호이다.
상기 장치는 색 부반송파 주파수에 대해 다음 근사식을 사용하는 PAL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Fsc=((4×n-1)×FL. 여기서 FL은 수평 주파수 이다.
기본 클록은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로 지정할 수 있다.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는 카운터 장치의 값이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1/2주기에 의해 정상 수평주사 주기보다 긴 주기와 일치할 때 제2후보 클리어 신호를 발생한다. 제1클리어 신호 발생장치는 1135-카운터로 구성되고,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는 1137-카운터로 구성된다.
제2후보 클리어 신호는 각 필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된 주사선에 선택된다. 제2후보 클리어 신호는 각 필드의 312번째나 625번째 주사선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본 클록을 발생하는 클록 발생장치 ; 커맨드 데이타, 커맨드 어드레스, 디스플레이 도트 클록, 수평 동기화 신호 및 수직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다수의 메모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시퀀서 ; 클록 발생장치와 메모리 시퀀서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기본클록에 따라 수평 동기화 신호, 수직 동기화 신호 및 다수의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SYNC 발생장치 ; 및 메모리 시퀀서에 연결되어 있고, SYNC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특정한 영상의 빨간색, 파란색 및 녹색 도트 신호를 디코우더하기 위한 색 디코우더 회로로 이루어진 화상신호 발생장치도 또한 제공된다.
SYNC 발생장치는 클록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기본 클록을 카운트하기 위한 수평 카운터 ; 수평 카운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2후보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평 디코우더, 여기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는 수평 카운터의 값을 조사하여 수평주사 주기보다 색부반송파 주파수의 1/2 주기에 의해 더 긴 타이밍에서 출력된다 ; 수평 디코우더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2후보 클리어 신호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는 한 수직주사 주기 동안 선택되는 적어도 한 신호이다. 화상 신호 발생장치는 화면 표시 제어장치로서 구성된다.
우선,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위해 종래 기술에서의 NTSC 방식 및 PAL 방식의 문제점들을 설명한다.
일본, 미국 등의 컬러 텔레비젼 방식에 있어서, 컬러 텔레비젼 방송과 모노크롬(흑백) 텔레비젼 방송간의 양립성의 중요로 인해 NTSC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 NTSC 방식에서 대상(또는 목표영상)의 빨강(R), 초록(G), 및 파(B)이 주된 색이 휘도 신호 및 색 차이 신호에 의해 전송된다. 우선 이들 신호가 컬러 텔레비젼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 주된 색을 휘도 신호 및 색 차이 신호에 의해 얻을 수 있으므로, 대상의 색상이 컬러 텔레비젼 수신기에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이들 신호가 흑백 텔레비젼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는, 대상의 흑백상을 단 휘도 신호만을 사용하여 흑백 텔레비젼 수신기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주된 색(R,G,B)으로부터 휘도 신호를 감산하여 정의되는 신호인 색 차이 신호는 R-Y, G-Y 및 B-Y 신호로 구성되는데, 단두 신호 R-Y 및 B-Y(크로미넌스 신호라 부름)만이 전송되고 남겨진 신호 G-Y는 전송된 두 크로미넌스 신호 R-Y 및 B-Y에 따라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다시 만들어진다.
게다가, 휘도 신호 및 크로미넌스 신호의 주파수는 텔레비젼 신호의 전송 대역(0~4MHz) 이내에서 휘도 신호 및 크로미넌스 신호의 각 스펙트럼을 교대로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크로미넌스 신호의 고조파 스펙트럼이 휘도 신호의 고조파 스펙트럼의 간격(또는 수평주사 주파수의 간격)에 포함되도록 크로미넌스 신호의 주파수가 선택된다. 이것은 크로미넌스 신호 대신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Q신호 및 I 신호에 해당하는 크로미넌스 신호의 주파수가 수평주사 주파수의 1/2의 홀수배로서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공인된 색 부반송파 주파수는 5.58MHz(정확히 3.579545)로 지정되어 있다. 이 주파수는 7.875KHz(정확히 7.868132KHz)의 주파수에 455배에 해당한다. 7.875KHz의 주파수는 15.750KHz(정확히 15.734264KHz)의 수평주사 주파수의 1/2이다. 그러므로, 반송파 주파수가 7.875KHz의 주파수의 홀수배(1,3,5, ...)로서 선택될 때, 크로미넌스 신호의 고조파 스펙트럼이 15.750KHz의 고조파 주파수의 중앙에 포함된다.
주파수를 삽입하여 수행되는 이 주파수 구역배분을 주파수 비월방법(또는 주파수 삽입방법)이라 하며 종래 기술에 이미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NTSC 방식에서는 색 부반송파 주파수가 공식(fH/2)(여기서, fH는 수평주사 주파수로서 선택된다)에 의해 선택된다. 즉,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위치가 수평주사 주파수(또는 수평 동기화 신호의 주파수)의 227번째 고조파와 228번째 고조파 사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 예를들면 전송된 전기파를 수신할 때 주신된 영상상에 파형 이미지(wave shape image)의 현상을 주파수 비월방법을 사용하여 없앨 수 있다.
다음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파형 이미지를 제거하는 이유를 제1a 내지 1e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a 내지 1e도는 주파수 비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a도 내지 1e도에서 기호 Sa는 임의의 프레임의 제1 주사선을 따르는 휘도 신호로 가정하고(제1a도 참조), Sb는 크로미넌스 신호라 가정(제1b도 참조)할 때, 명암이 휘도 신호 Sa에 의해 텔레비젼 수상관의 제1 주사선상에 나타난다. 게다가, 동시에 크로미넌스 신호 Sb에 의해 텔레비젼 수상관에 명암이 나타나서 상기 바람직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 부반송파 주파수를 수평주사 주파수로 동기화할 때 또한 색 부반송파 주파수를 1/2 수평주사 주파수의 홀수배로 정할 때는 제1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음 프레임의 제1 주사선을 따르는 크로미넌스 신호 Sb''의 위상이 제1 프레임의 주사선을 따르는 크로미넌스 신호 Sb'와 위상이 반대다. 그러므로 제1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들 크로미넌스 신호 Sb'Sb''를 합하여 파형 Sc가 얻어지고, 제1e도에 보인 바와같이 필요없는 크로미넌스 신호의 명암을 없앤다.
즉 공식(fH/2)×455를 만족시키기 위한 색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선택할 때 두 인접 주사선 사이의 반송파 신호에 의해 생긴 밝음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게 생기고 따라서 시각적인 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제2a및 2b도는 NTSC 방식을 사용한 영상의 일예를 지시하는 도이다. 제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지의 비월 주사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제2a도에 도시한 영상이 매 두 프레임(또는 네 필드)마다 되돌아가고, 제2a도에 도시한 영상으로부터 계속 나타나는 다음 프레임(현재 프레임)을 생략한다.
제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NTSC 방식에서는 영상(또는 프레임)이 525개의 주사선으로 구성되는데 한 프레임이 252.5개의 주사선으로된 두개의 필드로 형성된다. 즉 처음 1/60초내에 1에서 263개(바로 전의 주사선 수 263의 반)의 주사선으로 한 필드가 형성되며 이는 제2a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고, 다른 필드는 다음 1/60 초 내에 263(다음 주사선 수 263의 반)에서 525개의 주사선으로 형성되며 이는 제2a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냈다. 각각의 제1 및 2필드를 1/60초에 의해 형성하므로 각 프레임은 1/30초에 형성된다. 또한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백부분은 명점(light point)을 빗금친 부분은 암점(dark point)을 표시하는데 각 부분(또는 각점)은 한 파장(Fsc)의 반에 해당한다.
제2a도에 명백히 나타난 것처럼 수직방향(세트방향)에서 264번째 주사선(주사선 수 264)과 두번째 주사선(주사선 수 2)의 공백부분은 첫번째 주사선(주사선 수 1)가 265번째 주사선(주사선 수 265)의 빗금친 부분 사이에 있고, 265번째 주사선과 세번째 주사선의 공백부분은 두번째 주사선과 266번째 주사선의 빗금친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즉, NTSC 방식에서, 같은 필드에서의 두 인접한 주사선(첫번째와 두번째 주사선, 264번째와 265번째 주사선 등)의 색 부반송파 신호(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이 180°다르므로 같은 필드에서의 두 인접한 주사선의 공백부분을 빗금친 부분으로 반전시켜서 크로미넌스 신호의 불필요한 명암을 없애고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말하자면 PAL 방식은 상기 서술한 NTSC 방식 대신에 아시아나유럽(예를들면 영국,독일)에서 사용된다.
이 PAL 방식은 기본적으로 NTSC 방식과 그 구조가 같으나, PAL 방식에서는 두 크로미넌스 신호중의 한 위상이 각 라인에 의해 반전되도록 두 크로미넌스 신호가 전송된다.
PAL 방식에서 이 위상 반전은 전송선에 의해 발생된 변화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채도 왜곡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PAL 방식에서 색 부반송파 주파수 Fsc와 수평주사 주파수 FL은 다음식 ②를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Fsc=(n-1/4)FL+FF .........................................................................................................................
= C((4×n-1)/4)+(FF/FL))
단, Fsc : 색 부반송파 주파수(4.43361875 MHz)
FL: 수평주사 주파수(15.625KHz)
FF: 필드 주파수(50Hz)
n : 화상 신호 대역에서 색 부반송파의위치
(예를들어, n=248)
PAL 방식에서 필드 주파수 FF와 수평주사 주파수 FL간의 지정된 비율(FF/FL)은 1/625로 설정하며 따라서 상기 공식 ②는 다음식 ③으로 변환된다.
Fsc=((4×n-1)×625-4)/(4×625))×FL)...................................................
이 공식 ③은 색 부반송파의 정확한 주파수를 기본 클록[4×625×Fsc](Hz)를 [((4×n-1)×625-4]배 카운트하여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PAL 방식에 따라 기본 클록의 주파수가 매우 높아서 카운터 등에 사용된 비트의 수가 크고 회로 규모가 커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공식 ③을 다음 근사식 ④로 대치한다.
Fsc'=((4×n-1)/4)×FL ....................................................................................................
이 근사식을 사용하여 기본 클록의 주파수가 기본 클록의 주파수[4×625×FC]보다 1/625이 낮은 [4×Fsc]로 감소될 수 있다. 그래서, 카운터 등에 사용된 비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의 규모가 작아진다.
그러나, 상기 근사식으로 얻은 색 부반송파의 주파수 Fsc'와 색 부반송파의 정확한 주파수 Fsc 사이에 오차가 생기므로 두 인접한 주사선 사이의 명암이 생긴다. 그러므로 미세한 움직임, 예를들어 문자의 화상을 표시할 때 흔들림(도트 간섭이라 함)이 생길 수도 있다. 도트 간섭이 일어날 경우 화상(또는 문자)의 형상에 위치된 도트가 움직이며 따라서 영상의 질이 떨어진다.
즉, 색 부반송파 주파수 Fsc가 정확한 주파수로 정해질 때 전술한 주파수 비월방법으로 도트 간섭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근사식으로 얻은 색 부반송파 주파수 Fsc'를 사용할 때는 주파수 오차를 피할 수 없다. 또한, 인접 주사선의 크로미넌스 신호의 위상이 일정하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을 일으킨다.
제3a 내지 3b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PAL 방식을 사용한 영상의 일예를 지시하는 도이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월 주사방법을 적용하였고, 제3도의 영상은 상기 근사식 ④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3도의 영상은 매 4프레임(또는 8필드)마다에 의해 되돌려지고, 제3a도에 도시한 영상(현 프레임)으로부터 다음의 세 프레임을 생략한다.
제3a도에서처럼 PAL 방식은 625 주사선으로 영상(또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312.5 주사선으로 각각 구성되는 두 필드로 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한 필드은 처음 1/50초내에 1에서 313(이전의 주사선 수 313의 반)개의 주사선으로 형성되고 이는 제3a도에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또다른 한 필드는 다음 1/50초내에 313(다음의 주사선 수의 313의 반)에서 625개의 주사선으로 형성되며 이는 제3a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각각의 제1 및 2필드는 1/50초에 형성되고, 따라서 각 프레임은 1/25초에 형성된다. 게다가, 제3b도에서처럼 공백부분은 명점을 빗금친 부분은 암점을 나타내며, 각 부분(또는 각 점)은 한 파장(Fsc)의 반에 해당한다.
제3a도에 명백히 나타난 것처럼, 프레임의 수직방향(세로방향)에서 314번째의 두번째 주사선, 315번째와 세번째 주사선, 316번째와 네번째 주사선 등의 두 인접한 공백(빗금친)부분을 아래쪽으로 보내면서 점차적으로 오른쪽에 전송한다. 같은 필드에서, 각 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은 1/4주기(4Fsc)의 지연에 의한 주사선의 증가와 함께 오른쪽편에 전송된다. 즉 상기 근사식 ④를 사용하는 PAL 방식에서, 같은 필드에서의 두 인접한 주사선(제1 및 2주사선, 314번째 및 315번째 주사선 등등)의 색 부반송파 신호(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이 90°가 다르므로 같은 필드에서의 공백(빗금친)부분의 영역을 90°(1/4주기) 지연한다. 따라서 영상에 줄무늬가 나타나고 흔들림이 생겨서 영상의 질이 떨어진다.
다음은 본발명에 의한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의 기본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 동기화 신호 발생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4도에서처럼,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는 클록신호 발생장치 AA, 카운터 장치 BB, 제1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CC,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DD 및 선택장치 EE로 구성되어 있다.
클록 발생장치 AA는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배수인 주파수를 갖는 기본 클록을 발생하는데 사용되고, 카운터 장치 BB는 지정된 클리어 신호를 입력할 때까지 기본 클록을 카운트하는데 사용된다. 제1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CC는 카운터 장치의 값을 조사하여 카운터 장치의 값이 수평주사 한 주기(또는 수평 동기화 신호의 한 주기)와 일치할 때 제1후보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제2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DD는 카운터 장치의 값을 조사해서 카운터 장치의 값이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1/2 주기에 의해 수평주사 한 주기보다 더 긴 주기와 일치할 때 제2후보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장치 EE는 클리어 신호로 지정된 제1후보 클리어 신호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수직주사 한 주기 동안 특정 클리어 신호로 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서, 색 부반송파 주파수 Fsc의 배수(예를들어, 4배)로 정해지는 주파수를 갖는 기본 클록(예를들어, 4Fsc)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을 각 수평주사 주기(수평동기화 신호)에 의해 클리어시키고,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1/2 주기에 의해서 수평주사 한 주기보다 긴 주기에 의해 한 수직주사 주기 동안 적어도 한번 클리어시킨다.
그러므로 한 수평주사 주기(한 필드)의 길이를 [수평주사 주기(FL×625+α](α : Fsc의 1/2 주기)로 설정하고 연속 필드에서 크로미넌스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서 인접 주사선간의 도트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5a 및 5b도는 본 발명의 PAL 방식의 수평 동기화 신호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월 주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제5a도의 영상은 상기 근사식 ④ 및 제4도를 참조한 전술한 구조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5a도의 영상은 매 4프레임(또는 8필드)마다 복귀되고, 제5a도의 영상(현 프레임)으로부터 다음의 세 프레임을 생략한다.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PAL 방식에서는 영상(또는 프레임)을 625개의 주사선으로 구성하고 312.5개로 각각 구성된 두개의 필드로 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한 필드는 처음 1/50초에 1에서 313(주사선 수 313의 앞의 반)개의 주사선으로 형성되고 이는 제5a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또다른 한 필드는 다음 1/50초에 313(주사선 수 313의 다음의 반)에서 625개의 주사선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제5a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제1 및 2필드은 1/50초에 형성되고 따라서 각 프레임은 1/25초에 형성된다. 또한, 제5b도에서 공백부분은 명점을 빗금친 부분은 암점을 지시하는데 각 영역(또는 각점)은 한 파장(Fsc)의 1/2에 해당한다.
제5a도의 영상에 있어서, 영상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각각의 주사선 312 및 625는 2Fsc 또는 1/2 파장에 해당하는 부가적인 영역을 포함해서 줄무늬가 영상에 나타나지 않고 흔들림(도트 간섭)도 생기지 않게 된다.
제5a도에 명백히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의 수직방향(세로방향)에서 제1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은 315번째 주사선, 다섯번째 주사선 등등에 나타나고 ; 314번째 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은 네번째 주사선, 318번째 주사선 등에 나타나며 ; 제2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은 316번째, 여섯번째 주사선 등등에 나타난다. 즉 같은 필드에서 각 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이 매 4개의 주사선마다 나타나고 그 관계는 제3a도에 나타난 바와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프레임에서 모든 두 인접한 주사선(제1 및 314번째 주사선, 314번째 및 제2주사선 등)의 색 부반송파 신호의 위상은 90˚가 다르며 따라서 같은 필드에서 주사선의 공백(빗금친)부분이 90˚(1/4주기) 지연되거나 앞선다. 그러므로 영상에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고 흔들림(도트 간섭)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도트 간섭을 회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쉽게 막을 수 있다.
제5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영상의 하부에 위치된 각 주사선 312 및 625는 3Fsc에 해당하는 부가적인 영역을 포함하지만 2Fsc(1/2 파장)에 해당하는 부가적인 영역을 312번째 및 625번째 주사선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필드에서 부가적인 영역이 상부나 하부에 인접한 주사선의 끝부분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2Fsc(1/2 파장)에 해당하는 부가적인 영역을 311번째와 624번째, 624번째와 312번째, 313번째와 첫번째 또는 첫번째와 314번째 주사선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가영역을 2Fsc(또는 1/2 파장)에 해당하는 영역으로만 제한하지 않고 2Fsc(또는 1/2 파장)의 홀수배, 예를들어 3/2 파장이나 5/2 파장으로 정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지시하는 블록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신호 발생장치(또는 OSDC : 온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대략 CPU 인터페이스 10, 메모리 시퀀서 13, 병렬/직렬 변환기 14, 문자 수정 제어회로 16, 색 디코우더회로 17, 사다리형 레지스터 및 아날로그 스위치 18 및 SYNC 발생장치 19를 포함한다.
CPU 인터페이스 10은 화상신호 발생장치를 외부버스를 통해 컴퓨터(CPU)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메모리 시퀀서 13은 커맨드 데이타, 커맨드 어드레스, 디스플레이 도트 클록, 수평 동기화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화 신호(VSYNC)를 수신하여 여러 메모리부(예를들어, 문자화상 RAM11 또는 문자발생기 ROM12)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병렬/직렬 카운터 14는 커맨드 데이타, 커맨드 어드레스 및 디스플레이 도트 클록에 따라 문자발생기 ROM12로부터 독출된 문자패턴을 직렬 순서를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문자수정 제어회로 16은 컬러 레지스터 15로부터 직렬 변환된 디스플레이 도트 신호로 출력된 색 정보를 가하여 빨강, 파랑 및 초록 도트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색 디코우터 회로 17은 기본 클록신호(4Fsc), 색 부반송파 위상 제어신호, 복합 동기화 신호, 복합 블랭킹 신호, 컬러 버스트 게이트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빨강, 파랑 및 초록 도트 신호를 디코우더하는데 사용되고, 사다리형 레지스터 및 아날로그 스위치 18은 색 디코우더 17의 출력에 따라 복합 화상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하며, SYNC 발생장치 19는 전술한 수평 동기화 신호(HSYNC), 수직 동기화 신호(VSYNC) 및 다양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SYNC 발생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7도에 도시한 것처럼, SYNC 발생장치 19는 수평 카운터 21, 수평 디코우더 22, 수평 펄스 발생장치 23, 수직 카운터 24, 수식 디코우더, 25, 수직 펄스 발생장치 26, 필드 카운터 27, 복합 펄스 발생장치 28 및 선택장치 29로 이루어진다.
수평 카운터 21은 기본 클록의 하강구간을 동기화하는 동안 PAL 방식에서 한 수평주사 주기(1H로 부름)에 해당하는 0 내지 1134(또는 0 내지 1136)에 의해 기본 클록(4Fsc)를 카운트하는 10비트 카운터로 구성된다. 수평 디코우더 22는 수평 카운터 21의 출력을 디코우더하고 여러 수평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고, 수평 펄스 발생장치 23은 수평 디코우더 22의 출력에 따라 여러 수평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수직 카운터 24는 1/2 H펄스의 하강구간을 동기화하는 동안 PAL 방식에서 한 수직주사 주기(1V로 부름)에 해당하는 0 내지 624에 의해 수평 디코우더 22의 1/2 H펄스를 카운트하는 10비트 카운터로 이루어진다. 수직 디코우더 25는 수직 카운터 24의 출력을 디코우더하고 여러 수직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되고, 수직 펄스 발생장치 26은 수직 디코우더 25의 출력에 따라 여러 수직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필드 카운터 27은 PAL 방식에서 두 프레임 주기에 해당하는 0 내지 3에 의해 수직 디코우더 25의 1V 펄스를 카운트하는 2비트 카운터로 구성되어 있고, 수직 컬러 버스트 블랭킹 주기의 위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복합 펄스발생장치 28은 수평 펄스 발생장치 23 및 수직 펄스 발생장치 26의 출력에 따라 복합 펄스발생 신호를 선택장치 29에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SYNC 발생장치의 일예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SYNC 발생장치 19는 수평 카운터 21, 수평 디코우더 22, 수직 카운터 24, 수직 디코우더 25 및 선택장치 29로 이루어진다.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수평 카운터 21에서, 두 종류의 수평주사 주기가 카운터되는데, 한 주기는 0 내지 1134에 의해 기본 클록(4Fsc)을 카운트하는 길이에 해당하는 [4Fsc×1135]의 길이를 갖는 정상 수평주사주기(1HNORMAL)이고, 다른 한 주기는 정상 수평주사 주기 1HNORMAL보다 [4Fsc×2]에 의해 더 긴 길이를 갖는 긴 수평주사 주기(1HLONG)이다. 즉, [4Fsc×1137]의 길이를 갖는 긴 수평 주기 1LONG은 0 내지 1136에 의해 기본 클록을 카운트하는 길이에 해당한다. 긴 수평주사 주기 1HLONG에서 [4Fsc×2]의 더 긴 길이는 제5a도에 도시한 각각의 312번째 및 625번째의 끝부분에 위치된 부가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긴 수평주사 주기 1HLONG은 각 한 수직주사 주기 1V(또는 한 필드)에서 단 한 타임에 포함된다.
제7 및 8도에서 수평 카운터 21은 제4도에서 카운터장치 BB에 해당하고, 수평 디코우더 22는 제1 및 2 클리어 신호 발생장치 CC 및 DD에 해당하며, 선택장치 29는 선택장치 EE에 해당한다. 게다가, 제8도에서 수정 발진기 9는 클록신호 발생장치 AA에 해당한다.
제9도는 제6도에 도시한 아날로그 스위치 및 사다리형 레지스터의 일예를 지시하는 회로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아날로그 스위치 및 사다리형 레지스터의 진리값을 나타낸 도이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택장치 29는 인버터 30, OR 게이트 31, 32 및 AND 게이트 33으로 이루어지는데, 수평 디코우더 22로부터 출력된 두 클리어 신호(NCLR,ACLR)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수평 카운터 21의 클리어 신호(HCLR)로서 결정된다.
한 수직주사 주기 동안 수직 디코우더 25로부터 한번 출력된 선택제어 신호(LLINE)가 비활성상태(“1”)에 있을때, 선택장치 29에서 정상 수평주사 주기 1HNORMAL에 대한 클리어 신호 NCLR이 선택되고, 반대로 선택 제어신호 LLINE가 활성 상태(“0”)에 있을때 선택장치 29에서 긴 수평 주사 주기 1HLONG에 대한 다른 한 클리어 신호 ACLR이 선택된다. 즉, 클리어 신호 ACLR이 한 수직주사 주기(또는 한 필드) 동안 단한번 선택된다. 이들 클리어 신호 NCLR 및 ACLR은 수평 카운터 21을 통해 수평 디코우더 22로부터 출력되고, 수평 카운터 21은 0 내지 1134(1135번) 또는 0 내지 1136(1137번)에 의해 기본 클록(4Fsc)을 카운트한다. 즉, 클리어 신호 NCLR은 [4Fsc×1135]의 길이를 갖는 정상 수평주사 주기 1HNORMAL에 대응하고, 클리어 신호 ACLR은 [4Fsc×1137]의 길이를 갖는 긴 수평주사 주기 1HLONG에 대응한다.
제11 내지 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 동기화 신호 발생장치의 실시예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선택 제어신호 LLINE이 “1”에서 지정되거나 수직 카운터 24의 카운터 값이 제5a도에 도시한 주사선 1 내지 624에 해당하는 0으로부터 623으로 지정될 때는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 카운터 21이 한 클리어 신호 NCLR의 타이밍에서 클리어되고 수평 카운터 21의 카운터 값이 그의 길이가 [4Fsc×1135]로 정해지는(제12도 참조) 정상 수평주사 주기 1HNORMAL에 해당하는 0으로부터 1134(1135번)까지 결정된다. 반대로, 선택 제어신호 LLINE이 “0”에서 지정되거나 수직 카운터 24의 카운트 값이 제5a도의 주사선 625에 해당하는 624에서 지정될 때는 제11도에서처럼 수평 카운터 21이 다른 클리어 신호 ACLR의 타이밍에서 클리어 되고 수평 카운터 21의 카운트 값이 그의 길이가 [4Fsc×1137]로 정해지는(제13도 참조) 긴 수평주사 주기 1HLONG에 해당하는 0으로부터 1136까지(1137번) 결정된다. 4Fsc×2를 뜻하는 수평 카운터 21의 카운터 값의 차[2]는 Fsc×(1/2)에 대응된다.
즉, 본 실시예의 수평 카운터 21은 1135-카운터로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수평 카운터 21은 한 수직주기 1V 동안 1137-카운터로서 한번 동작한다. 그러므로 1135-카운터로서 동작하는 한 수평주사 주기를 [Fsc×1/2×I]로 결정할 수 있고(단 I는 정수), 색 부반송파 주파수의 1/2 주기에 의해서 정상 수평주사 주기 1V보다 긴 수평주사 신호를 한 수직주사 주기 1V 보다 긴 수평주사 신호를 한 수직주사 주기 1V안에 한번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클록이 4Fsc로 결정되는 곳에서 전술한 근사식 ④를 사용하여 회로 규모를 증가시키지 않고 한 필드내에 한 수평주사 한 주기만을 Fsc의 1/2에 의해 정상 수평주사 주기보다 더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속 필드내에서 크로미넌스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고 인접 주사선 사이의 도트 간섭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영상에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고 흔들림(도트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서 회로규모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쉽게 도트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영상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각각의 주사선(제5도의 312번째 및 625번째 주사선)이 2Fsc에 대응하는 부가영역을 포함하지만, 대응하는 2Fsc(1/2 파장)의 부가영역이 312번째 및 625번째 주사선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각 필드에서 부가영역이 상부나 하부측에 인접한 주사선의 끝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가영역이 2Fsc(1/2 파장)에 해당하는 영역에 제한되지 않으나, 2Fsc(1/2 파장)을 홀수배, 예를들어 3/2 파장 또는 5/2 파장으로도 정할 수 있다. 즉, 수평 카운터 21이 1135-카운터 또는 1137-카운터로서만 동작되도록 제한하지 않고 1135-카운터 또는 1141-카운터 또는 1135-카운터 또는 1145-카운터로도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수평 카운터 21을 어떤 수의 카운터로서 동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어서 연속된 필드에서 크로미넌스 신호의 위상을 반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1137-카운터의 동작 주파수가 한 수직주사 주기 1V 동안 최소한 한번으로 결정되지만 그 동작 주파수를 한번으로만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을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구성할 수 있고, 수반한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것을 제외하고, 본 명세서에서 서술한 특정 실시예로만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7)

  1. PAL 방식에 사용된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색 부반송파 주파수(Fsc)의 배수로 지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기본 클록(4Fsc)을 발생하는 클록발생수단(AA) ; 상기 클록발생수단(AA)에 연결되어 있고, 특정 클리어 신호를 입력할 때까지 상기 기본 클록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수단(BB) ; 상기 카운터수단(BB)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수단(BB)의 값을 조사에서 그 값이 정상 수평주사 주기와 일치할 때 제1후보 클리어 신호(NCLR)를 발생하는 제1클리어 신호 발생수단(CC) ; 상기 카운터수단(BB)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수단(BB)의 값을 조사해서 그 값이 색 부반송파 주파수(Fsc)의 1/2주기의 홀수배에 의해서 정상 수평주사 주기보다 긴 수평주사 주기와 일치할 때 제2후보 클리어 신호(ACLR)를 발생하는 제2클리어 신호 발생수단(DD) ; 및 상기 제1 및 2클리어 신호 발생수단(CC,DD) 및 상기 카운터수단(BB)에 연결되어 있고, 제1후보 클리어 신호(NCLR) 또는 한 수직주사 주기 동안 선택된 적어도 한 신호인 제2후보 클리어 신호(ACLR)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EE)으로 이루어진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색 부반송파 주파수(Fsc)에 대한 다음의 근사식을 사용한 PAL 방식에 사용되는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Fsc=((4×n-1)/4)×FL
    (단, FL은 수평주파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클럭(4Fsc)이 색 부반송파 주파수(Fsc)의 4배로 정해지는 수평주사 주기 신호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리어 신호 발생수단(DD)은 상기 카운터수단의 값이 색 부반송파 주파수(Fsc)의 1/2 주기(2Fsc)에 의해 정상 수평주사 주기보다 더 긴 주기와 일치할 때 제2후보 클리어 신호(ACLR)를 발생하는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ACLR)가 각 필드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있는 주사선에서 선택되는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후보 클리어 신호(ACLR)가 각 필드의 312번째 또는 625번째에서 선택되는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리어 신호 발생수단(CC)이 1135-카운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클리어 신호 발생수단(DD)이 1137-카운터에 의해 구성되는 수평주사 주기신호 발생장치.
KR1019910014262A 1990-08-18 1991-08-19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KR96000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7805 1990-08-18
JP90-217805 1990-08-18
JP2217805A JPH04100393A (ja) 1990-08-18 1990-08-18 水平走査周期信号発生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56A KR920005656A (ko) 1992-03-28
KR960003040B1 true KR960003040B1 (ko) 1996-03-02

Family

ID=1671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262A KR960003040B1 (ko) 1990-08-18 1991-08-19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2020A (ko)
EP (1) EP0472373B1 (ko)
JP (1) JPH04100393A (ko)
KR (1) KR960003040B1 (ko)
DE (1) DE691309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858A (en) * 1996-12-06 1999-12-28 Ati Technologies, Inc Video timing generation
US5966184A (en) * 1997-03-24 1999-10-12 Focus Enhancements, Inc. Video synchronizing signal generator
US6292224B1 (en) * 1997-05-16 2001-09-18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for eliminating dot-crawl on NTSC television monitors
JP2000032441A (ja) * 1998-07-10 2000-01-28 Fuji Photo Optical Co Ltd Ntsc及びpalの両方式を備えた内視鏡用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750A (en) * 1979-05-08 1982-03-30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Television display system
JPS57164689A (en) * 1981-04-03 1982-10-09 Nec Corp Pal system synchronizing signal generator
US4400719A (en) * 1981-09-08 1983-08-23 Rca Corporation Television display system with reduced line-scan artifacts
US4679005A (en) * 1985-01-23 1987-07-07 Sony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with frequency offset
US4769704A (en) * 1985-06-04 1988-09-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US4663654A (en) * 1985-09-27 1987-05-05 Ampex Corporation Blanking signal generator for a subcarrier locked digital PAL signal
US4660074A (en) * 1985-10-15 1987-04-21 Schine Jonathan M NTSC color television transmission without chroma crawl
US5053862A (en) * 1989-04-14 1991-10-01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horizontal reset signal synchronous with a subcarrier locked c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2373A3 (en) 1993-08-11
US5282020A (en) 1994-01-25
EP0472373A2 (en) 1992-02-26
DE69130994D1 (de) 1999-04-22
EP0472373B1 (en) 1999-03-17
JPH04100393A (ja) 1992-04-02
KR920005656A (ko) 1992-03-28
DE69130994T2 (de) 199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4215C1 (ru) Телевизионная воспроизводящая система
US50652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rging input RGB and composite video signals to provide both RGB and composite merged video outputs
US4605952A (en) Compatible HDTV system employing nonlinear edge compression/expansion for aspect ratio control
KR930005189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신호처리회로
US4303912A (en) Digitally controlled composite color video display system
JPH01189286A (ja) フリツカ妨害を抑圧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603813B2 (ja) 順次走査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5065143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RGB signal into a composite video signal and its use in providing computer generated video overlays
US5119074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RGB signal into a composite video signal and its use in providing computer generated video overlays
KR960003040B1 (ko) 선명한 영상을 얻기위해 pal 방식의 수평주사 주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US2892015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EP0162116A1 (en) Television receiver
US4660074A (en) NTSC color television transmission without chroma crawl
US4870490A (en) Television receiver
US4533951A (en)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compatible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by progressive scanning
JPH0544236B2 (ko)
US4523220A (en) Compatible 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 utilizing Hadamard basis functions
JPH02108390A (ja) Palカラーテレビ信号の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US3035116A (en) Color television
SU1262745A1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изображени цветного телевидени
US6292224B1 (en) Method for eliminating dot-crawl on NTSC television monitors
US2518199A (en) Television in natural color
US2531544A (en) Television in natural color
GB2108804A (en) Applying video component signals to a channel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channel
JPS595781A (ja) 水平走査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