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566B1 -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66B1
KR960002566B1 KR1019890013427A KR890013427A KR960002566B1 KR 960002566 B1 KR960002566 B1 KR 960002566B1 KR 1019890013427 A KR1019890013427 A KR 1019890013427A KR 890013427 A KR890013427 A KR 890013427A KR 960002566 B1 KR960002566 B1 KR 96000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product
refrigerant
heat
refrig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135A (ko
Inventor
아차랴 아룬
안토니 마르치스 미카엘
죤 노워빌스키 제훠트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티오티 엔. 비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티오티 엔. 비숍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000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제1도는 음식물을 냉동시키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기술의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음식물을 담금식으로 냉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는 종래기술의 한제식 냉동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40,70,120 : (제품) 공급부 4,62,92,148 : (기계식) 냉동실
6,36,64,90 : 냉각가스 8,58,84',88,94,134,140,142 : 열교환표면
10,50,56,84,100,130,132,144 : 열교환회로
12,54,96,146 : 냉각기 14,28,66,98 : 구동수단
22 : (한제식 냉동시스템의) 통로 24,46,74,124 : 담금조
26,44,78,126 :한제증기 30,52,86 : (한제증기의) 배출덕트
32,152 : (제품의) 출구 42,72,122 : 액체한제접촉부
48,82,128 : 도관55 : 팽창밸브 55 : 팰창밸브
60,76,138 : 기계식 냉동부 156 : (담금조의) 경사측부
본 발명은 유기제품(organic-comprised articles)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도록 액체한제(liquid cryogen)와 냉각가스를 사용하여 유기제품을 냉각시키거나 또는 냉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비용과 사용비용의 측면에서 볼때 비용절감효과를 제공하도록 앞서 언급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냉동시스템의 관한 것으로서, 한제식(cryogenic) 냉동기 부재와 기계식 냉동기 부재들을 갖춘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과 생물체의 냉동에 있어서, 냉동되는 물질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리적 변화를 주의깊게 고려해야 한다. 많은 생물체나 음식물 등의 물질은 그 세포구조를 파괴하여 생물학적 활동이나 음식물의 구조와 맛의 특성을 파괴시킬 수 있는 파괴적인 결정형성체의 생성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아주 급속하게 냉동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와같은 급속냉동은 냉각되거나 냉동되는 제품의 표면상에 딱딱한 표피(crust)를 급속히 형성시킴으로써 제품의 내부로부터 표면까지의 유체의 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유체는 처리환경에 따라서는 증발되거나 유실되어 버릴 수도 있다. 제품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냉동온도까지 냉각되는 동안 이와같이 냉동된 표피를 전체제품의 표면상에 유지시킴으로써, 제품의 내부로부터의 유체의 손실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급속한 냉동 또는 냉동된 표피의 형성은 냉동될 제품을 액체한재내에서 직접 담금처리(immersion)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액체한제는 이와 같은 담금처리만으로 제품을 완전히 냉동시키기에는 너무 고가이다.
더욱이,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19,6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한제에 대해서 제품이 노출될 때 발생하는 표피냉동의 깊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서 냉동될 제품의 역적균열이 감소되거나 방지되기 때문이다. 냉동된 표피의 깊이나 두께 그리고 제품의 표면온도를 조절하고, 제품을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그러한 제품의 온도구배를 적절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보다 좋은 품질의 냉동제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제품의 표피를 냉동시키는데 액체한제를 사용하면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잇점들이 제공된다. 제품을 원하는 냉동온도로 냉동시키는데 필요한 추가의 냉각이, 상기 미합중국 특허출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품과 한제증기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요한 전체의 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한제의 비용은 너부 고가이기 때문에, 음식물과 같이 가격경쟁이 아주 심한 소비재에 대해서는 제한이 가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가격경쟁을 고려해야 할 경우에, 제품의 표피냉동후에 냉각의 일부를 수행하는데 기계식 냉동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제품을 냉각 또는 냉동시키기 위한 전형적인 기계식 냉동시스템은 냉각될, 제품으로부터 냉각가스로 열을 전달시키도록 이러한 제품과 냉각가스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한다. 냉각가스의 일부는 냉각될 제품과의 접촉후에 버려지고 필요에 따라서 새로운 냉각가스가 사용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냉각가스의 열제거능력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 냉각실내에서 냉각가스를 재순환시킨다. 냉각가스에 전달된 열은 냉각가스의 재순환중에 단계적으로 제거되어야 하며, 이러한 열제거수단은 통상적으로 증기압축기 냉동기 또는 "냉각기(chiller)"이다. 통상적으로, 냉각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찰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냉각기는 일반적으로 재순환되는 냉매를 갖춘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에서는, 냉각될 가스와의 열교환표면을 통한 간접접촉에 의하여 냉매가 액체상태로부터 포화증기로 변한다. 냉각기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냉매로는 암모니아와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여 미합중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된 냉매 등이 있다. 이와같은 냉매가 기존의 냉각기에 사용될때, 통상적으로 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의 냉각가스의 온도는 약 -60°F(-51℃) 내지 약 -0℉(-18℃) 범위에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식 냉동시스템에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열전달율은 제품의 표시냉동을 제공할 만큼 충분한 크지가 않다. 더욱이, 기계식 냉동시스템에 설비에 드는 비용도 상당한 자본투자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기계식 냉동시스템은 마력당 또는 킬로와트 당의 비용에 대한 냉각가스로부터의 제거되는 열량의 측면에서 볼때 양호한 작동효율을 제공한다.
따라서, 처리될 제품의 용량이 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의 자본상의 초기 설비투자를 정당화시켜 주는 많은 경우에, 경제적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한제식 냉동시스템과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합중국 캘리포니아주 썬밸리(Sun Valley)에 있는 "코우치 엔지니어링 앤드 매뉴팩춰링 인코포레이티드(Koach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Inc)"에서 발행한 "음식물 냉동장치의 개량과 효과(Innovation and Efficiency in Food Freezing Equipment)"라는 제목의 날짜표시가 안된 판매공고지에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한제식 냉동시스템 및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설명하고 있으며, 또 이들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냉동시스템의 바람직한 특징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그러한 조합이 상당히 유리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 안내광고지의 다이아그램에서는 기계식 장치와 나란히 담금식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냉각질소증기가 기계식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출원인 알. 씨. 웨브스터(R. C. Webster)등의 1967년 1월 14일자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298,133호에는, 액체질소와 질소증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한제식으로 냉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제품들이 경사부를 따라서 상향이동하여 액체질소가 분무되는 지역까지 도달하며, 이러한 분무지역에서 생성되는 질소증기가 아랫쪽의 경사부로 분무되면서 제품을 예비냉각시킨다. 음식물의 추가냉각을 제공하도록 음식물과 액체질소의 접촉시에 생성되는 질소증기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경제적인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원인 더블유. 이. 허텐스타이너(W.E. Hirtensteiner)의 1968년 4월 9일자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376,710호에는, 음식물을 냉동시키는데 있어서 액체한제와 한제증기를 모두 이용하는 또다른 한제식 식품냉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출원인 티. 에이취. 머피(T.H. Murphy)의 1970년 4월 21일자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507,128호에는, 기계식 냉동기술과 액체가스를 이용한 냉동기술을 조합한 방식으로 제품을 냉동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냉동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제품을 대체로 냉동온도까지 예비냉각시키는 기계식 냉장에 있어서, 액체가스의 분무에 의해서 제품을 거의 최종 온도로 냉동시키며, 다시 기계식 냉동에 의해서 제품을 소정의 최종 온도까지 완전히 냉동시킨다.
또한, 동출원인 티. 에이취. 머피의 1970년 5월 19일자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512,370호에는, 앞서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제3,507,128호에 개새된 연속적인 냉동방법과 아주 유사하게 제품을 냉동시키기 위한 처리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출원인 씨. 에프, 후릿치 쥬이어(C.F. Fritch, Jr)등의 1974년 4월 23일자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805,538호에는, 냉동가스와 액체한제의 분무에 의해서 식품을 개별적으로 냉동시킨 후에 다시 액체한제의 2차 분무에 의해서 식품을 냉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냉동된 가스는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압축기나 흡입시스템 등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코일을 사용하여 냉동되는 한제증기를 포함한다. 냉각코일은 그 표면위로 부동제의 용액을 분무시킴으로써 얼음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최종온도로 처리될 제품에 표피냉동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냉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의 열제거능력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처리중에 한제증기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품을 액체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품을 더 냉각시키기 위해서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냉각가스와 상기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과 상기 액체한제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열전단유체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제증기는 상기 냉각가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이나,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기내에서 배출되는 냉매와의 열교환이나, 냉각기의 냉매나 냉각가스를 냉각시키는 중간냉매와의 열교환이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사용된다.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보조하도록 한제증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된 간접적인 열교환에 부가하여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냉각가스와 제품의 접촉지역에 직접적인 한제증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한제증기를 기계식 냉동시스템내로 부가하는 것은 작동지역을 위한 하는 대기압의 발생을 초래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한제증기는 약 영하 196℃정도의 저온상태가 되므로, 이는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가 있다.
한제증기와 냉각기의 냉매 또는 냉각가스 사이의 간접적인 열전달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다. 액체한제는 제품을 액체한제의 담금조내에서 담금처리하거나, 제품의 표면에 액체한제를 분무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품과 접촉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제품을 액체한제와 접촉시키는 액체한제접촉수단과, 상기 제품을 추가로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품으로부터 냉각가스로 열을 전달시키는 기계식 냉각수단을 갖추고 있는 추가 냉각수단과, 그리고 상기 냉각가스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에 있어서, 기계식 냉각기를 갖추고 있는 냉각가스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한제접촉수단내에서 발생된 한제증기가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 순환되는 상기 냉각가스를 발생시키는 상기 냉각기와 함게 간접적인 열전달수단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제1열전달표면(A) 및 제2열전달표면(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열전단표면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기의 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기의 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제2열전달표면이 상기 제1열전달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기의 냉매과 소통하며, 상기 제2열전달표면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C)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C)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C)으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전달표면(D)와 소통하며, 상기 열전달표면(D)의 한쪽에는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냉각가스가 제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D)이 다른 열전달표면(E)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다른 열전달표면(E)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부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상기 한제증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22개의 열전달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열전달회로가 상기 냉각기의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시키기 위한 제1열전달회로, 및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를 순환하는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시키기 위한 제2열전달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F)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F)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중간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중간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F)으로부터 배출되는 중간냉매가 열전달표면(G)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G)의 한쪽에는 상기 중간냄애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제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G)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열전달표면(H)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H)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I)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I)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제1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제1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I)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가 열전달표면(J)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J)의 한쪽에는 상기 제1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제2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제2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J)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가 열전달표면(K)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K)의 한쪽에는 상기 제2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K)이 열전달표면(L)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열전달표면(L)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부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언급되어 있는 액체한제란, 화씨 0도(섭시 영하 18)이하의 정상적인 비등점을 갖는 액체냉매를 의미한다. 액체한제의 예로서는 액제질소, 액체공기, 액제질소산화물, 액체탄산가스, 그리고 액체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언급되어 있는 한제증기란 액체한제가 열에 의해서 증발될 때 형성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언급되어 있는 냉각가스는 냉각 또는 냉동되는 제품으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을 통하여 순환되는 가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언급되어 있는 냉각기란,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냉각 또는 냉동되는 제품과 접촉하도록 사용되는 냉각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가스의 열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계식 냉동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냉각기는, 증기압축기 또는 흡수시스템 등과 같이 그 내부에서 냉매가 회수되거나 재순환되도록 통상적인 사용되는 기계식 냉동수단을 구성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간접적인 열전달이란 용어는, 열이 교환되는 사이로 유체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직접적인 열전달이란 용어는, 열이 교환되는 사이로 물질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액체한제담금수단은 제품을 액체한제내에 직접 잠기게 하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액체한제분무수단은 제품을 액체한제분무와 직접 접촉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유기제품이란, 탄소화합물로 구성된 제품, 의료용 혼합물이나 약과같은 도해될 수 있는 생물학적 재료, 과일, 채소, 고기, 물고기, 가금류 등과 같은 음식물 및 가공식품들을 의미한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사용되는 형태의 기계식 냉동시스템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냉각 또는 냉동되는 제품을 냉동실(4)안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상에 제품이 위치된다. 냉동실(4)에서는, 제품이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재순환되는 냉각가스(6)와 접촉하게 된다. 냉각가스(6)는 열교환회로(10)를 통하여 순환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있는 열교환표면(8)을 가로질러서 통과하는데, 이때 냉각가스(6)의 열량이 감소된다. 즉, 냉각가스(6)의 열은 냉각기(12)에 의하여 열교환회로(10)를 재순환하는 냉매에 의해서 제거된다. 냉각가스(6)는 송풍기가 팬 등의 구동수단(14)에 의해서 냉동실(4)을 통하여 재순환된다.
한편, 제2도에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 사용되는 형태의 한제식 냉동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냉각 또는 냉동되는 제품을 한제식 냉동시스템 내부의 통로(22)안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0)상에 제품이 위치된다. 통로(22)내에서는, 제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냉동된 표피가 형성되도록 제품이 액체한제의 담금조(24)안에 담겨지거나 또는 액체한제의 분무가 제공된다. 이어서, 제품이 한제증기(26)와 접촉하는데, 이러한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는 액체한제가 제품과 접촉할 때에 액체한제의 비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이다. 한제증기(26)는 팬 등의 구동수단(28)에 의해서 통로(22)내에서 이동되거나 순환된 후에 배출덕트(30)를 통하여 통로(22)로부터 회수된다. 제품은 출구(32)를 향하여 통로(22)의 아랫쪽으로 진행하며, 이때에 제품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냉동될 제품을 액체한제접촉부(42)로 공급하는 공급부(40)상에 제품이 위치된다. 액체한제접촉수단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담금조(46)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분무수단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담금조(46)내의 액체한제의 비등에 의해서 발생된 한제증기(44)가 도관(48)을 통과하는데, 여기에서 한제증기(44)는 열교환회로(50 및 56)내에서 순환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열전달매체로 이용된다. 한제증기(44)는 백출덕트(52)를 통하여 도관(48)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냉각기(54)에서 배출되어 열교환회로(50)로 유입되는 냉매는 열교환표면(58)을 포함하고 있는 열교환회로(56)를 통해서 이동하는 냉매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매와 팽창밸브(55)를 통과하여 열교환표면(58)으로 이동되는 전에 한제증기(44)가 냉각기(54)에 의하여 응측된 냉매를 더 냉각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열교환회로(50)를 순환하는 한가지 냉매와 그리고 열교환회로(56)를 순환하는 다른 하나의 냉매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들 열교환회로의 사이에 열전달수단(도시안됨)이 제공된다. 이들 열교환회로(50 및 56)내에서 서로 다른 냉매를 사용할 경우에, 보다 넓은 작동온도 범위를 갖는 기계식 냉동부(60)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한제증기(44)의 열량제거능력의 일부가 손실되는데, 이는 두개의 열교환회로(50 및 56) 사이의 열교환표면(58)에 대해서 2개의 서로 다른 냉매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제증기(44)의 최대의 열량제거능력은, 열교환회로(50)와 열교환회로(56)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한가지 냉매와 직접 소통될 때에 제공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서 한제증기(44)는 냉각기(54)에 의해서 예비냉각되고 응축된 냉매를 더 냉각시키도록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수가 있다. 전형적인으로, 열교환표면(58)에서 찬가스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약 60내지 80퍼센트의 열량제거는 냉각기(54)에 의해서 제공되며, 나머지 40 내지 20퍼센트의 열량제거는 한제증기(44)와의 열교환에 의해 제공된다.
냉각 또는 냉동되는 제품은 액체한 제접촉부(42)로부터 기계식 냉동부(60)의 기계식 냉동실(62)로 이동되며, 여기서 냉동실(62)을 통하여 순환되는 냉각가스(64)와 접촉하게 된다. 냉각가스(64)는 열교환표면(58)에서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하여 그 열량이 감소된다. 열교환표면(58)을 통과하며 재순환되는 냉각가스(64)를 유동시키도록 송풍기 또는 팬 등의 구동수단(66)이 사용된다.
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액체한제접촉부(52)에서 제품을 표피냉동시키는 능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제품내의 유체가 냉동과정을 통하여 제품내에서 유지될 수가 있다. 열교환회로(50)는, 기계식 냉동실(62), 열교환표면(58), 및 구동수단(66)등과 같은 기계식 냉동부(60)의 부품들이 극저온의 한제중기(44)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냉동되는 제품으로부터 열량을 제거하도록 한제증기(44)에 남아있는 냉동능력을 이용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도는 도시된 액체한제접촉부(42)와 기계식 냉동부(60)내에 열전달표면의 설치위치는 각각 액체한제접촉부와 기계식 냉동부의 내부로 제한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각각의 내부에서의 열전달표면의 상대위치는 제3도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식 냉동부(60)내에 열교환 표면(58)이 냉동실(62)내에서의 냉각가스(64)의 직교류(cross flow)를 제공하도록 기계식 냉동실(62)의 전체 높이의 중간쯤에 위치될 수가 있다.
액체한제의 금속냉동에 의해서 제품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표면의 두께는 대체로 제품의 횡단면 두께의 약 5 내지 20퍼센트의 범위에 있다. 예를 들면, 제품이 횡단면을 통해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구형체이면, 그 구형체의 원주둘레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냉동된 표피의 두께는 횡단면 직경의 약 5 내지 약 20퍼센트 범위가 된다. 표피의 두께는, 제품의 급속한 과냉각으로 인하여 제품의 열적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제품의 외부표면이 취급도중에 부서져서 손상이 생기지 못하도록, 너무 두껍게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동시에, 표피는 전체 제품이 원하는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표피가 다시 녹아버리지 못하도록 너무 얇게 형성되어서도 안된다. 표피가 다시 녹아버리면 제품의 내부로부터 유체의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표피의 두께는 제품의 제조과정에서의 경제적인 면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의 액체한제와의 접촉이나 또는 액체한제및 한제증기와의 접촉에 의해서만 냉동시키는 방식은 가격경쟁이 심한 냉동제품에 대하여서 너무 많은 비용을 들이는 것이다.
소정의 두께로 표시냉동을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제품의 형태 및 초기온도에 따라서 다르다. 음식물의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약 0.375인치(0.95센티미터)의 두께와 약 5.0인치(12.7센티미터) 직경으로 잘게 썰은 소고기가 약 화씨 40도(4.45℃)의 온도로 액체질소의 담금조내에 들어가면, 그 표면상에 약 0.05인치(0.13센티미터) 두께의 표피가 약 7초내에 형성된다. 약 1.0인치(2.5센티미터)의 직경과 약 0.2인치(0.51센티미터)의 두께로 얇게 썰은 주키니(zucchini)가 약 화씨 70도(21.1℃)로 액체질소의 담금조내에 들어가면, 그 표면상에 약 0.15인치(0.04센티미터) 두께의 표피가 약 10초내에 형성된다. 특정의 취급장치 및 기계 냉동부를 갖춘 본 발명의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이 설계된다면, 이 기술분야에서 숙달된 당업자가 최소한의 실험으로, 제품의 표면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제품내의 유체의 손실이나 열적파괴를 방지하도록 액체한제와 제품의 접촉시간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한제식 냉동부와 기계식 냉동부 사이에서의 제품의 열량제거분포라는 측면에서 볼때 경제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가 있다.
담금조(46)내의 액체한제의 비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한제증기(44)는 제품이 담금조(46)내에 수용되기 전에 제품을 예비냉각시키거나 또는 제품이 담금조(46)내에 수용된 후에 기계식 냉동부내로 유입되기 전에 제품을 사후 냉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3도에는, 이러한 제품의 예비냉각이나 사후 냉각을 이용한 변형예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기계식 냉동부에서 사용되는 냉각가스위 온도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수단은, 한제증기(44)의 일부를 직접 냉각가스(64)의 흐름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이외같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예도 제3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냉각가스의 흐름내로 한제증기를 유입시키는 경우에, 극저온(증기화된 액체질소의 경우에는 약 -195℃)의 한제증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된 냉동시스템내의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만 한다. 또한, 재순환되는 냉각가스는 통상적으로 공기이며, 질소성분의 증가로 인하여 공기내의 산소농도가 호흡이 곤란한 수준까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기의 안전도 중요한 한가지 요소가 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냉동되는 제품을 액체한제접촉부(72)로 공급하는 공급부(70)상에 제품이 위치된다. 제4도에서, 제품은 담금조(74)를 포함하고 있는 액체한제접촉부(72)로부터 기계식 냉동부(76)로 이동된다. 담금조(74)내에서의 제품과 액체한제(80)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한제증기(78)가 도관(82)을 통과하는데, 여기서 열교환회로(84)내의 열전달유체(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열교환회로(84)내의 열전달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한 한제증기(78)의 유동방향은 일한방향이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그러나, 역방향흐름이 보다 증대된 열전달효율을 제공한다. 한제증기(78)는 배출덕트(86)를 통하여 도관(82)으로부터 배출된다.
기계식 냉동부(76)내로 열교환표면(88)을 갖추고 있는 열교환회로(84)는 기계식 냉동실(92)을 통하여 순환되는 냉각가스(90)로부터 열량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냉동실(92)내에서 냉각가스(90)가 제품과 직접 접촉하여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냉각기(96)내에서 냉각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있는 열교환회로(100)의 열교환표면(94)에 의하여, 냉각가스(90)로부터의 추가의 열량제거가 이루어진다. 열교환표면(94 및 88)을 통과하는 냉각가스(90)의 유동을 제공하도록 송풍기나 팬 등의 구동수단(98)이 사용된다.
열교환표면(88)의 윗쪽으로 열전달표면, 즉 도관(82)의 위치를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열교환회로(84)내의 냉매를 재순환시키는데 중력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회로의 전체적인 설계에 따라서는 열교환회로(84)상에 설치되는 펌 등의 구동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냉각기(96)는 냉매과 냉각기의 허용가능한 작동온도범위 및 이와 양립되는 온도범위 이상의 한제증기의 이용가능성에 근거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냉각된 냉매를 더 냉각시키도록 한제증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열제거능력이 보완될 수 있다.
제3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도 한제식 냉동무 또는 기계식 냉동부내의 부품들의 상대위치는 별다른 제한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냉동되는 제품이 공급부(120)로부터 액체한제접촉부(122)로 이동되어서 액체한제의 담금조(124)내로 수용된다. 제품이 담금조(124)내에 담겨짐으로서 발생되는 한제증기(126)가 도관(128)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유체를 포함하는 열교환회로(130)와 접촉한다. 열교환회로(130)는 열교환표면(134)에서 다른 열교환회로(132)로부터 열량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열교환회로(132)는 열교환표면(140)에서 기계식 냉동부(138)내를 순환하는 냉각가스(136)로부터 열량을 제거한다. 또한, 냉각기(146)에 의해 냉각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있는 열교환회로(144)의 열교환표면(142)에서도 기계식 냉동부(138)내를 순환하는 냉각가스(136)로부터 열량이 제거된다. 담금조(124)를 빠져나간 제품이 기계식 냉동실(148)로 유입된 후에 냉각가스(136)와 접촉함으로써, 제품으로부터 열이 제거되어 제품이 원하는 소정의 온도로 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계식 냉동실(148)의 상부에 제공된 출구(152)를 통하여 윗쪽으로 이동된다. 냉각가스(136)는 제품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즉 나선형 냉동실(148)의 아랫쪽으로 유동하여서 하부(150)를 향하여 흐른다. 또는, 제품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냉각가스의 유동방향을 동일한 방향 혹은 제품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제공하도록, 냉각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시킬수도 있다.
제5도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각되는 제품에 따라서는 냉각가스(136)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을 보충하도록, 담금조(124)로부터 배출되는 한제증기(126)를 냉동실(148)의 하부로 유동시키는 변형예가 실현될 수도 있다. 제품이 냉동실(148)의 유입되는 부분에 한제증기가 제공되지 않으면 제품에 형성된 표피냉동의 표면이 다시 녹아버리는 경우에는, 한제증기를 직접 기계식 냉동부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제증기가 기계식 냉동부로 유입되는 경우에, 작동상의 제약과 안전상 고려가 검토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액체한제접촉부에서, 액체한제담금조 또는 액체한제분무장치는 그 처리량에 있어서 융통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담금조의 경우에 있어서, 담금조 내에서의 제품의 체재시간의 변화가 허용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재시간은, 제5도에 도시된 경사측부(156)를 갖는 담금조내에서의 액체한제의 높이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담금조를 통과하는 콘베이어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증가 될 수 있다. 담금조 내에서의 제품의 체재시간이 갈수록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의 기계냉동부상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지며, 또 주어진 시간내에 냉동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는 제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기계식 냉동중에 제품에 형성된 냉동표피를 유지시키는 필요한 만큼 이상의 열랑이 제거되도록 담금조를 사용한다면, 동력소모의 측면에서 동력소모의 측면에서 볼 때 비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은 계절에 따른 수요에 차이가 큰 식품을 생산하는 당업자에게는 가치가 큰 처리량의 융통성을 제공한다. 제품과 액체한제의 접촉시간중에 발생하는 한제증기의 열량제거능력을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식품가공업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 수행가능한 방식으로 제품의 수요에 대비하게 할 수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한제내에서의 제품의 체제시간을 길게함으로써, 주어진 소정량의 제품의 냉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전체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375인치(0.95㎝)의 의 두께와 약5.0인치(12.7㎝)의 직경을 갖는 햄버거를 냉동시킬 때, 냉동시간은 100퍼센트 기계식 냉동으로는 약 18분이 소요되는 반면에, 100퍼센트 액체질소 담금조에서 냉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40초정도의 짧은 시간만이 소요된다.
제품내에서의 유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품이 담금조를 떠난후에도 제품의 표면이 냉동된 표피로 남게하는 것이 중요하다. 담금처리후에도 제품의 핵심부분이 비교적 뜨거운 상태가 되는 식품, 예컨대 햄버거 고기조각과 같이 약 화씨 90도(32.2℃)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표면이 다시 녹아버리기 쉽다. 따라서 햄버거 고기조각과 같이 뜨거운 핵심부분을 갖는 제품의 액체질소의 담금조에서 제거될 때에는, 제품이 기계식 냉동부를 통과하기 전에 적어도 짧은 시간동안 동일한 유동방향의 한제증기와 접촉하도록 열전달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유동방향의 열전달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한제증기는 기계식 냉동부의 열부하를 감소시키도록 이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바람직한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이다. 그러나, 이 기술분야에서 숙달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것이다.

Claims (26)

  1.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품을 액체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품을 더 냉각시키기 위해서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의 냉각가스와 상기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과 상기 액체한제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유체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의 상기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한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한편으로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의 상기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냉매 이외에 상기 냉각기내에서도 냉매가 사용되며, 상기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가 독립적으로 상기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간냉매가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간냉매가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한편으로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순환하는 상기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품을 액체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품을 더 냉각시키기 위해서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의 냉각가스와 상기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과 상기 액체한제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중간냉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단계와, 그리고 간접적인 열전달을 통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간냉매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열전달유체와의 간접적인 열전달에 사용되는 단계가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중간냉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하는 단계보다 나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열전달 유체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지 않는 상기 한제증기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열전달 유체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와 상기 제품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품과 상기 액체한제의 접촉에 앞서서 상기 제품을 예비냉각시키도록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와 상기 제품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품과 상기 액체한제의 접촉후에 그리고 상기 제품이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제품을 사후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냉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지 않는 상기 한제증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냉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상기 한제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상기 제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내에 상기 제품을 담금처리하는 방식, 상기 액체한제를 상기 제품의 표면에 분무시키는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서 상기 액체한제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내에서 사용되는 냉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사용되는 상기 액체한제가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품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제품을 액체한제와 접촉시키는 액체한제접촉수단과, 상기 제품을 추가로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품으로부터 냉각가스로 열을 전달시키는 기계식 냉각수단을 갖추고 있는 추가 냉각수단과, 그리고 상기 냉각가스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에 있어서, 기계식 냉각기를 갖추고 있는 냉각가스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한제접촉수단내에서 발생된 한제증기가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에서 순환되는 상기 냉각가스를 발생시키는 상기 냉각기와 함께 간접적인 열전달수단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제1열전달수단이 제1열전달표면(A) 및 제2전달표면(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열전달표면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기의 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기의 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제2열전달표면이 상기 제1열전달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과 소통하며, 상기 제2열전달표면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C)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C)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C)으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전달표면(D)과 소통하며, 상기 열전달표면(D)의 한쪽에는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의 냉각가스가 제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D)이 다른 열전달표면(E)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다른 열전달표면(E)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부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상기 한제증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열전달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열전달회로가 상기 냉각기의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시키기 위한 제1열전달회로, 및 상기 기계식 냉동시스템내를 순환하는 냉각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제거시키기 위한 제2열전달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F)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F)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중간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중간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F)으로부터 배출되는 중간냉매가 열전달표면(G)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G)의 한쪽에는 상기 중간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제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G)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열전달표면(H)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H)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열전달수단이 열전달표면(I)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표면(I)의 한쪽에는 한제증기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제1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제1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I)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가 열전달표면(J)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J)의 한쪽에는 상기 제1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제2냉매가 제공되어서 상기 제2냉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J)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가 열전달표면(K)과 소통되며, 상기 열전달표면(K)의 한쪽에는 상기 제2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감소되며, 상기 열전달표면(K)이 열전달표면(L)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열전달표면(L)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기의 냉매가 그리고 다른 쪽에는 냉각가스가 제공되어서 상기 냉각가스의 열량이 부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접촉수단이 액체한제담금수단, 액체한제분무수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접촉수단이 담금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2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한제내에 상기 제품을 담금처리하는, 상기 액체한제를 상기 제품의 표면에 분무시키는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서 상기 액체한제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KR1019890013427A 1988-09-20 1989-09-19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KR960002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46,862 US4856285A (en) 1988-09-20 1988-09-20 Cryo-mechanical combination freezer
US246,862 1988-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135A KR900005135A (ko) 1990-04-13
KR960002566B1 true KR960002566B1 (ko) 1996-02-22

Family

ID=2293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27A KR960002566B1 (ko) 1988-09-20 1989-09-19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56285A (ko)
EP (1) EP0360224B1 (ko)
JP (1) JPH02161275A (ko)
KR (1) KR960002566B1 (ko)
BR (1) BR8904701A (ko)
CA (1) CA1289758C (ko)
DE (1) DE68919962T2 (ko)
ES (1) ES2064410T3 (ko)
MX (1) MX165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445A (en) * 1988-09-26 1989-08-22 Ivan Rasovich Combination cryogenic and mechanical freezing system
US5218826A (en) * 1990-12-26 1993-06-15 The Boc Group, Inc. Food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a cryogenic hea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5205135A (en) * 1991-11-13 1993-04-27 Liquid Carbonic Corporation Helical conveyor freezer
GB9125851D0 (en) * 1991-12-04 1992-02-05 Boc Group Plc Cooling apparatus
US5339651A (en) * 1993-01-19 1994-08-23 Mega Manufactu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freezing followed by complete freezing of meat products
US5423107A (en) * 1993-07-30 1995-06-13 Associated Farmers Delinting, Inc. Abrasive seed delinting with cottonseed refrigeration
US5421168A (en) * 1994-03-04 1995-06-06 Reynolds; Martin M. Food product freezer system
US5467612A (en) * 1994-04-29 1995-11-21 Liquid Carbonic Corporation Freezing system for fragible food products
US5477691A (en) * 1994-09-30 1995-12-26 Praxair Technology, Inc. Liquid cryogen delivery system
US5694776A (en) 1996-01-30 1997-12-09 The Boc Group, Inc. Refrige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9270384A (ja) * 1996-03-29 1997-10-14 Nikon Corp 温度制御装置及び露光装置
US5960636A (en) * 1997-11-14 1999-10-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oling a mass prior to immersion in a cryogenic liquid
US6062030A (en) * 1998-12-18 2000-05-16 Thermo King Corporatio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327866B1 (en) 1998-12-30 2001-12-11 Praxair Technology, Inc. Food freezing method using a multicomponent refrigerant
DE19919938A1 (de) * 1999-04-30 2000-11-02 Linde Tech Gas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seren Nutzung der Kälteenergie eines kryogenen Stromes
GB2371107A (en) * 2001-01-15 2002-07-17 Air Prod & Chem Freezing products
US6751966B2 (en) * 2001-05-25 2004-06-22 Thermo King Corporatio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609382B2 (en) * 2001-06-04 2003-08-26 Thermo King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a self-powered cryogen based refrigeration system
US6631621B2 (en) * 2001-07-03 2003-10-14 Thermo King Corporation Cryogenic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698212B2 (en) * 2001-07-03 2004-03-02 Thermo King Corporation Cryogenic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494054B1 (en) 2001-08-16 2002-12-17 Praxair Technology, Inc. Multicomponent refrigeration fluid refrigeration system with auxiliary ammonia cascade circuit
US6425264B1 (en) 2001-08-16 2002-07-30 Praxair Technology, Inc. Cryogenic refrigeration system
US6532752B1 (en) 2002-03-28 2003-03-18 Praxair Technology, Inc. Food freezing system
US6694765B1 (en) * 2002-07-30 2004-02-24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ir through a heat exchanger
GB0305920D0 (en) * 2003-03-14 2003-04-23 Air Prod & Chem Bactericidal method
US6895764B2 (en) * 2003-05-02 2005-05-24 Thermo King Corpora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temperature controlled space
US7824725B2 (en) 2007-03-30 2010-11-02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partially solidified flowable compositions
US20090044549A1 (en) * 2007-08-15 2009-02-19 Sundhar Shaam P Tabletop Quick Cooling Device
US20090064690A1 (en) * 2007-09-06 2009-03-12 John Martin Girard System and method for cryogenic enhancement to mechanical freezers
US20090090112A1 (en) * 2007-09-06 2009-04-09 John Martin Girard System and method for cryogenic enhancement to mechanical freezers
US20130243915A1 (en) * 2008-10-23 2013-09-19 Ralph C. Obert Food product stabilizer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26583A1 (en) * 2008-12-29 2011-06-02 Mccormick Stephen A Liquid co2 passive subcooler
US20100162734A1 (en) * 2008-12-29 2010-07-01 Linde, Inc. Self-Chilling Container
US20100162729A1 (en) * 2008-12-29 2010-07-01 Mccormick Stephen A Liquid CO2 Passive Subcooler
US7827818B2 (en) * 2008-12-30 2010-11-09 Linde Ag Conveyor belt having rotating drive shaft
US7992393B2 (en) * 2008-12-30 2011-08-09 Linde Aktiengesellschaft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using high heat transfer nozzle
US20100162727A1 (en) * 2008-12-31 2010-07-01 Linde. Inc. Freezer with pulse flow generator
FR2952174B1 (fr) * 2009-11-03 2013-08-30 Air Liquide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froidissement cryogenique de produits realisant un couplage entre le systeme cryogenique d'un tunnel et un systeme frigorifique ajoute via un condenseur exterieur au tunnel
US20110132005A1 (en) * 2009-12-09 2011-06-09 Thomas Edward Kilburn Refrigeration Process and Apparatus with Subcooled Refrigerant
FR2972522B1 (fr) * 2011-03-09 2013-04-12 Air Liquide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froidissement ou surgelation cryogenique de produits en tunnel a injection indirecte avec admission d'air exterieur
RU2596138C2 (ru) * 2012-04-10 2016-08-27 Зе Концентрейт Мэньюфекчуринг Компани оф Аилэнд Гибридная холод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ступенчатого охлаждения
EP3010754B1 (en) 2013-06-18 2020-01-01 Thermo King Corporatio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010756B1 (en) 2013-06-18 2020-11-11 Thermo King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a hybrid refrigeration system
US20150027141A1 (en) * 2013-07-29 2015-01-29 Louis Lilakos Batch freezer with cryogenic pre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9752829B2 (en) * 2014-01-07 2017-09-05 Sudhir R. Brahmbhatt Liquid nitrogen (LIN) integrated lyophilization system for minimizing a carbon footprint
ES2952028T3 (es) * 2014-04-11 2023-10-26 Naturo Innovations Pty Ltd Un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aguacates
US20160030607A1 (en) * 2014-08-04 2016-02-04 Michael D. Newman Heat flux control for liquid nitrogen sprays
JP6713695B1 (ja) * 2019-03-14 2020-06-24 株式会社光商事 複合型凍結乾燥設備
WO2023003611A1 (en) 2021-07-20 2023-01-26 Corey John A Dual-mode ultralow and/or cryogenic temperature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6101A (en) * 1963-03-04 1964-11-10 Tranter Mfg Inc Truck refrigeration system
US3413818A (en) * 1963-12-13 1968-12-03 Fmc Corp Immersion freezing
US3298188A (en) * 1964-04-24 1967-01-17 Ai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food products
US3376710A (en) * 1966-05-16 1968-04-09 Hirtensteiner Walter Earl Food freezing apparatus
US3427820A (en) * 1966-11-14 1969-02-18 Reliquifier Corp Of America Cryogenic flash freezing machines
US3512370A (en) * 1967-03-14 1970-05-19 Tom H Murphy Combined liquid gas-mechanical freez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US3507128A (en) * 1967-12-22 1970-04-21 Tom H Murphy Continuous cryogenic process combining liquid gas and mechanical refrigeration
US3531946A (en) * 1968-07-09 1970-10-06 Elmwood Liquid Products Inc Cryogenic-mechanical refrigeration apparatus
US3805538A (en) * 1972-07-13 1974-04-23 Chemetron Corp Steady state food freezing process
DE2651871C2 (de) * 1976-11-13 1984-12-06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kühlen von Gegenständen oder Stoffen
US4344291A (en) * 1980-04-28 1982-08-17 Liquid Carbonic Corporation Cryogenic cabinet freezer
FR2525747A2 (fr) * 1981-05-29 1983-10-28 Keller Jean Paul Procede de surgelation et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individuel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2595549A1 (fr) * 1986-03-14 1987-09-18 France Prod Oxygenes Co Cellule de refroidissement rapide pour plats cuisines
US4858445A (en) * 1988-09-26 1989-08-22 Ivan Rasovich Combination cryogenic and mechanical freez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9962D1 (de) 1995-01-26
BR8904701A (pt) 1990-05-01
MX165641B (es) 1992-11-25
KR900005135A (ko) 1990-04-13
CA1289758C (en) 1991-10-01
DE68919962T2 (de) 1995-07-06
JPH02161275A (ja) 1990-06-21
EP0360224B1 (en) 1994-12-14
EP0360224A2 (en) 1990-03-28
US4856285A (en) 1989-08-15
ES2064410T3 (es) 1995-02-01
JPH0549913B2 (ko) 1993-07-27
EP0360224A3 (en) 199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566B1 (ko) 유기제품을 냉동시키는 방법 및 한제기계식 냉동시스템
CA1300385C (en) Cryogenic combination tunnel freezer
US32981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food products
US3485055A (en) Continuous freezer
George Freezing proceseses used in the food industry
US5921091A (en) Liquid air food freezer and method
US3805538A (en) Steady state food freezing process
US3531946A (en) Cryogenic-mechanical refrigeration apparatus
WO2009151191A1 (en) Multifloor tunnel type freezing method and the refrigerant
US5417074A (en) Liquid nitrogen immersion/impingement freezing method and apparatus
US4271683A (en) High humidity food chilling system
US1617630A (en) Process of precool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other perishable commodities for shipment
EP1528340A1 (de) Froster und Verfahren zum Gefrieren von Produkten
Ronsivalli et al.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of seafoods: A review
George Freezing systems
US3361578A (en) Preservation of avocados by freezing
US7678401B2 (en) Blanching vegetables
AU2007299312B2 (en) Device for refrigerating and/or freezing substances
JPH11253143A (ja) キャップレス容器入り溶液等の急速冷凍装置
US3453121A (en) Method of chilling fresh fruit products in bulk
US4042017A (en) Produce warmer
US4341080A (en) Method for refrigeration
Dhanapal et al. Freezing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Basics and Advancements
JPS6054026B2 (ja) 食品の凍結法並びにその装置
Singh et al. Cryogenic Free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