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538Y1 - 보행자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38Y1
KR960002538Y1 KR2019950031124U KR19950031124U KR960002538Y1 KR 960002538 Y1 KR960002538 Y1 KR 960002538Y1 KR 2019950031124 U KR2019950031124 U KR 2019950031124U KR 19950031124 U KR19950031124 U KR 19950031124U KR 960002538 Y1 KR960002538 Y1 KR 960002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oscillation
circuit
resonance voltag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호
Original Assignee
송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호 filed Critical 송재호
Priority to KR2019950031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자 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회로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루프검지판의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루프검지판의 설치예를 보여 주기 위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루프코일 12 : 폴리에칠렌 절연물
13 : 접지판 20,20' : 동축케이블
30,30' : 1발진회로 40,40' : 공진전압 검출회로
50,50' : 검지회로 60,60' : 오어게이트(OR Gate)
70,70' : 교통신호 제어기
본 고안은 보행자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신호대기선 지면에 루푸(loop) 검지판을 설치하고, 이를 동축케이블로 LC 발진기와 연결하여, 루프검지판에 보행자가 접근 또는 횡단할 경우, LC 공진에 의하여 발진되는 일정주파수의 공진전압 저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보행자 횡단신호를 출력하게하는 보행자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보행자 신호장치로는 여러 기술이 소개되어 있으나, 그중에서도 횡단보도를 횡단하자 하는 보행자의 보행자의 선택에 따라 신호기 주변에 부착된 보행자신호등 작동버튼을 눌러 보행자 신호등이 점등되면서 보행자의 횡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소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종래의 기술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때마다 보행자 신호등 작동버튼을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라야 했고,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을 미쳐 인식하지 못한 보행자의 무단횡단 등으로 인해 교통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또한, 일정한 신호주기에 따라 차량진행 신호와 보행자 신호 등 진행 신호 주기를 번갈아 작동하는 현기술에 있어서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없을 경우에도 신호주기에 따라 보행자 신호등이 점등되므로 차량의 정지에 따른 교통혼잡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횡단보도의 신호대기선 지면상에 루프검지판을 설치하고, 이를 발진회로와 연결하여 보행자가 루프검지판에 대기하고 있거나 접근하였을시에 인덕턴스와 대지간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발진회로의 공진전압이 저하됨을 검지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기에 신호를 인가하고 보행자 횡단지시등을 작동케 되는 보행자 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람의 출입 검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루프 검지판을 설치하고, 루프검지판에 접근한 보행자 또는 침입자의 검지를 발진회로의 공진전압 저하로 검지하여 그와 연계된 부속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 보행자 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회로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루프코일(11) 양끝단에 동축케이블(20)을 매개로 발진회로(30)의 정합트랜스(T)의 L2 측에 연결하고, 정합트랜스(T)의 L1 측에는 발진용 콘덴서(C1)를 병렬 연결하고, 그 일측단은 발진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측과, 다른 일측은 접지와 연결한다. 여기서, 루프코일(11)은 발진회로(30)의 공진주파수와 일치되게 인덕턴스값을 설정하고, 그 배열은 장방형의 곡선을 이룬다.
그리고, 발진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 측에는 저항(Rl)을 접속하고, 그 일측은 그라운드 접지하되,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 측과 저항(Rl)의 분기점에서 출력을 인출하여, 공진전압 검출회로(40,40')에 접속하고, 공진전압 검출회로(40,40')의 출력은 검지회로(50,50')에 입력한다.
한편, 검지회로(50,50')의 출력은 오어게이트(60)의 입력 측에 연결하고, 오어게이트(60)의 출력은 교통신호 제어기(70)에 입력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오어게이트(60)의 다른 입력 측에는 순차조합된 보행자 검지판(10), 발진회로(30,30'), 공진전압 검출회로(40,40') 및 검지회로(50,50')의 출력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C2, C3는 공진 임피던스 상수 설정을 위한 콘덴서 분압회로이고, R2, R3는 트랜지스터의 입력 바이어스전압을 위한 바이어스 저항을 지칭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루프검지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루프코일(11)을 일정 형태로 포설하고, 그 양끝선을 동축케이블(20)에 연결하되, 포설된 루프코일(11)에 폴리에칠렌 절연물(12)을 도포하여 밀봉하고,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접지판(13)을 형성한다. 이때 신호대기선 지면의 접지는 지형 및 위치에 따라 접지저항이 다르므로, 어느 장송에서나 푸프코일(11) 권선과 접지간의 정전용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루프코일(11) 권선과 접지판(13)간의 거리는 루프코일(11) 권선의 인덕턴스에 의한 전계 및 자계가 발생되기 위한 충분한 이격 거리를 두고 구성하였다.
제3도는 븐 고안에 의한 루프검지판의 설치예를 보여 주기 위한 사시도로서, 루프코일(11)의 권선수가 발진회로(30)의 공진주파수와 일치되도록 인덕턴스(L) 값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루프코일(11) 권선을 감고, 루프코일(11) 양측면과 바닥면의 접지판(13) 내부를 폴리에칠렌 절연물(12)로 밀봉하였다.
또한, 루프코일(11)의 양단자선은 동축케이블(20)을 매개로 발진회로(30)와 연결하도록 구성하면서, 접지판(13)의 접지 도선은 동축케이블(20) 외장에 연결하였다. 또한, 발진회로(30)의 출력은 공진전압 검출회로(40)의 입력으로 연결하고, 공진전압 검출회로(40)의 출력은 검지회로(50)에 입력되도륵 연결하였다. 그리고, 검지회로(50)의 출력은 오어게이트(60)를 거쳐 교통신호 제어기(70)로 입력되도록 연결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은 보행자 검지판 전체를 지칭하고, 71은 보행자 신호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하기 의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자 신호대기선에 접근하게 되면, 신호대기선상에매설해 놓은 보행자 검지판(10)의 루프코일(11)에서 형성되는 자계선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는 발진기의 인덕턴스 및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발진회로(30)는 일반적인 변형 크래프 발진회로로서,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루프코일(11)의 전계나 자계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적절한 주파수를 설정하여 두는데, 보통 라디오 주파수대를 피한 주파수(대략3MHz)를 발진하게 된다.
또한, 보행자 검지판(10) 측에서 미세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의 변화에도 발진기의 공진주파수가 쉽게 변화되도륵 하기 위하여 3MHz의 공진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양호도(Quality Factor : Q)를 낮게 설정한다.
이상의 조건하에서 평상시 보행자의 접근이 없을 경우 발진기에서는 보행자 검지판(10)의 루프코일(11) 인덕턴스와 콘덴서(C1)의 결합으로 3MHz의 공진주파수가 발진되고, 그 출력은 공진전압 검출회로(40)에 입력되고, 입력된 공진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설정된 전압범위 이상의 값이면 공진전압 검출회로(40)의 출력을 검지회로(50)로 출력하고, 검지회로(5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하이(High) 펄스로 변환하여 오어게이트(60)의 일측입력단으로 출력시킨다.
이때, 오어게이트(60) 타측의 입력단에는 결도로 순차조합된 보행자 검지판(10'), 발진회로(30'), 공진전압검출회로(40') 및 검지회로(50')의 출력을 연결함으로써 오어게이트(60)에 모두 하이(High)펄스가 입력되다가, 보행자 검지시에는 오어게이트(60) 한쪽의 입력에 로우(Low) 펄스가 입력되어 그 출력이 하이(High)로 반전되어 교통신호제어기(70)에 입력된다. 한편, 보행자의 접근으로 변화된 정전용량에 의해 3MHz의 공진주파수가 변화되거나 발진정지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공진전압 검출회로(40)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전압이 기준설정전압보다 낮거나 영(0) 전압(발진정지인 경우)으로 되었을 경우, 이의 출력을 검지회로(50)에 무신호로 송출하고, 검지회로(50)에서는 입력이 없으므로 오어게이트(60)의 입력단을 로우(Low)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오어게이트(60)에서는 하이(High) 펄스의 출력을 교통신호제어기(70)에 인가함으로써 보행자가 대기하고 있음을 교통신호 제어기(70)에서 인지하게 되고, 차량신호등에 정지신호를 송출하고, 보행자 신호등(7)에 횡단신호를 송출하여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널수 있게 된다.
또한, 교통신호 제어기(70)에서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수 있는 충분한 시간인 T초(예 : 15초) 동안 보행자 횡단 신호등이 점등되게 하면서 보행자가 보행자 검지판(10)을 통과하였을 경우 발진회로(30)는 초기상태로 전환되어 발진동작이 재차 이루어지고, 검지회로(50)를 거쳐 오어게이트(60)의 출력이 로우(Low) 펄스로 변화되어 교통신호제어기(70)에서는 보행자가 없음을 인식하게 되나, 기설정된 보행자 횡단신호시간 이내이므로 보행자 신호등은 계속 점등된다. 이때, 설정된 보행자 횡단신호 점등시간이 경과하면, 보행자 신호는 정지신호로 되면서 차량진행 신호등을 점등하게 된다.
만일의 경우 교통신호기(71)를 제외한 발진회로(30)의 고장이거나, 기타 국부적인 이상으로 고장발생된 경우(예를 들어, 교통신호제어기(70)에 3분 이상 1회의 입력신호가 하이 필스인 경우) 보행자 신호 및 차량신호의 이상9l 발생됨으로 방지하고자, 교통신호 제어기(70)에서는 입력신호 하이 (High) 펄스의 1회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지속시간이 3분 이상일 경우 장치의 고장임을 간주하고 종래의 신호주기에 따라 일정시간대로 보행자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의 점등 조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신호 대기선상에 보행자 검지판(10)을 설치하여 보행자를 검지하고, 이의정보를 교통신호제어기(70)에 송출하여 교통신호 제어기(70)에서 보행자 신호등을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 보행자 신호를 점등시킴으로써, 교통혼잡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보행자 검지판(10)을 보안 및 방법용으로 적절한 장소에 설치하여 침입자의 검색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사람의 검지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정정) 횡단보도의 신호대기선상에 설치되며, 상자 형태의 접지판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루프코일을 일정 형태로 포설하되, 여분의 공간에 폴리에칠렌 절연물을 밀봉한 보행자 검지판 :
    상기 보행자 검지판의 루프코일의 양끝선에 대하여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접속되어, LC공진에 의해 일정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회로;
    상기 발진회로의 출력을 입력으로 여 공진전압을 검출하는 공진전압 검출회로;
    상기 공진전압 검출회로에 검출된 공진전압으로부터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회로; 및 상기 검진회로의 검지결과를 입력으로 하고, 그 출력을 교통신호제어기에 인가하는 오어게이트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검지장치.
  3. (정정)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회로는
    정합트랜스의 L2 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고, L1 측에는 발진용 콘덴서를 병렬연결하면서, L1의 일측단은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과 타측은 접지와 연결하고, 상기 바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과 그라운드접지사이에는 저항을 접속하는 한편,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과 저항의 분기점에서 출력을 인출하여 상기 공진전압 검출회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검지장치
  4.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코일은
    상기 발진회로의 공진주파수와 일치되게 인덕턴스값을 설정하고, 그 배열은 장방형의 곡선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검지장치
KR2019950031124U 1995-10-30 1995-10-30 보행자 검지장치 KR960002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24U KR960002538Y1 (ko) 1995-10-30 1995-10-30 보행자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24U KR960002538Y1 (ko) 1995-10-30 1995-10-30 보행자 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538Y1 true KR960002538Y1 (ko) 1996-03-27

Family

ID=1942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124U KR960002538Y1 (ko) 1995-10-30 1995-10-30 보행자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5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158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iform electromagnetic fields in an article detection system
US4321589A (en) Detection system for emergency vehicles with signal preemption means
JP3010119B2 (ja) 応答装置のための読取装置
US7116248B2 (en) Vehicle detector system with synchronized operation
US5512891A (en) Drive-up station vehic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3582932A (en) Magnetic-field-responsive proximity detector apparatus
JPH11232585A (ja) 車両の路側逸脱防止システム
US7132959B2 (en) Non-interfering vehicle detection
US4038633A (en) Detection system for automobiles and other motor-driven objects
KR960002538Y1 (ko) 보행자 검지장치
US3818430A (en) Traffic detector using balun transformer phase detector
US3497995A (en) Height sensitive proximity door operator system
US3996555A (en) Identification of vehicles
US3576525A (en) Inductive loop vehicle presence detector
JPH06176872A (ja) 絶縁変成器の負荷を含む2次側から1次側の回路に接続された受信機手段と連絡する方法とシステム
WO1988008595A1 (en) Capacitance proximity sensor
JPH10172092A (ja) 車両検出送受信装置及び車両対応装置
JPH06338832A (ja) ループコイル式感知器
US5489825A (en) Transformer
US20230198423A1 (en) Frequency generator for generating a working frequency for a rail contact of an axle counter
RU21789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а
JP2597381B2 (ja) 地中埋設物の検出に用いられる標識体およびこの標識体の形成方法
US7563054B2 (en) Marking tape with passive resonant circuits and methods of use
CA1160314A (en) Intrusion warning system
JP3363947B2 (ja) ループコイル式車両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