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55Y1 -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55Y1
KR960002955Y1 KR2019930004194U KR930004194U KR960002955Y1 KR 960002955 Y1 KR960002955 Y1 KR 960002955Y1 KR 2019930004194 U KR2019930004194 U KR 2019930004194U KR 930004194 U KR930004194 U KR 930004194U KR 960002955 Y1 KR960002955 Y1 KR 960002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agent
toilet
water tank
ag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793U (ko
Inventor
장균식
Original Assignee
장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균식 filed Critical 장균식
Priority to KR201993000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955Y1/ko
Publication of KR940022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5Devices connected to the actuat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이 사용된 좌변기의 정단면도.
제2도는 보충수 공급관과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와 결합된 상세도.
본 고안은 좌변기 세척제 사용에 있어 종래보다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좌변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통(8)과 본체로 구성되고, 본체내 용변 수용부 저면에는 항상 일정향의 물(2)이 채워져 있어 이물이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변기(1) 내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본체(1) 내면이 더러워져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을 덜기 위해 변기 자동세척제를 수조통(8)내에 담구어 놓으므로 용기내의 물과 세척제가 혼합되어 있던 중 용변후 밸브 작동레버(7)를 젖혔을 때 밸브(5)가 들어 올려져 수조내부에 물이 내부관로(3)를 통하여 일시에 본체에 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하여 변기내로 쏟아지도록 되어 있다.
쏟아진 물은 중력에 의해 용변과 함께 배출구(13)로 빠져 나간다. 이때 배출구에는 용변과 물의 낙하에 의한 부압이 생겨 변기내의 물을 완전히 배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수조통(8)내의 물이 다 빠지게 되면 부력에 의해 계속 열렸던 밸브(5)는 다시 중력에 의해 닫히게 되고 수조내의 수위가 내려간 만큼의 물을 제공급받게 되며 이때 물공급관에 연결된 튜브(6)를 통하여 일정량의 물이 보충수 공급관(4)을 통하여 변기내로 흘러들어가 항상 일정량의 물(2)이 변기내에 유지되게되는데 있어서, 세척제가 혼합된 물은 밸브가 열릴 때 순간적으로 거의다 배출되어 버리고 변기내에 유지되는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변기내에 잔류하게 되는데, 일정량의 물(2)은 세척제 농도가 매우 약하게 되므로 사실상 그 효과가 적으며 수조통내의 많은 물에 세척제를 공급하므로 세척제(10) 소모가 크며 수질 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코자 수조통(8)내에 또 하나의 작은 수조통(9)을 설치하고 또 수조통(9)내에 배출구가 구부러진 튜브(11) 모양의 구조를 갖으므로 물공급튜브(6)에서 물이 공급될 때 구부러진 튜브 상단면까지 물이 차 올라야 배출이 되므로 일정량의 시간차를 얻게되므로 밸브(5)가 열려 물이 배출되는 순간부터 물공급관을 통하여 재공급 받게 되는 데 이때 물공급관에 연결된 튜브(6)에서도 물이 공급되어 작은 수조통(9)에 물을 공급하게 되나 구부러진 튜브(11) 역할로 인해 튜브 상단 높이 만큼 물이 공급되어야 배출되게 하였으며 또한 본 수조통(8)보다 훨씬 적은 수조통(9)내에 세척제(10)를 공급하므로 수질 오염 방지 및 세척제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구조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수조통(8) 내부에 작은 수조통(9)을 설치하여 그안에 변기세척제를 넣고 작은 수조통에 물이 보충수 공급관(4)을 통해 일정량의 물(2)을 공급해줌으로써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수조통(8) 내부에 보충수 공급관(4)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공지의 좌변기에 있어서, 원수조통(8) 내부에 작은 수조통(9)을 보충수공급튜브(6)에 연결하여 보충수 저장탱크(9)를 설치하고 그안에 세척제(10)를 넣어 본체내 용변 수용부 저면 일정량의 물(2)에만 세척제(10)가 혼합되게한 장치.
KR2019930004194U 1993-03-17 1993-03-17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KR960002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194U KR960002955Y1 (ko) 1993-03-17 1993-03-17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194U KR960002955Y1 (ko) 1993-03-17 1993-03-17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793U KR940022793U (ko) 1994-10-20
KR960002955Y1 true KR960002955Y1 (ko) 1996-04-11

Family

ID=1935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194U KR960002955Y1 (ko) 1993-03-17 1993-03-17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9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793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4920A (en) Water recycling system
US4064572A (en) Level actuated apparatus for delivering chemicals
US5452956A (en) Grey water recirculation system with odor prevention
KR100676924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KR960002955Y1 (ko) 효과적인 좌변기 세척제 활용기구
US20230183962A1 (en) Water reuse device for reusing water used in the bathroom as water for toilets with flush valves
KR20210007382A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ATE112349T1 (de) Dosiervorrichtung für einen toiletten- wasserkasten.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KR101577696B1 (ko)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JP3015390U (ja) 水洗トイレの消毒剤放出量自動制御装置
KR2010001269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JPH0141816Y2 (ko)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KR960000026Y1 (ko) 변기
KR19990086249A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JP2602025Y2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CN113898043A (zh) 一种节水型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