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565Y1 - 헤드폭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폭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65Y1
KR960002565Y1 KR2019930025854U KR930025854U KR960002565Y1 KR 960002565 Y1 KR960002565 Y1 KR 960002565Y1 KR 2019930025854 U KR2019930025854 U KR 2019930025854U KR 930025854 U KR930025854 U KR 930025854U KR 960002565 Y1 KR960002565 Y1 KR 960002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head
actuator
axis direct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526U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5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565Y1/ko
Publication of KR950013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27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eciprocating members
    • B23Q5/033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eciprocating members driven essentially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385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using a gear and rack mechanism or a friction wheel co-operating with a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드폭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의 다수의 작업 헤드를 갖는 진공흡착기구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헤드부분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폭조절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폭조절장치 2 : 베이스
3 : 제2 액튜 에이터 4 : 제1액튜에이터
9 : 작업헤드 31 : X축 가이드 부재
32 : 제1링크 33 : 제2링크
35 : Y축가이드부재 41 : Y축가이드부재
본 고안은 헤드폭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작업헤드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 작업헤드들간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폭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본더(die bonder)나 와이어본더(wire bonder)등과 같은 자동화 장비에 있어서 작업성향상등 기타 여러가지 필요성에 의하여 다수의 작업헤드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의 일예로 다수의 흡착패드를 작업물에 밀착시키고 진공발생기를 이용하여 흡착패드와 작업물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작업물이 이 흡착패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물을 들어올리는 진공흡착기구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Y축방향으로 슬리트 (21')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2')에 흡착패드고정대(3')가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륵 결합되어 있으며, 이 흡착패드고정대(3')에는 X축방향으로 슬리트(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착패드고정대(3')의 슬리트(31')를 관통하여 너트(N)에 의하여 고정되는 호스의 일측단은 진공발생기(88)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작업헤드인 흡착패드(9')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진공흡착기구(1')의 작용과 들어 올리고자 하는 작업물의 크기에 변동이 발생하여 흡착패드간의 폭을 변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들어 올리고자하는 작업물의 크기에 맞추어 흡착패드고정대(3')를 베이스(2')의 슬리트(21')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조절하여 고정하고, 흡착패드고정대(3')의 슬리트(31')를 따라 X축방향으로 호스(89)를 이동조절하여 고정하여 두고 작업물(99)을 흡착패드(9')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진공발생기(88)를 사용하여 작업물(99)과 흡착패드(9')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작업물(99)이 흡착패드(9')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이 작업물(99)을 들어 올리게 된다.
만일 들어 올리고자 하는 작업물의 크기가 변경되면, 이 변경된 작업물의 크기에 맞추어 베이스(2')와 흡착패드고정대(3')를 결합시키고 있는 볼트(B)를 풀러 흡착패드고정대(3')를 베이스(2')의 슬리트(21')에 따라 이동조절한 후 다시 볼트(B)를 조여 고정한다. 그리고 흡착패드고정대(3')에 호스(89)를 고정시켜 주는 너트(N)를 풀러 흡착패드고정대(3')의 슬리트(31')를 따라 호스(89)를 이동조절하여 둔후 너트(N)를 다시 조여 호스(89)를 고정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진공흡착기구를 일예로 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작업물의 크기나 위치등의 변경에 의하여 다수의 작업헤드간의 폭을 조절할 경우에 그 작업을 수동으로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물의 크기나 위치등의 변경에 의하여 다수의 작업헤드간의 폭을 조절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헤드간의 폭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폭조절장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헤드폭조절장치는, 작업헤드가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블록에 상호 교차되며 X축,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X축, Y축가이드부재와, 상기 Y축가이드부재를 X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X축방향이송수단과, 상기 X축가이드부재를 Y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Y축방향이송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폭조절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작업헤드(9)가 설치된 헤드블록(91)에 X축가이드부재(31)와 Y축가이드부재(41)가 상호교차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X축가이드부재(31)를 Y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Y축방향 이송수단과, Y축가이드부재(41)를 X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X축방향 이송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Y축방향 이송수단은, X축가이드부재(31)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블록(35)과 이 이송블록(3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R)과, 이 가이드레일(R)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블록(35)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축(42)과, 이 나사축(42)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액튜에이터(4)와, 상기 가이드레일(R)과 나사축(42)과 제1액튜에이터(4)를 지지하는 베이스(2)를 구비하여 된 것인데, 제1액튜에이터로서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X축방향이송수단은, Y축가이드부재(41)의 일측에 결합된 제1링크(32)와, 베이스(2)에 설치된 제2액튜에이터(3)와, 이 제2액튜에이터(3)의 회전축과 상기 제1링크(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33)를 구비하여 된 것인데, 제2액튜에이터로서 스테핑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43은 제1액튜에이터(4)의 회전력을 나사축(42)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다른 헤드폭조절장치(1)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액튜에이터(3)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제2액튜에이터(3)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링크(33)와 이 제2링크(33)의 단부에 결합된 제1링크(32)에 의해 Y축가이드부재(41)가 X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헤드블록(91)은 X축가이드부재(31)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제1액튜에이터(4)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벨트(43)에 의해 나사축(42)에 전달되어 나사축(42)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나사축(4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이송블록(35)이 가이드레일(R)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블록(35)에 고정된 X축가이드부재(31)가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헤드블록(91)은 Y축가이드부재(41)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액튜에이터(4)를 중심으로 나사축(42)의 좌, 우축부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1액튜에이터(4)의 작동시 Y축가이드부재(41)상에 설치된 헤드블록(91)들은 제1액튜에이터(4)를 중심으로 하여 그 간격이 좁아(또는 넓어)지게 된다. 이렇게 헤드블록(91)들을 이송시켜 헤드블록(91)들간의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이 헤드블록(91)들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헤드(9)들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헤드폭조절장치는 다수의 작업헤드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 작업물 크기나 위치 등의 변동에 대하여 신속하게 다수의 작업헤드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작업헤드가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블록에 상호 교차되며 X축,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X축, Y축가이드부재와, 상기 Y축가이드부재를 X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X축방향이송수단과, 상기 X축가이드부재를 Y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Y축방향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폭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축방향이송수단은, 상기 X축가이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블록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액튜에이터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사축과 제1액튜에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폭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방향 이송수단은, 상기 Y축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제1링크와,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2액튜에이터와, 상기 제2액튜에이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1링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폭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튜에이터는 스테핑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폭조절장치
KR2019930025854U 1993-11-30 1993-11-30 헤드폭조절장치 KR960002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854U KR960002565Y1 (ko) 1993-11-30 1993-11-30 헤드폭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854U KR960002565Y1 (ko) 1993-11-30 1993-11-30 헤드폭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26U KR950013526U (ko) 1995-06-15
KR960002565Y1 true KR960002565Y1 (ko) 1996-03-27

Family

ID=1936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854U KR960002565Y1 (ko) 1993-11-30 1993-11-30 헤드폭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5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27B1 (ko) * 2009-02-17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슴받이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27B1 (ko) * 2009-02-17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슴받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26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4864B1 (e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US6125731A (en) Feeder for an industrial machine, particularly a turret punch press, and an industrial machine utilizing the same
GB2274719A (en) X-y workhead positioning device
US4802816A (en) Pick and place machine having improved centering jaws
KR960002565Y1 (ko) 헤드폭조절장치
JP2699173B2 (ja) 自動ミシン用折り畳み装置
US4708232A (en) Moving table type work system
US5070601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930010588B1 (ko) 반송가공물의 클램프장치
JPH05208087A (ja) 針棒ストローク及び糸送り用調節装置を有するミシン
KR200169712Y1 (ko)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JP3597310B2 (ja) 物品搬送装置に於けるガイド装置
JPS61287236A (ja) リ−ドフレ−ム用搬送装置
JPH0523768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S61287640A (ja) リ−ドフレ−ム用搬送装置
SU12423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и закреплени деталей сложной формы
KR200169375Y1 (ko) 그리퍼
KR200240058Y1 (ko) 반도체 디바이스 이송트레이 고정장치
KR200158521Y1 (ko) 절삭용 공작기계의 지그
JPS61172674A (ja) 半田付装置
US3271904A (en) Precision wire severing apparatus
KR960003114B1 (ko) 자동판재 공급 장치의 클램핑 핑거
JP2864085B2 (ja) ワークの反転送り装置
JPS6140453Y2 (ko)
JPH079281A (ja) ネジ締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