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44Y1 -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44Y1
KR960002444Y1 KR2019930016423U KR930016423U KR960002444Y1 KR 960002444 Y1 KR960002444 Y1 KR 960002444Y1 KR 2019930016423 U KR2019930016423 U KR 2019930016423U KR 930016423 U KR930016423 U KR 930016423U KR 960002444 Y1 KR960002444 Y1 KR 960002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e clip
band
lead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07U (ko
Inventor
서린종
Original Assignee
서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린종 filed Critical 서린종
Priority to KR2019930016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44Y1/ko
Publication of KR950007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2Maintenance of line connector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제1도는 일반적인 휴즈클립의 사용상태도
제2도의 (a),(b)는 종래의 제조 공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의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즈클립 100 : 리이드
110 : 리이드연결편 120 : 휴즈연결편
2 : 밴드 3 : 접착테이프
본 고안은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휴즈클립의 리이드 하단에 접착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리이드 연결편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각 연결편을 밴드 상부에 접착테이프로 부착함으로써, 밴드에 다수개 부착된 휴즈클립간의 사이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한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즈클립(1)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에 리이드(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휴즈(5)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휴즈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삽입할때 대부분이 자동삽입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자동삽입장치에 사용되는 휴즈클립은 다수개의 휴즈클립이 밴드에 병렬설치된 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조립체는 제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이드(100)하단에 간격유지밴드(l0)가 결합된 복수개의 휴즈클립(1)을 자동삽입장치에 권회되는 밴드(2)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간격유지밴드(10) 상부의 각 리이드(100)들을 접착테이프(3)로 부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착테이프(3) 각 휴즈클립(1)을 밴드(2)에 부착한뒤 하부의 간격유지밴드(10)를 절단제거하여 제2도(b)와 같은 휴즈클립조립체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즈클립조립체는 이의 밴드(2)가 자동삽입장치에 권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 휴즈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삽입할때, 휴즈클립(1)한쌍씩 밴드(2)에서 절취한뒤 각 리이드(100)하부를 절단하여 밴드(2)를 제거하고 또한 스토퍼(101)가 서로 대향하도록 어느한 휴즈클립을 180°회전시킨 상태로 절취한 두휴즈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삽입한다.
상기에서 벤드(2) 상부에 부착된 각 휴즈클립은 서로의 떨어진 간격이 일정하여야 된다.
이는 자동삽입장치의 로버트팔이 각 휴즈클립을 집어서 인쇄회로기판에 삽입하기 때문에 그 사이 간격이 일정치 않으면 로버트팔이 클립을 정확히 잡지못하여 조립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즈클립(1)은 각 리이드(100) 하부가 접착테이프(3)에 의해 밴드(2)상부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그 접촉력이 저하되었다.
즉 제2도(b)와 같이 리이드(100)가 접착테이프(3)에 의해 밴드(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휴즈클립(1)이 좌, 우측으로 유동될 가능성이 있었고 이와 같이 유동되면 각 클립(1)간의 사이 간격이 벌어져 자동삽입장치의 자동삽입시 삽입불량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접착테이프에 부착되는 리이드의 접촉면적을 늘려주어 밴드에 부착되는 휴즈클립의 사이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한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각 휴즈클립이 서로 대향하는 리이드에 접착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각 휴즈클립간의 상이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는 리이드 연결편을 형성하여서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본리사시도로써, 휴즈클립(1)의 서로 대향하는 리이드(100)하단에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리이드 연결편(110)을 형성하고, 각 휴즈클립(1)을 서로 일정간격 떨어뜨리는 휴즈연결편(120)을 상기 리이드 연결편(110) 직상부의 서로 대향하는 각 휴즈클립(1) 리이드(100)에 형성한다.
제4도(a)는 본 고안의 제조공정도로서,
밴드(2) 상부에 각 휴즈클립(1)의 리이드 연결편(110)을 위치시킨다음 접착테이프(3)로 리이드 연결편(110)과 리이드(100)하부를 밴드(2)에 부착한다.
한편 부착완료되면 각 휴즈연결편(120)을 절단하여 제4도(b)와 같은 휴즈클립조립체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제4도(b)와 같이 각 휴즈클립(1) 하단의 리이드(100)가 접착테이프(3)에 의해 밴드(2)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때 각 리이드(100)에는 리이드 연결편(110)이 구비되어 테이프(3)와의 접촉면적이 향상된다.
따라서 각 휴즈클립(1)이 밴드(2)에 견실하게 부착위치되고, 그에 따라 휴즈클립(1)간의 사이 간격이 정확히 유지된다.
한편, 리이드 사이의 휴즈연결편(120)을 절단하여 휴즈클립조립체를 완성할때 각 휴즈클립(1) 하부가 리이드 연결편(110)을 통하여 밴드에 견실히 부착되었으므로, 좌, 우측으로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밴드, 상부에 다수개의 휴즈클립이 견실히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간의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기 때문에 휴즈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삽입할때 삽입불량이 감소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밴드의 다수개의 휴즈클립을 접착테이프로 부착함에 있어서,
    상기 각 휴즈클립의 서로 대향하는 리이드에 접착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각 휴즈홀더간의 사이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는 리이드 연결편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KR2019930016423U 1993-08-24 1993-08-24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KR960002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23U KR96000244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23U KR96000244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07U KR950007407U (ko) 1995-03-21
KR960002444Y1 true KR960002444Y1 (ko) 1996-03-25

Family

ID=1936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423U KR96000244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0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9321A (en) Wire locator and strain relief device
US3951494A (en) Electrical connector
GB2151417A (en) Lead wire holder
US408714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zero insertion force
US5426265A (en) Circuit component stand-off mount
JPH0151064B2 (ko)
KR960002444Y1 (ko) 자동삽입장치용 휴즈클립조립체
US2268446A (en) Fluorescent lamp socket
US6161750A (en) Weld tab
US4401352A (en) Connector system for connecting a ceramic substrate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S5843235Y2 (ja) Dhd形ダイオ−ド
JP3199483B2 (ja) 照光装置
JPH0145235B2 (ko)
JPH0765691A (ja) ヒューズホルダー
JPH0233212A (ja) 絶縁板及び圧電振動子
KR840001856Y1 (ko) 자동차용 할로겐 전구의 지지장치
JP2524772Y2 (ja) テーピング用ヒューズホルダー
KR200177247Y1 (ko) 압정형 반도체 패키지
JPH056748U (ja) ジヤツク取付装置
JPH0142081Y2 (ko)
JPS6329913A (ja) 固定インダクタ
KR800000738Y1 (ko) 반도체 장치
JPH08153450A (ja) 表面実装形磁気近接スイッチ
KR870002574Y1 (ko) 리더선 홀더
JPH01343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