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24Y1 -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24Y1
KR960002624Y1 KR2019930006631U KR930006631U KR960002624Y1 KR 960002624 Y1 KR960002624 Y1 KR 960002624Y1 KR 2019930006631 U KR2019930006631 U KR 2019930006631U KR 930006631 U KR930006631 U KR 930006631U KR 960002624 Y1 KR960002624 Y1 KR 960002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body wash
newborn
baby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163U (ko
Inventor
강병철
Original Assignee
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철 filed Critical 강병철
Priority to KR2019930006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624Y1/ko
Publication of KR940024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욕조 2 : 몸세척대
3 : 바닥면 4 : 돌출좌대
5, 16 : 스폰지 6 : 받침턱
7 : 경사벽면 8 : 걸림턱
9 : 상부이탈방지홈 10 : 퇴수공
11 : 걸림돌기 12 : 상부이탈방지돌기
13 : 절곡부 14 : 좌부
15 : 보강리브
본 고안은 신생아를 목욕시킬때 몸세척을 간편 용이하제 할 수 있도록한 신생아 욕조겸용 세척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생아 욕조에서 몸세척대를 착탈자제한 상태로 구성하여 신생아때에는 몸세척대에 편안한 자세로 바로 눕히거나 옆으로 눕힌 상태로 간편히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생아가 앉을 정도가 되면 욕조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몸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몸세척시에는 신생아가 스스로 앉아 있기 어려워 주부(아기엄마)가 한손으로는 신생아를 안은 상태에서 욕조에 담그고, 한손으로는 신생아의 몸을 세척하여야 하던가 아니면, 2사람이 1조가 되어 한사람은 신생아를 안고 있고, 또한 사람은 신생아의 몸을 세척하여야 하는데 이때, 신생아의 뼈가 약하여 꽉안을 수가 없어 신생아 요동으로 몸세척중 미끄러져 신생아를 물에 빠뜨리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신생아가 앉을 정도가 되었을때 몸세척시에는 욕조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평한 상태로 되고, 바닥 모서리부가 유연한 호형으로 되어 신생아를 앉힌 상태에서 주부는 한손으로 신생아를 잡고 한손으로는 몸세척을 하였는바, 이때 욕조의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평한 상태가 되고, 모서리부가 유연한 호형으로서 신생아를 앉힌 상태로 몸세척시 중앙으로 미끄러져 넘어지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 및 문제점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목적으로는 욕조와 몸세척대를 착탈자재한 상태로 형성한 후 신생아가 스스로 앉기 어려울 때에는 몸세척대에 신생아를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로 경사지게 편안히 눕히거나 옆으로 눕혀 간편용이하게 몸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신생아가 앉을 정도가 되었을 때에는 몸세척대를 탈리한 후 욕조 바닥 일측에 돌출좌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좌대에 미끄러짐없이 편안하게 착석시킨 상태로 몸세척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욕조(1)와 몸세척대(2)를 분리 형성하되 상기 욕조(1)의 바닥면(3) 전방에는 후방이 상측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경사진 돌출좌대(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도록 스폰지(5)를 부착 형성하고, 욕조(1) 양측벽에는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받침턱(6)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은 직물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욕조(1)의 후방에는 경사벽면(7)을 형성하되, 경사벽면(7) 상측에는 몸세척대(2)가 하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턱(8)과 물부력에 의해 몸세척대(2)가 상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이탈방지홈(9)을 하고, 하측에는 퇴수공(1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몸세척대(2)는 중앙이 약간들어간 상태로 좌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좌부(14)에는 미끄럼 방지수단을 갖는 소픈지(16)를 부착 형성하되 상부 하측에는 걸림돌기(11)와 상부이탈방지홈(9)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상부이탈방지돌기(12)는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하부에는 삽입설치시 욕조(1) 바닥면(3)에 긴밀히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절곡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좌부(14) 이면에는 보강리브(15)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신생아의 몸세척시 신생아가 앉기 어려울 때에는 제5도에서와 같이 욕조(1)에 몸세척대(2)를 아착시키되 몸세척대(2) 상부 하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1)가 욕조(1)의 경사벽면(7)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8)에 걸리는 상태로 하여 몸세척대(2)를 하측으로 누르면 걸림돌기(11) 하측에 물부력에 의해 상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상부이탈방지돌기(12)가 걸림턱(8) 하측에 요입 형성된 상부이탈방지홈(9)에 결합되는 상태가 되면서 몸세척대(2) 양측이 욕조(1) 양측벽에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받침턱(6)에 경사진 상태로 재치되고, 몸세척대(2) 하부의 절곡부(13) 끝단이 욕조(1)의 바닥면(3)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욕조(1)에 몸세척대(2)를 재치완료후에는 신생아를 몸세척대(2)의 중앙에 약간 들어단 상태로 형성된 좌부(14)에 바로 눕히거나, 옆으로 눕힌 상태로 올려 놓고 몸세척을 하면 된다.
이때, 신생아는 좌부(14) 상면에 미끄럼 방지 수단을 갖는 스폰지(16)에 의해 좌부(14)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로 간편히 몸세척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생아가 앉을 정도가 되면 욕조(1)에서 몸세척대(2)를 분리한다. 그리고, 신생아를 욕조(1) 바닥면(3) 전방에 후방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좌대(4)에 올려 놓는다. 그러면 신생아는 엉덩이가 뒤로 미끄러지는 상태가 되면서 욕조(1)의 전방벽면에 등을 받치는 상태로 되어 편안히 앉아 있는 자세가 되므로 주부(아기엄마)는 신생아의 몸세척을 간편히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욕조(1)의 바닥면(3)에 형성된 돌출좌대(4) 상면에 미끄럼 방지수단을 갖는 스폰지(5)의 부착설치로 신생아의 엉덩이는 돌출좌대(4)에서 미끄럼이 전혀 되지 않는 상태로 몸세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세척 완료후에는 욕조(1)내의 물을 퇴수공(10)을 개방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 성명한 바와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욕조와 몸세척대를 착탈자제한 상태로 분리 형성한 후 신생아가 스스로 앉기 어려울때와 신생아가 스스로 앉아 있을 경우를 겸용으로 하여 스스로 앉기 어려울 때에는 몸세척대를 욕조내에 간편히 재치시켜 사용하고 스스로 앉을 때에는 몸세척대를 제거한후 신생아를 욕조내에서 미끄러짐없이 편안히 앉은 상태로 몸세척을 간편용이하게 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착탈가능한 상태로 욕조(1)와 몸세척대(2)를 분리형성하고 상기 욕조(1)에 재치되는 몸세척대(2)는 중앙에 좌부(14)를 형성하여 표면에 스폰지(16)를 부착 형성한 신생아욕조겸용 몸세척대에 있어서,
    상기 욕조(1)의 바닥면(3) 전방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돌출좌대(4)를 형성하여 스폰지(5)를 부착형성하고, 양측벽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받침턱(6)을 형성하며, 욕조(1) 후방의 경사벽면(7) 상측에는 걸림턱(8)과 상부이탈방지홈(9)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퇴수공(10)을 형성하되,
    몸세척대(2)의 상부 하측에는 상기 걸림턱(8)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돌기(11)와 상부이탈방지홈(9)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상부이탈방지돌기(12)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에는 삽입설치시 욕조(1) 바닥면(3)에 긴밀히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절곡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좌부(14) 이면에는 보강리드(15)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KR2019930006631U 1993-04-26 1993-04-26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KR960002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631U KR960002624Y1 (ko) 1993-04-26 1993-04-26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631U KR960002624Y1 (ko) 1993-04-26 1993-04-26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163U KR940024163U (ko) 1994-11-16
KR960002624Y1 true KR960002624Y1 (ko) 1996-03-28

Family

ID=1935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631U KR960002624Y1 (ko) 1993-04-26 1993-04-26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163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284A (en) Infant bathtub
US5588159A (en) Infant bathtub with multiple-position infant support
US3545016A (en) Device for supporting infants
KR960002624Y1 (ko) 신생아 욕조겸용 몸세척대의 구조
KR101978863B1 (ko) 유아용 비데
US5249316A (en) Bathtub divider
KR20017806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US5357639A (en) Bath seat and splash shield
JPH0956523A (ja) 浴用椅子
JPH073464U (ja) 浴 室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JPH06304092A (ja) 洋式便器
KR200273438Y1 (ko) 욕조용 보조좌판
CN218355926U (zh) 一种宝宝浴凳
KR102075850B1 (ko) 세숫대야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JP2515846Y2 (ja) シャワー使用の際腰掛として利用できる浴槽の蓋
JP2000279336A (ja) 腰掛け取り付け式浴槽、並びに浴槽用腰掛け
KR200367721Y1 (ko) 양변기용 소변비산 방지기구
JP3012947U (ja) 浴槽用腰掛
KR930003404Y1 (ko) 좌식(座式)욕조
JPS6342870Y2 (ko)
KR20030067104A (ko) 보조 세면대가 삽입된 세면대
KR200274322Y1 (ko) 보조 세면대가 삽입된 세면대
JP2524894Y2 (ja) 入浴用移乗台付き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